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향토문화백과 > 삶의 방식(생활과 민속) > 생활 > 의생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몸에 걸치거나 입었던 의복 및 이와 관련한 생활 풍속. 의생활은 주로 지리·기후·지형과 같은 일정 지역의 자연적 환경이나 경제·사회·문화와 같은 사회적 환경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환경의 차이에 따라 각 지역의 의생활은 조금씩 달리 나타날 수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특히 평상복보다는 의례복과 관련된 의생활에서 조금 더 두드러질 수 있다. 즉 관례복·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상을 당했을 때 입는 옷. 상례는 죽은 사람을 장사지낼 때 수반되는 모든 의례를 말하며, 장사지낼 때 입는 복식을 상례복이라고 한다. 상례복에는 상이 났을 때 죽은 사람이 입는 옷인 수의와 ‘살아 있는 사람’이 ‘죽은 사람’을 위하여 입는 옷인 상복이 있다. 예로부터 우리나라는 상례를 중시하였으며, 상례의 예로서 상가에서는 상주를 비롯한 가족들이 상복을 착용...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상례를 치를 때 망자에게 입히는 옷. 수의는 인간의 죽음에 있어 시신(屍身)에 새로 갈아입히는 옷, 즉 습의(襲衣)를 말한다. 과거에는 시신을 싸는 데 쓰이는 염의(殮衣)와 구분하였으나 현재는 염습(殮襲)의 모두를 수의라 통칭한다. 이러한 수의는 망자의 생존 시 사회적 지위·신분·성별 등을 가름해 주기도 한다. 고려시대 이전까지는 수의에 대한 자료가 거의 없...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의례를 거행할 때 입는 옷. 의례복(儀禮服)은 의례 때 특별히 갖추는 의복으로 가장 큰 의례는 사례(四禮), 즉 관혼상제(冠婚喪祭)였다. 특히 혼례 때 일반가에서는 최상의 치레를 하게 되므로 이를 통해 우리나라 일반 서민의 의생활 수준을 가늠할 수 있다. 1. 관례복 관례(冠禮)란 남자는 관을 쓰고 여자는 비녀를 꽂아 어른이 되는 예식이다. 남자 성인식을 관...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몸을 치장하기 위해 쓰던 물건. 장신구는 신체 일부에 끼거나 걸치는 장식품과 의복의 장식을 위해 사용되는 소품이다. 장신구는 몸치장 뿐 아니라 벽사적(僻事的)·주술적인 의미를 담고 있으며, 집안에 경사가 있을 때 주로 착용하였다. 김제 지역에서 사용했던 장신구의 종류에는 반지·화관(花冠)·댕기·비녀·목걸이·노리개 등이 있다. 반지는 어느 지역에서와 마찬가지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제사를 모실 때 입는 옷. 제례는 조상 숭배의 의례로서 제사라고도 한다. 제사는 죽은 조상을 받드는 예절로 제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이 제례 복식을 갖추어 입었는데, 제사의 내용이나 입는 사람의 신분에 따라서 복식이 다르다. 제례 복식의 제도는 조선시대까지는 잘 준수되었으나 신분 제도가 무너지면서 많은 변화를 보였다. 제사는 대상에 따라 기제사(忌祭祀), 시조제...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사람들이 일상적으로 입었던 옷. 옷은 지역과 신분, 그리고 시대 상황에 따라 변화를 보인다. 각기 처한 상황에 따라 옷과 신발, 장신구에 머리 모양까지 달랐다. 시대, 환경, 문화에 따라 옷은 변화 발전해 왔다. 특수 상황이 아닌 일반적으로 입는 옷은 평이하였다. 활동성과 멋을 추구한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이다. 평상복이라 하더라도 양반과 평민은 신분에...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혼인할 때 신랑과 신부가 입는 옷. 혼례는 성이 다른 남녀가 일생에서 가장 의미 있는 통과의례로 이러한 혼례 의식에서 착용하는 옷과 수식을 혼례 복식이라고 한다. 사례 복식 가운데 어떠한 복식보다도 화려했던 전통 혼례 복식은 조선시대부터 민가에서 착용하였다. 신랑·신부가 착용했던 혼례복의 종류와 형태는 이재(李縡)[1678~1746]의 『사례편람(四禮便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