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594
한자 牧使金孝誠-碑
영어의미역 Stele of Gim Hyoseong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6-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해준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목사김효성의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1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목사김효성의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목사김효성의비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추모비
건립시기/일시 1828년연표보기
관련인물 김효성
재질 화강암
높이 2m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16-1 지도보기
소유자 공주시
관리자 공주시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에 있는 조선 후기 공주목사를 역임한 김효성의 선정비.

[건립경위]

공주목사  김효성(金孝誠)[1585~1651]은 청렴 결백하고, 백성을 잘 다스렸으며, 군대 통솔에 심혈을 기울였다. 이를 칭송하기 위하여 목사김효성의비가 세워졌다. 김효성은 광주김씨로 영양부사를 역임했던 김수연(金秀淵)의 아들이다. 김효성은 1615년(광해군 7) 이이첨의 사주를 받아 정조와 윤인, 이위경이 인목대비를 폐위하려고 할 때 이를 반대하고 탄핵하였다가 길주 및 진도에 유배되었다. 그 후 1623년(인조 1) 인조반정을 계기로 다시 중용되어 의금부도사, 호조좌랑, 한성부서윤, 형조정랑, 군기시첨정 등의 중앙 관직을 역임하였다. 그 후 여산군수, 남원부사, 죽산부사, 공주목사, 청주목사를 지내며 지방 관직 경력도 쌓았다.

김효성공주목사로 부임했던 시기는 1644년(인조 22)부터 1646년(인조 24)까지 약 3년 정도이다. 그는 청렴하고 강직하다고 평가받았으며, 무예에도 조예가 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선정비 전면에도 ‘목사김공효성청간선정무휼군졸비(牧使金公孝誠請簡善政撫恤軍卒碑)’라고 쓰여 있어 그가 공주목의 군사 운영상 문제를 해결하는 선정을 행했다고 추정된다.

[위치]

공주시청에서 공주고등학교를 지나 구 터미널 방면으로 약 3㎞ 정도 가면 공산성 입구가 나온다. 공산성 서문 금서루 입구에는 43기의 조선시대 비석이 모여 있는데, 이 중의 하나이다.

[형태]

높이 약 2m의 화강암 비석으로, 비의 표면은 오랜 세월의 풍화(風化)로 인하여 변색이 심한 상태이다. 공산성 서문 내 비석군의 43개 비석 중 유일하게 귀부(龜趺)와 이수(螭首)를 갖춘 비석이었다. 그러나 현재의 자리로 옮기는 과정에서 비신과 이수는 원형을 유지하였으나 거북 모양의 비석 받침인 귀부는 없어져 사각형의 대좌로 대신하고 있다.

[현황]

목사김효성의비는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1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