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주 이귀의 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585
한자 公州李貴-墓
영어의미역 Tomb of Yi Gwi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능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상하만길 17-62[만수리 산4-5]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해준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0년 12월 30일연표보기 - 공주 이귀의 묘 충청남도 기념물 제18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 이귀의 묘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성격
양식 합장묘
관련인물 이귀(李貴)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상하만길 17-62[만수리 산4-5]지도보기
소유자 연안이씨 문중
관리자 연안이씨 문중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기념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이인면 만수리에 있는 조선 중기 이귀의 묘.

[위치]

공주시청에서 송산리 고분군을 지나 소정펄길을 타고 약 7.95㎞ 가면 이인면 만수리가 있다. 만수리 아랫마을의 남서쪽 계성산 능선에 연평부원군 이귀의 묘소와 묘비가 있다.

[변천]

이귀는 인조반정을 주도한 핵심 인물로 반정 이후 정사공신(靖社功臣)에 올라 호위대장, 이조참판, 대사헌, 좌찬성 등을 역임하였다. 이귀 사후에 경기도 파주에서 장사를 지냈으나 2년 만에 공주로 묘를 옮겼다고 한다. 본래 공주 이귀의 묘가 있는 계성산에는 이귀와 아들 연양부원군 이시백(李時白), 사우당 이시담(李時聃), 연성군 이시방(李時昉)을 제향하던 성봉서사가 함께 있었으나 현재 유허만 남아 있다.

[형태]

산의 능선에 위치한 이귀 묘는 풍수지리학자들에게 좌청룡, 우백호가 있는 지점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거문성(巨文星)의 주산에 겸혈(鉗穴)이 맺는 곳에 있다. 부인 인동장씨(仁同張氏)와 합장되어 있는 단분(單墳)이며, 봉분이 둥근 모양의 원분(圓墳)이다. 봉분에는 지대석을 놓고 그 위에 장대석으로 호석을 둘렀다. 묘역은 계체석(階砌石)을 놓아 계절(階節)과 배계절(拜階節)을 구분하였다. 봉분 전면에는 묘비(墓碑)와 상석(床石), 향로석(香爐石)이 차례로 배치되어 있으며 상석의 좌우 끝에는 동자석이 서 있다. 동자석의 좌우로 거리를 두고 한 쌍의 망주석(望柱石)과 문인석(文人石)이 배치되어 있다.

[현황]

공주 이귀의 묘는 2010년 12월 30일 충청남도 기념물 제18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연안이씨 문중에서 관리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이귀인조 때에 공주 성봉서사에 제향되었다는 『연안이씨족보』의 기록과 이귀 묘와 묘비가 1641년(인조 19)에 이미 공주 이인에 세워진 사실, 이귀의 장자이고 이시백의 손자인 이상주와 증손 이영의 묘와 묘비가 만수리에 있는 점 등이 기록으로 남아 있다. 이것은 당시 연안이씨 가문이 이인 지역에서 활발한 사족 활동을 펼쳤음을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가문의 위상을 알게 해준다. 또한 공주 이귀의 묘는 조성 시기가 분명하고 비교적 온전하게 형태를 보존하고 있는데, 17세기 무덤의 형태를 전형적으로 보여준다는 점에서 역사적 가치가 높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