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서원(西原). 예조 참판을 지낸 곽열(郭說)의 9세 손이며, 승지를 지낸 곽희태(郭希泰)의 8세손이다. 곽치능(郭致能)[?~?]은 어릴 때부터 부모에게 효도를 다하였다. 가난한 가운데서도 정성껏 좋은 음식으로 공양하였고, 겨울에는 잠자리를 따뜻하게 하고 여름에는 시원하게 만들어 부모를 모셨다. 어머니가 눈병을 앓아 바깥출입이 어려워지...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이다. 권학경(權學經)[?~?]은 타고난 성품이 몹시 효성스러웠다. 아버지가 죽자 초상에서 장례까지 예법에 어긋남이 없었으며, 밤에는 아버지의 관을 붙잡고 슬퍼하고 낮에는 어머니의 마음을 위로하였다. 초상을 치르고 삼 년 동안 시묘를 살며 아침저녁으로 정성을 다해 준비하여 제사를 올리고 추모하였다. 어머니를 섬기는 데 있어...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언양(彦陽), 자는 중정(重精)이다. 이조 참판을 지낸 김자(金赭)의 8세 손이며, 현감을 지낸 김덕윤(金德潤)의 고손자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좌승지를 지낸 김응상(金應祥), 할아버지는 좌승지에 추증된 김정립(金挺立)이다. 아버지는 감역을 지낸 김석(金晳)이다. 김남수(金南粹)[?~?]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병부판서 의성군 김광부(金光富)의 11세 손이고, 이조 참의를 지낸 김로(金路)의 10세 손이며, 승지를 지낸 김신정(金愼貞)의 5세 손이다. 김득휘(金得輝)[?~?]는 천성이 타고난 효자로서 지극한 효성으로 부모와 조부모를 섬겼다. 아버지가 등에 큰 종기를 앓아 증세가 심해지자 입으로 고름을 빨아내 병이 낫게 했고...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언양(彦陽)이다. 충신 김응상(金應祥)의 6세 손이며 목사 김동연(金東淵)의 아우이다. 김의연(金義淵)[?~?]은 어릴 때부터 성품이 바르고 지극한 효자였다. 네다섯 살 때에 어머니가 병이 들어 “내가 죽으면 누구에게 의지하겠느냐?”라고 걱정하자 “어머니가 돌아가시면 제가 어찌 혼자 살 수 있겠습니까. 어머니를 따라 죽겠습니다.”라고...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김주수(金柱秀)[?~?]는 가난한 집안 형편에도 불구하고 부모를 지극 정성으로 섬겼다. 아버지가 늙고 병세가 깊어져 소의 생간을 먹고 싶어 하자, 나무를 내다 팔아 생계를 유지하던 가난한 살림에도 이웃집의 소를 잡아 아버지께 생간을 드려 병을 고쳤다. 또, 아버지가 위장병을 앓아 음식을 잘 삼키지 못하고 병세가 깊어...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주(晉州)이다. 대제학을 지낸 양곡(陽谷) 소세양(蘇世讓)의 후손이다. 소휘만(蘇輝萬)[?~?]은 어려서부터 타고난 천성이 과묵하고 순수하였다.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삼년을 죽만 먹으며 시묘살이를 하였다. 또한 아버지가 사 년 동안 광기가 심하여 사람들이 감히 근접하지 못하고 자주 위태로운 상황에 이르렀으나, 소휘만은 아버지의 목숨을...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진천(鎭川)이다. 송영흥(宋永興)[?~?]은 어려서부터 예의가 바르고 말과 행동이 신중하였으며, 부모에게 효도하였다. 어려서 어머니를 여의고 아버지를 봉양하였는데, 자신은 좋은 옷을 입지 않고 맛좋은 음식을 가까이 하지 않았지만 구하기 어려운 음식도 반드시 구하여 아버지를 극진히 봉양하였다. 장성하여 관직에 나아가서는 아침저녁으로 안...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고령(高靈)이다. 신필권(申必權)[?~?]은 어려서부터 지극한 정성으로 부모를 섬겼으며, 형제간에 우애가 깊었다. 장성한 다음에는 옷이 춥고 따뜻한지, 음식은 입에 맞는지 아침저녁으로 안부를 살피며 부모의 몸과 마음을 편안하게 해 드렸다. 아버지가 투전놀이를 좋아하여 가세가 기울었으나 매일 한두 냥씩을 마련하여 아버지가 좋아하는 일을...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송(靑松)이다. 사서(司書)를 지낸 한죽공(寒竹公) 심지청(沈之淸)의 5세 손이다. 심지영(沈祉永)[?~?]은 부모를 섬김에 있어서 예와 정성을 다하였고, 형제간의 우애가 극진하였다. 여덟 살에 큰아버지의 양자가 되어 효성으로 부모를 봉양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이십여 년을 한결같이 약을 지어 올리며 정성을 다하였다. 본가가 근...
