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901812 |
---|---|
한자 | 禪長寺址 |
영어음역 | Seonjangsaji |
영어의미역 | Seonjangsaji Archeological Site |
이칭/별칭 | 선장사지(禪場寺址)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터 |
지역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선장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엄익성 |
성격 | 절터 |
---|---|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 고려 후기~조선 초기 |
지정면적 | 추정면적 6,000㎡ |
소재지 주소 |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 선장산 |
[정의]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포곡읍 신원리에 있는 조선시대 절터.
[개설]
1530년대에 간행된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는 선장사에 대해 “선장사재선장산(禪長寺在禪長山)”이라고 기록했다. 17세기 중엽에 발행된 『동국여지지(東國輿地誌)』에도 같은 내용이 실려 있는 것으로 보아 16~17세기에는 사찰로 운영되었던 것을 알 수 있다. 그 후 1799년에 편찬된 『범우고(梵宇攷)』에 “선장사…금폐(禪長寺…今廢)”라고 되어 있는 것으로 보아 18세기경에 폐사(廢寺)된 것으로 짐작된다.
[위치]
선장사지는 신원리 신원저수지 북서편 선장산 남향 기슭에 이애·경신공주 묘소에서 북서쪽으로 70m 정도 거리에 자리한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선장사지에 대한 조사는 1942년에 간략한 조사가 있었다. 1970년대 문화재관리국에 의한 조사에서 이애와 경신공주를 위한 원찰(願刹)로도 추정했으나, 확실한 근거는 없다.
이 후 명지대학교 박물관의 조사에서 석조불상편 1점과 명문와가 채집되었다. 석조불상은 파편상으로 목의 삼도(三道)와 우견편단(右肩偏袒)한 법의(法衣)만 확인되고, “연선장사조와동량정심(年禪場寺造瓦棟梁正心)”이라 새겨진 명문와를 통해 선장사(禪場寺)로도 불렸음을 알 수 있다.
[현황]
절터는 남향을 하고 있으며, 개울까지 이어지는 완만한 능선상에 3단으로 축대를 활용한 계단식 평지를 조성하여 전체 절터를 마련하였다. 제일 윗단이 가장 넓어(면적:50×20m) 중심 건물지로 추정된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산지가람 형태를 비교적 양호하게 보존하고 있다. 절터에서 발견되는 유물은 주로 15~16세기로 편년되는 자기편과 어골문·파문 등이 시문된 조선시대의 기와이다. 이는 문헌 기록상의 시기와 부합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