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619
한자 武城山城
영어의미역 Museongsanseong Fortress
이칭/별칭 연성(燕城),홍길동성(洪吉童城)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대/남북국 시대
집필자 서정석정재윤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성곽
양식 석성
관련인물 홍길동
높이 4m
둘레 525m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 지도보기
문화재 지정번호 공주시 기념물
문화재 지정일 1997년 6월 5일연표보기
문화재 지정일 2024년 5월 17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한천리 무성산 정상부에 있는 석축 산성.

[건립경위]

한천리 주민들은 홍길동이 축성하였다고 전하는데, 실제로 홍길동이 축성하였다고 볼 만한 근거는 없다.

[발굴 조사 경위 및 결과]

2010년 산성에 대한 지표 조사는 현황 파악을 위해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 산성의 체성벽을 비롯하여 치성 5개소, 문지 2개소, 건물지 4개소, 집수지 1개소 및 후대 추정 봉수대 1개소 등의 유구가 확인되었다.

전체적으로 체성부는 내외 협축으로 축조하였고, 5개소의 치가 자리한 지점 주변으로는 내성 벽 기부 쪽에 보축이 이루어져 있음이 확인되었다. 보고서에 따르면, 기능적인 측면에서 볼 때 무성산성의 치는 삼국시대 백제의 축성 수법과는 동일하지 않다고 한다. 하지만 성내에서 확인되는 유물들의 양상은 성내 평탄 대지 및 내환도를 따라 전체적으로 백제 토기류가 관찰되고 있다.

[위치]

공주 지역에서 예산으로 통하는 국도 36호선을 타고 12㎞쯤 가면 사곡면 면소재지에 도착하게 되는데, 여기에서 마곡사 가는 길로 다시 5㎞쯤 더 들어가면 사곡면 대중리가 나온다. 대중리의 뒷산, 즉 동쪽에 솟아 있는 산이 무성산이다. 산성은 무성산 정상부에 있다.

[형태]

무성산성의 평면 형태는 장방형으로, 일반 다른 산성과 달리 성벽의 굴곡이 거의 없는 편이다. 또한 서벽 쪽이 거의 산 정상부를 있는 데 비해 동벽 쪽은 이보다 훨씬 낮은 지점을 지나고 있다. 따라서 서고동저(西高東低)의 형태임을 알 수 있다.

[현황]

무성산성은 협축식으로 축조되었다. 산성의 대부분은 완전히 붕괴된 상태지만 능선 정상부를 지나는 서벽의 경우 비교적 원형이 잘 남아 있다. 이곳에는 면석도 남아 있어 축성법을 살펴볼 수 있다. 하지만 곳곳에 남아 있는 치성도 대부분 붕괴되어 치성인지조차 불분명한 경우도 있다. 성문은 완전히 파괴되어 흔적만 남아 있으며, 건물 터 또한 평탄하게 터만 남아 있다. 관련 유물은 거의 찾아보기 어렵다.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1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기념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무성산성은 북쪽으로 건물지가 집중되어 있는 유물산포지와 회흑색 내지 회청색의 경질 타날문토기류, 회백색 연질토기류와 적갈색의 연질토기 등 삼국시대까지 올라가는 유물들이 지표 조사에서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이것으로 보아 최초 무성산성의 입지는 삼국시대 백제에 의해 이루어졌을 가능성이 높고, 채성벽 및 치성에서 보이듯 통일신라 시기에 들어와서도 산성의 중요성이 계속적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