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6201244 |
---|---|
한자 | 歲時 風俗 |
영어공식명칭 | Seasonal Customs |
이칭/별칭 | 세시,월령,세절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경상남도 함안군 |
집필자 | 성윤석 |
[정의]
경상남도 함안 지역에서 해마다 같은 시기에 되풀이하여 행하는 의례적인 생활 풍속.
[개설]
세시 풍속(歲時風俗)이란 원시 농경 사회로부터 인간이 주기적·관습적·의례적으로 생활 행위를 반복해 온 주기 전승(週期傳承)의 의례적인 행위를 말한다. 이를 다른 말로 세시(歲時), 월령(月令), 세절(歲節) 등이라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전통적으로 농경을 근간으로 하여 살아왔기 때문에 세시 풍속 역시 농경과 관련된 세시가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함안은 동남쪽으로는 창원시, 서쪽으로는 진주시, 북쪽에는 의령군과 창녕군이 접하고 있는 경상남도의 중앙에 위치하고 있으며, 낙동강과 남강이 합류하는 지점으로 강 주변으로 넓고 비옥한 평야가 펼쳐져 있어 예로부터 농경이 발달한 지역이다. 이러한 지리적·자연적 환경으로 인해 함안군에서도 농경과 관련된 세시가 성행할 수 있었다. 함안군의 대표적인 세시 풍속으로는 봄의 설과 대보름, 여름의 단오, 가을의 추석, 겨울의 동지 등을 들 수 있다. 하지만 현대로 오면서 이러한 세시 풍속은 소멸되거나 점차 축소되고 있는 실정이다.
[월별 세시 풍속]
1월: 설날에는 차례를 모시고, 어른들에게 세배를 드린다. 정초에는 복조리를 사서 부엌이나 집안 문 위에 걸어 두고, 토정비결을 보기도 하며, 연날리기, 자치기, 돈치기 등의 놀이를 행한다. 무당을 불러 1년의 평안을 기원하는 안택굿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입춘에는 입춘축을 붙이고, 보리 뿌리점을 치기도 한다. 대보름에는 오곡밥을 지어 먹고, 부럼깨기, 귀밝이술 마시기, 지신밟기, 달집태우기 등을 행한다.
2월: 2월 초하루는 바람을 관장하는 신인 영등 할매가 내려오는 날로, 영등 할매에게 제사를 지내는 영등 할매 맞이를 한다. 아녀자들은 과일과 떡 등을 장만하여 개울가에 가서 촛불을 켜고 집안의 평안함을 비는 용왕먹이기를 한다.
3월: 3월 한식날에는 모든 일이 탈이 없다고 하여 성묘를 하고, 묘를 손보고, 이장 등을 한다. 삼짇날에는 여자들이 머리카락을 약간 잘라서 물에 띄워 보내면 머릿결이 좋아진다고 하여 머리카락 띄워 보내기를 한다.
4월: 초파일에는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고, 연등을 단다. 함안 지역에서는 연등과 연등 사이에 참나무 숯가루로 만든 낙화를 매달아 이 낙화에 불을 붙이는 함안 낙화 놀이를 조선 중엽부터 행하고 있다.
5월: 5월은 단오가 있는 달로서 단옷날에는 약쑥을 만들고, 익모초 즙을 마시며, 창포물에 머리를 감기도 한다. 이 밖에도 씨름, 그네타기, 줄다리기 등과 같은 체력 단련을 한다.
6월: 농사가 잘 되기를 바라는 행위로 용신제(龍神祭)를 지내며, 날씨로 점을 치기도 한다. 그리고 유둣날에는 여자가 밭에 나가면 곡식이 자라지 않는다고 하여 밭에 나가지 않게 하였다.
7월: 모내기가 끝나는 6월 말에서 7월 15일을 전후한 시기에 '괭이자루 타기'라는 놀이를 행하였는데, 이날은 각 가정에서 술과 음식을 마련하여 하루를 즐기고, 고생한 머슴들을 위해 잔치를 열어 주기도 하였다. 칠석날에는 절에 가서 불공을 드리며, 합동으로 기우제를 지내기도 한다.
8월: 추석 차례를 모시고, 결혼을 하지 않은 미혼자가 한가위 보름달을 먼저 보면 결혼을 한다는 달점치기를 행한다.
9월: 조상 중에 돌아가신 날을 모르는 조상에게 9월 9일 중구에 제사를 모신다.
10월: 동신제 및 시제[묘사]를 모시며, 날씨점을 치기도 한다. 햇곡식이 나오면 제일 먼저 시준단지에 곡식을 갈아준다.
11월: 동짓날에는 팥죽을 쑤어 먹는데, 동지가 초순에 드는 애기동지에는 팥죽을 끓여 먹지 않고, 다른 동지에는 팥죽을 끓여 먹는다.
12월: 섣달그믐에 초가 탈 때 흘러내리는 촛농을 보고 점을 치는 촛농점을 행하는데, 이때 촛농이 잘 흘러야 복이 온다고 여겼다. 섣달 그믐날에 잠을 자면 눈썹이 센다고 하여 일부러 잠을 자지 않거나 잠을 자는 아이의 눈썹에 밀가루를 바르는 장난을 치기도 하였다. 이 밖에도 참새 잡기, 가재 잡기, 연날리기 등이 행해졌으며, 입동을 전후한 시기에는 김장을 담그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