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평원 누각에 제하다」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801948
한자 題沙平院樓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문학
유형 작품/문학 작품
지역 서울특별시 강남구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정인숙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저자 생년 시기/일시 1168년 - 이규보 출생
저자 몰년 시기/일시 1241년 - 이규보 사망
배경 지역 사평원 -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지도보기
성격 한시|고율시
작가 이규보(李奎報)[1168~1241]

[정의]

고려 후기 이규보사평원 누대에서의 감회를 읊은 한시.

[개설]

「사평원 누각에 제하다」이규보(李奎報)[1168~1241]의 문집인 『동국이상국집(東國李相國集)』 제10권에 수록되어 있다. 사평(沙平)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한남동과 마주하는 지금의 서울특별시 강남구 신사동 일대로 서울에서 남부지방으로 오가는 길목 중의 하나였다. 백사장이 넓게 퍼져 있어 이 일대를 사평[모래벌]이라고 하였다. 사평 북쪽의 나루터는 교통의 요지로 고려 때 사평도(沙平渡)라는 나루를 설치하였고 이후에 숙박소인 원(院)을 설치하여 사평원(沙平院)이 마련되었다. 이 작품은 이규보사평원 누대에서의 감회를 읊은 한시이다.

[구성]

「사평원 누각에 제하다」는 고율시(古律詩) 2수로 구성되어 있다. 첫째 수에는 먼 길 가는 많은 사람들이 사평원에서 묵어가는 정황을 묘사하였고, 둘째 수에서는 석양이 질 무렵 사평원 누대에서 느끼는 쓸쓸함을 잘 표현하였다.

[내용]

수마행지로조수(瘦馬行遲路阻脩)[여윈 말은 더디 가는데 길은 머니]

사안료부차엄류(卸鞍聊復此淹留)[안장 풀고 여기서 묵어가리라]

정추만도초혐뇨(征騶滿道初嫌閙)[달리는 말 길에 가득하여 분주함이 싫더니]

독학호림시애유(獨鶴號林始愛幽)[외로운 학이 숲에서 울자 그윽하여 좋았네]

만장비교홍료미(萬丈飛橋虹繚尾)[무지개처럼 뻗친 다리는 만 길이나 솟았고]

천소열가익병두(千艘列舸鷁騈頭)[뱃머리 나란히 하고 천 척 배 늘어서 있네]

강산만목음난상(江山滿目吟難狀)[눈에 가득한 강산 풍경 읊어내기 어렵고]

연월무심망자수(烟月無心望自愁)[무심한 경치는 볼수록 수심에 젖게 하네]

사축인귀하일진(沙逐人歸何日盡)[이 모랫길 거쳐 가는 사람 언제나 그치겠으며]

수조해거심시휴(水朝海去甚時休)[바다 향해 흐르는 물 언제나 쉬려나]

고인불견증추창(故人不見增惆悵)[옛 친구 만나지 못해 시름만 더하거니]

낙일망망막의루(落日茫茫莫倚樓)[석양의 누대 위에 멍하니 서지 말라]

[특징]

「사평원 누각에 제하다」는 첫째 수는 제2구에 류(留), 제4구에 유(幽), 제6구에 두(頭), 둘째 수는 제2구에 수(愁), 제4구에 휴(休), 제6구에 루(樓)의 운자를 썼다.

[의의와 평가]

「사평원 누각에 제하다」는 길손들로 북적이는 사평원의 분주함과 더불어 사평원 누대에서 느끼는 쓸쓸함이 잘 어우러진 작품이다.

[참고문헌]
  • 한국고전종합DB(http://www.db.itkc.or.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