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101
한자 公州盆地
영어음역 Gongjubunji
영어의미역 Gongjubunji Basin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분지
길이 약 25㎞
4㎞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에 있는 옥천습곡대와 경기육괴 사이의 분지.

[개설]

공주 지역의 산계(山系)를 크게 보면, 북부와 남동부의 능선들은 대체로 북북동이나 남북 방향이 우세하지만, 중앙부의 공주분지를 둘러싼 해발 고도가 낮은 능선들은 대체로 N30~40E의 방향성을 띄고 있다. 한편 공주 지역의 산계는 계룡산지에 관입한 반암 등의 영향으로 이루어진 점, 약산묵방산 일대의 능선이 주로 호상 편마암으로 이루어진 점, 연미산·채죽산·사미산을 잇는 능선이 단층선의 주향과 평행하게 발달한 점 등을 고려할 때, 지질 분포와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공주 지역에 발달한 전체적인 하계망의 유형은 본류에서 나뭇가지처럼 뻗어나간 것이 특색인 수지상 패턴이다. 하계는 크게 ‘ㅅ’자 모양의 금강 하계, 금강에 합류되는 대소의 하천 하계, 남쪽에서 남서류하여 금강 하류로 합류하는 하천 하계, 남동부에서 북동류하여 금강 상류로 유입되는 하천 하계 등 4가지로 분류된다.

금강이 ‘ㅅ’자 모양의 하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절리나 단층선과 관련된 지질 구조선이 하천의 발달 방향을 유도하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고려할 때, 금강 변을 따라 단층 운동과 같은 구조 운동이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금강으로 유입되는 하천들은 대체로 금강과 거의 직교하며 유입된다. 이와 같은 직각상 패턴의 하계망이 형성되는 원인은 일련의 지질 구조선이 직각으로 만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금강으로 유입되는 소하천들의 상류는 능선들의 지배를 받아 능선들의 방향과 거의 평행하며, 이들은 거의 직선적이긴 하나 대체로 초기 수지상 하계의 특징을 보인다. 공주 지역에서 특이하게 곡류가 발달한 부분은 북서부의 유구천, 북동부의 대교천, 중부의 용성천·구곡천이며 이들은 모두 감입사행의 특징을 보인다.

[자연환경]

차령산맥과 노령산맥 사이에 있는 공주 지역은 크게 산지 지형과 분지 지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 산지 지형은 북부의 차령산맥이 북동에서 서남으로 뻗어 무성산[614m]·금계산[574m] 등 여러 산을 형성하고 있으며, 남동부의 경우는 천황봉[846.1m]을 최고봉으로 계룡산지가 거의 남북으로 뻗는 400m 이상의 고지대를 형성하고 있다.

공주 지역의 중앙부에 있는 공주분지월성산[313m]을 최고봉으로 하여 대체로 200m 미만의 구릉이 있는 산지인 공산성·주미산·봉황산·연미산·취리산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금강공주분지의 중앙부를 동서 방향으로 관류하면서, 유구천·정안천·대교천·제민천·혈저천 등 크고 작은 지류군과 합류하고 있다. 그러나 대하천인 금강이 관류하지만, 공주 지역에는 금강 북부의 일부 지역과 남부 중앙의 논산시와의 접경 지대를 제외하고는 평야가 거의 없다.

[현황]

공주분지는 행정구역상으로는 공주시를 비롯하여 청양군 목면·정산면·장평면·청남면이 포함된다. 공주분지의 길이는 약 25㎞, 폭은 약 4㎞의 마름모꼴의 형태로 북동 남서 방향으로 발달하였다. 공주분지 주변부를 따라 단층대가 발달해 있으며, 분지와 기반암과는 주향 이동 단층으로 경계 지워져 있으며, 공주분지 내에는 백악기 쇄설성 퇴적암이 분포하고 있다.

공주분지는 대부분 표고 200m 내외의 산지와 그 사이의 곡저 충적 평야를 비롯하여 100m 이하의 구릉지 등이 발달해 있다. 공주분지의 중앙에는 분지와 평행하게 금강이 흐르고 있으며, 이에 유구천·정안천·도천·청룡천·검상천·용성천·왕촌천·대교천·혈지천 등의 하천들이 금강에 유입하고 있다. 이들 하천은 공주분지 내에서는 직각 하천 또는 격자상의 수계를 보여주나, 공주분지의 북서부에서는 직각상과 수지상을, 그리고 분지 남동부의 기반암 내에서는 수지상의 수계로 발달해 있다.

공주분지는 중생대 쥐라기 대보 조산 운동을 전후하여 15~20㎞의 심처에서 형성된 연성 전단대가 지표의 침식 작용으로 지표상에 노출됨으로써 주향 이동 단층대로 변하였으며, 단층 활동이 계속됨에 따라 트랜스탠션(transtension) 운동에 의하여 형성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