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0597 |
---|---|
한자 | 公州肅宗大王胎室碑 |
영어의미역 | Stele and Placenta of King Sukjong in Gongju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태봉동 산64-9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해준,박범 |
문화재 지정 일시 | 1992년 12월 8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공주숙종대왕태실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4년 5월 17일 - 공주숙종대왕태실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
성격 | 태실비 |
건립시기/일시 | 1661년![]() ![]() |
관련인물 | 숙종 |
재질 | 석재 |
높이 | 159㎝|188㎝ |
너비 | 54㎝|62㎝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태봉동 산64-9
![]() |
소유자 | 권병로 |
문화재 지정번호 |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태봉동 태봉산에 있는 조선 중기 숙종대왕의 태실비 2기.
[건립경위]
숙종의 태실과 관련한 기록은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와 『태봉등록(胎封謄錄)』에 나타난다. 1661년(현종 2) 숙종이 태어났을 때 태실을 조성하기 위한 과정이 진행되었다. 태실을 조성하기 위한 장소로는 공주, 청주, 춘천이 후보로 올랐고, 그 가운데 공주로 결정되었다. 안태사(安胎使) 여이재(呂爾載)와 종사관(從事官) 송시철(宋時喆)이 공주 태봉산에 태함을 묻고 봉토한 뒤 사초 과정을 거치고, 태실 주변에 표석을 세웠다. 이후 숙종이 왕위에 오르면서 숙종 태실에 대한 가봉이 이루어졌다. 태실은 크게 아기 태실과 가봉 태실로 구분되는데, 아기 태실은 태어났을 때 처음으로 만드는 태실이고, 가봉 태실은 아기 태실의 주인이 왕위에 오르면 기존의 태실 위에 석물을 새롭게 올려 단장한 태실이다. 그런데 숙종 즉위 초반에는 현종 대에 발생한 경신대기근의 여파가 가시지 않은 상황에서 또다시 흉년이 이어졌다. 지속된 흉년으로 인해 태실의 가봉이 미뤄지면서 1863년(숙종 9)에 이르러서야 이루어졌다. 아기 태실과 가봉 태실을 조성하는 과정에서 1661년(현종 2)과 1683년(숙종 9)에 2기의 태실비와 장태 석물이 건립되었다. 그 후 고종 때에 숙종의 태는 경기도 양주로 이장되었고, 지금은 2기의 비석만이 남아 있으며, 그 주변에는 장태 석물로 추정되는 흔적이 흩어져 있다. 한때 태실비가 훼손되어 비신과 비좌가 훼손되었던 것을 1991년에 공주시에서 조립하여 현재의 모습으로 남아 있다.
[위치]
공주숙종대왕태실비는 공주시 태봉동에 있는 태봉산 정상부에 있다. 공주시청에서 봉정 교차로를 지나면 태봉 교차로에 왼쪽으로 태봉동 입구가 있다. 공주숙종대왕태실비는 태봉동에 있는 태봉산 정상부에 있다.
[형태]
현종 때 세워진 아지비(阿只碑)는 규모가 작으며, 비대만을 갖춘 간략한 형식이다. 비수에는 복판연화문(複辦蓮花文) 12엽(葉)을 시문(施文)하였으며, 비의 좌대(座臺)는 방형으로 2분하여 중앙에 연화를 배치하였다. 비의 높이는 159㎝이고, 비신의 폭은 54㎝이며, 두께는 15㎝이다. 좌대는 높이 50㎝, 폭 93㎝, 너비 59㎝이다. 숙종 대에 건립된 태실비는 귀부와 이수를 갖추고 있는데, 귀부는 단일 석재로 만들었으며, 배면에는 6각의 귀갑문으로 완전히 채우고, 윗면 중앙에 장방형의 비좌를 만들었다.
귀부의 머리는 짧은 목에 머리를 왼쪽 위로 틀어올렸고, 크기에 비해 몸 전체가 높은 편이다. 비의 크기는 총 높이 188㎝, 폭 62㎝, 높이 31㎝이고, 귀부는 길이 210㎝, 너비 120㎝, 높이 105㎝이다. 1683년에 건립한 비석에는 장수를 상징하는 거북을 조각하였고, 등에 비석을 세운 것으로 보아 숙종의 무운 장수를 기원하였던 것으로 보인다.
[금석문]
아지비의 앞면에 ‘순치십팔년팔월십오일묘시생원자아지씨태실(順治十八年八月十五日卯時生元子阿只氏胎室)’이라 적혀 있고, 뒷면에는 ‘순치십팔년십이월이십오일진시립(順治十八年十二月二十五日辰時立)’이라 되어 있다. 숙종 대에 건립된 태실비의 저면에는 ‘주상전하태실(主上殿下胎室)’이라 되어 있고, 뒷면에는 ‘강희이십이년십월십오일건(康熙二十二年十月十五日建)’이라 새겨져 있다.
[현황]
공주숙종대왕태실비는 1992년 12월 8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21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