-
전통 시대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남편을 위해 지극정성을 다한 천안 지역의 부녀자. 열녀(烈女)란 어려움을 당하여 목숨으로 정조를 지켰거나 오랜 세월에 걸쳐 고난과 싸우며 수절한 부녀자로, 일반적으로 열녀와 열부(烈婦)를 통칭한다. 천안 지역의 열녀에 관한 기록은 『대록지(大麓誌)』, 『직산현지(稷山縣誌)』, 『영성지(寧城誌)』, 『대록삼강실록(大麓三綱實錄)』, 『여지도서(輿地圖...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무송(茂松). 고려의 명신 유금필(庾黔弼)의 후손이다, 제학을 지낸 유순도(庾順道)의 13세 손이며, 부제학을 지낸 유득시(庾得時)의 9세 손이다. 할아버지는 효자 유제민(庾濟民)이다. 유덕태(庾德泰)[?~?]는 어릴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어려운 생활을 하였다. 홀어머니를 모시면서 정성으로 효도를 다하였고, 어...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문화(文化), 호는 오기당(悟己堂)이다. 우의정을 지낸 유량(柳亮)의 후손으로, 선전관(宣傳官)을 지낸 유현수(柳顯秀)의 맏아들이다. 유주석(柳疇錫)[?~?]은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우애가 깊고 품성이 후덕하였다.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문안을 살피고 정성 어린 음식을 거른 적이 없었다. 여름에는 시원하게, 겨울에는 따뜻하게 의복을 봉양하...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지돈녕(知敦寧) 이심행(李審行)의 후손이다. 이규운(李奎運)[?~?]은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할머니 품에서 자랐다. 열 살 때 중국 진(晉)나라 이밀(李密)이라는 사람이 관직을 받고도 할머니 봉양을 위해 관직을 사퇴한 「진정표(陳精表)」를 읽고 감동하여 눈물을 흘렸다. 독서와 공부에 매진하면서도 할머니를 봉양하기 위해...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중촌(中村)이다. 이효범(李孝範)의 손자이다. 이기준(李頎俊)은 어려서부터 예의를 중시하고 효성을 다하여 부모의 뜻을 받들었다. 아버지의 병환이 위독하자 대변을 맛보고 제 손가락을 잘라 그 피를 마시게 하였으며,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초상에서 장례까지 한결 같이 예법에 따랐다. 3년 동안 움막에서 시묘 살이를 하며...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자윤(子尹), 호는 매계(梅溪)이다. 효자 이종주(李宗周)의 증손자이다. 이상익(李相益)[?~?]은 천성이 온화하여 어릴 때부터 부모를 지극한 효성으로 섬겼다. 병든 아버지가 생선이 먹고 싶다고 하자 이상익은 보(洑)로 물고기를 잡으러 나갔는데, 날마다 붕어와 검은 모래무지가 물 밖으로 뛰쳐나왔으므로 사람들이 이...
