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202434
한자 民俗
영어음역 minsok
영어의미역 folk lif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북도 청주시
집필자 유지영

[정의]

민중들 사이에서 전승되어온 생활과 풍습.

[민속놀이]

청주 지역에서 전승되어오는 민속놀이로는 농악, 씨름, 줄다리기, 그네뛰기, 윷놀이, 연날리기, 자치기 등이 있다.

농악은 풀매기·벼심기 등 힘든 일을 할 때 수고를 덜고 일의 능률을 올리기 위해 거행되었지만, 정초·단오·백중·추석 등의 명절날에는 온 주민들과 함께 즐기는 오락적 기능도 담당하였다.

특히 정초의 경우에는 오락일 뿐만 아니라 신앙적 행사의 구실도 하여, 집집마다 돌아다니며 지신밟기 등의 액막이굿과 우물을 도는 샘굿을 하기도 하였다.

농악대의 구성은 대개 상쇠를 비롯해 징·장구·북·소고 등을 치는 사람들, 농기(農旗)와 영기(令旗) 1쌍, 무동·대포수 등 흥을 돋우는 무리 등 10~20명으로 구성되었고 가락은 주로 자진모리를 썼다.

1992년 충청북도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된 청주농악은 진풀이·법고놀이와 인사굿·꽃봉우리굿·채상굿·갈지굿 등으로 구성되며 굿의 변화가 다양하고, 가락이 빨라 생동감을 느낄 수 있는 게 특징이다.

[민속놀이]

씨름은 단오절과 상원일(上元日)에도 거행되었지만 백중일에 가장 성대하게 벌어졌다. 백중은 머슴들의 명절이며 씨름이야말로 이들의 힘을 과시할 수 있는 최상의 기회였다. 경기는 백사장에 적당한 넓이의 원형 씨름판을 만들어 놓고 거행했는데, 큰 씨름판이 벌어지면 남녀노소 함께 술과 음식을 장만해 구경하며 하루를 즐겼다.

근래의 청주지역의 씨름은 운호고등학교가 1969년 3월 씨름부를 창단한 것을 기점으로 김광식, 박광덕 등 출중한 씨름선수가 배출되고 있다.

줄다리기는 매년 개최되는 청주사랑어울마당 행사와 흥덕구 모충동의 지역축제인 구룡축제에서 전승되고 있다.

자치기는 어린이 놀이로서 적당한 길이의 긴 막대기와 짧은 막대기 두개를 사용해 논다. 놀이 방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어린이들이 편을 갈라 땅바닥에 원을 그려 놓고 긴 막대기로 짧은 막대기를 쳐서 날려보내는데, 이것을 상대방이 잡으면 편을 바꾸고 못 잡으면 날아가 떨어진 막대기와 원까지의 길이를 재어서 자수내기를 한다. 이 밖에도 제기차기·고누·장치기 등의 놀이가 있다.

[동제]

청주 지역 동제는 다른 시·군에 비해 빠른 산업화 도시화의 진전에 따라 다소 빈약하게 남아있다.

최근 청주시에 편입된 월오동운동동 등 동남부의 마을에서만 아직도 동제가 이어지고 있다. 월오동의 장승제는 남녀 장승을 모시는데 장승은 2년에 한 번씩 정월 대보름에 세운다.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제를 올리며, 동네 뒷산인 선도산(仙到山)[547.2m]의 입석 2기를 선도할아버지와 선도할머니라 칭해 함께 모신다.

운동동은 돌할아버지와 돌할머니라고 칭하는 돌미륵을 모시는데, 옛날에 마을사람들이 현몽에 의해 흙 속에서 파낸 것이라고 한다. 정월 14일 밤에 제물을 차리고 이장부인이 제주가 되어 제사를 지내며, 부녀자들만이 참여하는 특이한 동제이다.

그 밖에 동민이 모두 참여하는 동제의 형태는 찾아볼 수 없으나 개인적인 치성이나 고사 행위가 많이 이어지고 있다. 특히, 청주의 진산인 우암산(牛岩山)[338m]은 전래 민간신앙의 온상으로 아직도 많은 사람들의 발길이 끊이지 않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