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501
한자 武寧王陵誌石
영어의미역 Stone Epitaphs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유물(일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웅진동 360번지]
시대 고대/삼국 시대
집필자 서정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4년 7월 9일연표보기 - 무령왕릉 지석 국보 제16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무령왕릉 지석 국보 재지정
성격 묘지석
제작시기/일시 525년연표보기
제작지역 공주
재질 각섬석암
길이 35㎝
너비 41.5㎝
소장처 국립공주박물관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34[구 웅진동 360]지도보기
소유자 국유
관리자 국립공주박물관
문화재 지정번호 국보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관광단지길 국립공주박물관에 있는 백제 시대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2매의 명문석(銘文石).

[개설]

지석이란 죽은 사람의 행적이나 무덤의 소재지를 기록하여 묻은 판석(板石)이나 도판(陶板)을 말한다. 대개 본관과 이름, 조상의 계보, 태어난 날, 사망일, 행적, 가족 관계, 무덤의 소재와 방향 등이 기록되며, 무덤의 앞이나 옆에 묻는다. 이러한 지석은 묘지(墓誌)와 묘명(墓銘)으로 구분되는데, 묘지는 산문으로 된 것을 말하고, 묘명은 시로 읊은 운문을 말한다.

무령왕릉 지석은 모두 2매인데, 하나는 왕의 것이고 다른 하나는 왕비의 것이다. 지석 두 개가 무덤으로 들어가는 통로인 연도 입구에 나란히 놓여 있었는데, 그 중 왕의 것은 앞면에 이름과 사망일, 안장한 날짜 등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천간(天干) 8자와 지지(地支) 9자가 새겨져 있다. 왕비의 것은 앞면에 사망일과 개장일이 새겨져 있고, 뒷면에는 토왕·토백·토부모에게 땅을 사서 무령왕릉을 만들었다는 내용이 들어 있다.

[형태]

두 점 모두 장방형의 판석으로 되어 있는데, 왕의 것은 세로 35㎝, 가로 41.5㎝, 두께 5㎝이고, 왕비의 것은 세로 35㎝, 가로 41.5㎝, 두께 4.7㎝로 거의 같은 크기, 같은 모양이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2매의 지석에 중앙보다 약간 상단에 구멍이 하나씩 뚫려 있다는 사실이다.

[특징]

무령왕릉 지석에는 피장자의 이름(사마왕), 사망일(523년 5월 7일), 나이(62) 등은 있지만, 조상의 계보와 태어난 날, 행적 등은 나와 있지 않다. 따라서 무령왕의 아버지가 누구인지 불분명하며, 태어난 날도 461년(개로왕 7)인지, 아니면 462년인지 알 수 없다. 행적에 대한 설명도 생략되어 있다.

왕비 또한 사망일(526년 12월)은 나와 있지만 이름, 조상의 계보, 나이, 태어난 날, 행적 등에 대한 설명은 없다. 더구나 무령왕릉에서 출토된 치아는 30대 여성의 것으로 밝혀져 더더욱 왕비에 대한 궁금증을 자아낸다.

[의의와 평가]

무덤에서 지석이 출토된 것은 삼국시대 고분 중에서는 유일하다. 삼국시대 고분 중에서는 유일하게 피장자와 축조 시기가 밝혀짐으로써 백제 문화 연구에 획기적인 전기를 마련하였고, 더 나아가 제작 연대를 알 수 없는 다른 삼국시대 문물 연구시 비교 기준이 된다는 점에서 그 의의는 아주 크다.

이외에도 『삼국사기』의 내용을 보완할 수 있고, 백제에서 송나라의 원가력(元嘉曆)을 사용하고 있었다는 사실, 백제인의 내세관, 도교 사상, 백제의 상장(喪葬) 제도 등을 알 수 있다는 점에서 대단히 의의가 크다. 1974년 7월 9일 국보 제163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국보로 재지정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