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김제문화대전 > 김제의 마을 이야기 > 죽산면 내촌마을 > 마을 주민들의 일상 > 동네 사람들 이야기
-
내촌에는 마을회관 건물이 두 개 있다. 1982년에 마을 주민들이 십시일반으로 쌀을 모아서 지은 예전 노인회관과 1998년에 새로 지은 마을회관이 그것이다. 예전 건물은 공간이 좁고 낡아서 새로 만들었지만, 과거의 회관도 쓸모가 없다고 허물지는 않았다. 처음 만들어진 노인회관은 동네 주민 김선균 씨 집안에서 마을을 위해 땅을 희사했고, 주민들이 형편에 맞게 조금씩 쌀을...
-
논농사가 일반적인 내촌에 유일하게 있는 과수원! 1967년, 우연히 심었던 몇 그루의 배나무가 시작이었다. 2003년경 정부로부터 친환경 저농약 농장으로 인증을 받은 이 과수원은 마을 토박이 박성균 할아버지의 젊음이 고스란히 담겨 있는 곳이기도 하다. 박성균 할아버지는 젊었을 때부터 과수원을 한 것이 아니었다. 그는 전북대학교 농과대학을 졸업한 재원으로 수년간 공직에서...
-
양순애[호적명 양복자, 1938년생] 할머니는 마을에서 정거장댁으로 불린다. 중멀댁, 진흥댁, 광활댁 등 마을 할머니들 대부분이 지명을 딴 택호(宅號)로 불리고 있는데 정거장댁이라니? 양순애 할머니 집을 물으면 못 찾다가도 “정거장댁 할머니요.” 하면 다 알아듣는 주민들을 보면서 왜 그런 택호가 붙여졌는지 궁금해졌다. 택호는 여자들이 결혼 후 갖게 되는 또 다른 이름으로...
-
“안우상이 만나 봤어? 우리 동네서는 안우상이가 유명혀. 그 집 얘기를 들어 봐야 한다니까 그러네.” 내촌마을 이야기를 듣고자 주민들을 만나던 중 김분순[1933년생] 할머니가 우리에게 ‘안우상이란 인물에 대해 조사해 보라고 권유했다. 안우상? 우리는 처음에 안우상이란 인물이 남성인 줄 알았다. 그리고 개인적으로 조사를 다니면서 할머니[여성]들 이야기에 집중해 왔기에 크...
-
내촌마을에는 유독 큰 집에서 덩그러니 홀로 사는 할머니들이 많다. 강순례[1927년생] 할머니도 마찬가지이다. 부안 백산이 친정인 할머니는 열일곱 살 때 얼굴도 한 번 본 적 없는 할아버지와 혼례를 올리고, 하루도 되지 않아 바로 시댁으로 왔고, 현재까지 그곳에서 살고 있다. 처음 내촌으로 시집 왔을 때, 집은 방 한 칸, 부엌 한 칸이 전부였다. 열아홉 살에 첫딸을 낳...
-
여름 한낮, 너머뜸 어귀 강순례 할머니 댁 그늘진 담장 밑은 오가는 이들의 휴식처이자 울 밖의 사랑방 같은 곳이었다. 겨울에도 강순례 할머니의 울안에 있는 작은 사랑채에는 군불을 때는 아궁이가 있어 추운 날 불을 지펴 놓고 몇 분이 모여 도란도란 정담을 나눈다고 한다. 처음 우리가 강순례 할머니 집을 방문할 당시, 할머니 두 분이 얇은 비닐을 깔고 담장 밑에 앉아 있었다. 그래서...
-
바쁜 농사철의 농촌에서는 마을에 들어서도 사람들을 만나는 것이 어렵다. 마을길에서 마주치는 사람이 없어 이집 저집을 방문하다 보니 마침 한 할머니가 손수레에 뭔가를 싣고 있었다. 밭에 가야 한다며 서두르는 모습에 이야기를 청하기가 어려웠다. “암만히도 오늘 아니먼 낼 비가 올 것 같아서, 비오기 전에 깨를 털어야 흥게.” 그래서 손수레를 끌고 바삐 움직이는 할머니의 뒤를 따라 홍산...
-
바람도 없이 무더운 여름날이었다. 내촌을 찾아가는데 동네 어귀에 위치한 집 은행나무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는 분을 만날 수 있었다. 할아버지는 1인용 평상에 누워 은행나무가 드리우는 그림자에 몸을 맡기고 있었다. 잠시 시간을 내달라고 청하자 처음에는 휴식을 방해한 낮선 방문객이 달갑지 않은 듯하였지만, 잠시 후에 그동안 마음에 담아 두었던 이야기를 꺼냈다. 정판규[1...
-
꼭두새벽마다 장순례[1938년생] 할머니는 자리에서 일어나 밭으로 나간다. 3년 전 덧없이 할아버지를 떠나보내고 홀로 농사일을 하는 게 쉽지 않아 벼농사는 그만둔 지 오래다. 사실 할아버지가 계실 때도 농사일은 할머니 몫이 컸다. 할아버지는 농사일보다 더 좋아했던 일이 있었기 때문이다. 칠순 농민 마라토너로 유명한 고(故) 정현모 할아버지가 바로 할머니의 돌아가신 반려자이다. 워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