-
조선 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호는 병암(屛巖)이다. 감찰(監察)을 지낸 윤광(允光)의 증손자이다. 아들인 이간(李衎)이 1606년(선조 39) 증광시(增廣試)에 생원 3등(三等) 70위로 합격한 기록이 있으며, 딸은 윤안성(尹安性)의 후처가 되었다. 이심언(李審言)은 임진왜란 때에 판관을 지낸 숙부 여청(汝淸)과 함께 의병을 일으켜 싸운 공적으로...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덕양군(德陽君) 이기(李岐)의 9세 손이며, 구천군(龜川君) 이수(李睟)의 7세 손이다. 이재겸(李載謙)[?~?]은 어려서부터 예의 바르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아내 또한 행실이 바르고 효성스러웠다. 할아버지가 노환으로 여러 해 누워 계셨는데, 이재겸과 그의 아내는 밤낮으로 곁에서 보살피며 더운 여름과 추운 겨울에도 잠...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울산(蔚山), 자는 대숙(大叔)이다. 학성군(鶴城君) 이철(李哲)의 후손이며, 한성 판윤(漢城判尹)을 지낸 이의(李誼)의 12세손이다. 이종은(李宗殷)[?~?]은 어릴 때부터 남달리 효성이 지극하였다. 일찍 아버지를 여의고 홀로 남은 어머니를 온갖 정성을 다하여 모셨다. 워낙 집이 가난하여 자신은 새 옷 한 번 입어 보지 못했지만 음...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동래(東萊). 병조 판서를 지낸 정이한(鄭而漢)의 후손이다. 정동철(鄭東哲)[?~?]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침저녁으로 부모의 상태를 살피고 좋은 음식과 좋은 옷을 마련하는 등 극진히 봉양하였다. 또한 조상의 제사를 받들고 손님을 접대함에 있어서도 항상 예로써 행하였다. 어느 날 부모의 약을 지어 돌아오는 길에 배고픔과...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한림(翰林) 주세붕(周世鵬)의 후손이며, 사마소(司馬所)를 창건한 주여서(周汝瑹)의 7세 손이다. 주도복(周道復)[?~?]의 집안은 대대로 충효를 이어온 집안이다. 천성이 예의범절을 중시하였으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어 여러 해를 병석에 있자 허리띠를 풀지 않은 채 밤낮으로 간호하였다. 몸소...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초계(草溪). 예조 판서를 지낸 주원의(周原義)의 15대손이며, 주부(洲簿)를 지낸 주희(周熙)의 11대손이다. 주석영(周錫永)[?~?]은 천성이 효성스럽고 예의범절이 뛰어났다.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 조금도 그 뜻을 거스른 적이 없었고, 늘 온화한 얼굴로 대하였다. 아버지의 체증이 심해 위중할 때 의원이 말하기를 “정화수를 많이 마...
-
전통 시대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을 실천한 천안 출신의 인물. 충신은 나라와 임금을 위하여 충절을 다한 신하로서, 성신(聖臣)·양신(良臣)·충신(忠臣)·지신(智臣)·정신(貞臣)·직신(直臣) 등 육정신(六正臣) 중의 하나이다. 천안 지역에도 충과 관련된 인물이 많이 있어 정치적·사회적 규범으로 자리 잡았던 충 사상의 영향을 알 수 있다. 천안 지역의 효자에 관한 기록은...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취지(聚之), 호는 성와(省窩)이다. 고려 때의 충신인 몽계(夢溪) 한철충(韓哲冲)의 후손이며, 참의(參議)를 지낸 한덕해(韓德海)의 6세 손이다. 한동오(韓東五)[?~?]는 어려서부터 성품이 온유하며 부지런하였으며, 동기간의 우애와 부모에 대한 효를 지극히 중시하였다. 다섯 살 때 어머니가 죽었는데, 어린 몸이라...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이다. 한성기(韓聖基)[?~?]는 타고난 천성이 온순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일찍이 과거 시험을 포기하고 밤낮으로 문안을 드리며 부모 봉양에 정성을 다했다. 아버지가 병들어 자리에 눕자 직접 미음을 끓이고 탕약은 반드시 먼저 맛을 보았고, 대변을 맛봐아 병세를 살폈다. 또한 자신이 아버지의 병환을 대신 앓게 해 달라고 하늘...
-
조선 후기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구보(逑甫), 호는 반곡(磻谷)이다. 판서를 지낸 한철충(韓哲冲)의 10세 손이며, 감역(監役)을 지낸 한응남(韓應南)의 고손자이다. 한세기(韓世基)는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타고난 품성이 후덕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자신의 손가락을 잘라 피를 바쳤고, 어머니가 병들자 대소변의 맛을 보아 병세를 살폈다. 어머니의...
-
조선 시대 천안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자는 국로(國老), 호는 수은(睡隱)이다. 고려 때의 충신인 몽계(夢溪) 한철충(韓哲冲)의 후손이며, 효자 한동오(韓東五)의 손자이다. 한의교(韓義敎)[?~?]는 천성이 예의바르고 온화하며 부모에게 지극한 효성을 다하였다. 아버지가 여러 해 동안 병환으로 자리에 앓아눕자 아무리 춥고 무더운 날이라도 허리띠를 풀지 않았다...
-
전통 시대 천안 지역에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섬긴 인물. 우리나라에 유교가 들어온 삼국 시대부터 효 사상은 중요한 덕목이었다. 오늘날의 국립대학이라 할 수 있는 고구려의 태학(太學), 신라의 국학(國學)에서 『효경(孝經)』은 중요한 교수 과목이었다. 통일 신라 시대 원성왕 때 실시한 독서삼품과에서도 『효경』은 시험의 필수 과목이었다. 고려 시대 국립대학인 국자감(國子監)에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