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601
한자 禹恭老墓碑
영어의미역 Memorial Stone for U Gongno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해준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묘비
건립시기/일시 1499년연표보기
관련인물 우공로
높이 116m
너비 57㎝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 산70-1 지도보기
소유자 단양우씨 공로파
관리자 단양우씨 공로파
문화재 지정번호 공주시 기념물
문화재 지정일 1997년 6월 5일연표보기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탄천면 송학리에 있는 우공로의 무덤 앞에 세운 비석.

[개설]

우공로(禹恭老)는 본관이 단양으로 단양우씨는 공주의 토착 성씨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우현보이고 할아버지는 개성부 유휴사 우홍부이다. 우공로는 1481년(성종 12) 만경현령으로 재임 중 사망하였다. 이후 우공로는 1498년(연산군 4)에 가선대부로 증직되었다. 우공로 묘비는 1499년(연산군 5) 8월 15일에 세워졌다.

[건립경위]

우공로는 3남 3녀를 두었는데 아들 3형제는 모두 과거에 합격하였다. 우공로 묘비우공로가 사망하고 1년 뒤인 1499년(연산군 5)에 세워졌는데, 우공로의 자녀들이 세운 것으로 판단된다.

[위치]

공주시청에서 부여 방면으로 국도 40호선을 타고 약 15㎞를 가면 탄천면 면소재지가 나온다. 이곳에서 탄천보건소를 지나 송학교를 건너 약 1.5㎞를 더 가면 송학리 입구가 나온다. 송학리마을 뒷산은 ‘요골’로 불리는 지역으로, 우공로 묘비는 이곳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 중심지에서 도보로 접근 가능하며, 묘비 주변은 조용한 환경을 이루고 있다. 접근 경로는 비교적 간단하며, 송학교를 기준으로 이동 방향이 명확하게 설정되어 있다.

[형태]

우공로 묘비는 높이 116㎝, 폭 57㎝, 두께 19㎝의 크기이다. 북련형 이수를 올린 형태로 조선 전기의 묘비 양식이 잘 나타나 있다.

[금석문]

묘비의 전면에는 ‘황명조선국가선대부병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우공지묘(皇明朝鮮國嘉善大夫兵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禹公之墓)’라 음각되어 있다. 이는 조선국에서 가선대부(嘉善大夫)로 병조참판(兵曹參判)과 동지의금부사(同知義禁府事)를 역임한 우공(禹公)의 묘임을 나타낸다. ‘황명(皇明)’은 명나라를 지칭하며, 당시 조선과 명나라의 외교적 관계를 반영하고 있다. 뒷면에는 그의 생애와 업적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으며, 이 내용은 후손들에게 전승된 중요한 역사적 자료로 여겨진다. 그러나 묘비의 찬자(撰者)[내용을 짓는 사람]와 서자(書者)[글씨를 쓰는 사람]는 명시되어 있지 않아 구체적인 제작 배경에 대한 기록은 확인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성은 조선시대 묘비의 전형적인 특징을 보여 준다.

[현황]

우공로 묘비 옆에는 충청병마절도사를 지낸 우공로의 큰아들 우현손의 묘비가 함께 세워져 있다. 우현손의 묘비는 1904년에 세워진 것이다. 우공로 묘비는 1997년 6월 6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기념물 제16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기념물로 변경되었다. 우공로 묘비는 단양우씨 공로파가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단양우씨는 고려 후기부터 조선 전기까지 중앙과 지방에서 관직을 역임하며 점차 공주지역에서 기반을 다져 갔다. 우공로 묘비는 공주 지역 묘비들 중 가장 오래된 것으로, 이는 단양우씨 가문이 이미 오래전부터 공주 지역에 정착하여 세력을 형성하고 있었음을 보여 준다. 이를 통해 단양우씨가 단순한 거주 집단이 아닌, 지역 내에서 영향력을 행사한 토착 성씨로 자리 잡았음을 확인할 수 있다. 우공로 묘비는 단양우씨의 지역적 기반과 이들의 사회적 위상을 입증하는 중요한 유적으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