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정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901307
한자 政治
영어음역 Jeongchi
영어의미역 Politics
분야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경기도 용인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전미영

[정의]

경기도 용인시에서 지역민을 통해 획득한 권력을 행사하여 지역 발전을 도모하는 총체적 활동.

[해방 이전]

해방이전까지 용인 지역의 정치는 주로 국가 기구에 의한 권력 작용, 즉 국가의 지역 주민에 대한 일방적인 통치 행위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왔다. 일찍이 백제의 온조왕이 하남 위례성을 도읍지로 하여 건국한 이래 용인 지방은 백제의 영토에 귀속되어 오랫동안 백제의 통치를 받았다.

이후 용인 지방을 고구려 제20대 장수왕이 475년(장수왕 63)에 3만 대군을 이끌고 남정하여 고구려 영토로 귀속시킴으로써 이전의 용구현(龍駒縣)에서 구성현(駒城縣)으로 명칭이 변경됨과 더불어 고구려의 중앙집권적 군현 제도에 의해 통치되었다.신라의 삼국통일을 전후하여서는 신라의 통치를 받는 지역이 되었으며 고려의 건국으로 다시 고려의 통치를 받는 지역이 되었다. 757년(태조 23)에 전국의 주·부·군·현의 명칭이 변경되면서 용인 지방은 광주대도독부의 용구현(龍駒縣)이 되어 통치를 받았다.

또한 조선조인 1413년(태종 13)에는 용구현처인현과 합쳐지면서 용인현으로 지칭되었고 광주목에 소속된 현의 하나로 통치되었다. 당시 용인현은 동변면, 서변면, 구흥면, 수진면, 지내면, 기곡면, 수여면, 포곡면, 모현촌면, 현내면, 도촌면, 남촌면, 상동촌면, 하동촌면, 서촌면으로 구성되었다.

그 후 용인현은 광주목의 관할 구역으로 통치되어 왔으나 방면(坊面)이 6방에 불과하였다. 이에 성종 대인 1470년 당시 현감 양원의 상계로 죽주(竹州)의 고안, 대곡, 목악, 제촌 등 4부곡을 영현(領縣)으로 하고 충청도에서 경기도로 내속(來屬)되어 통치되기에 이르렀다.

1895년(고종 32) 4월에는 전국 아문의 칭호를 부로 고치는 지방 관제 개혁에 따라 용인현(龍仁縣)용인군으로 개칭되어 통치를 받았으며 이듬해인 1896년에는 경기도의 4등군(等郡)이 되었다. 이후 일제강점기에 이르러 조선총독부가 조선에 대한 지배권을 행사하게 되면서 1914년에 조선의 행정구역을 대대적으로 개편하였다. 이에 용인군도 같은 해에 기존의 양지군과 통합되어 조선총독부의 통치를 받다가 해방을 맞이하게 되었다.

[해방 이후]

정당은 현대 정치의 생명선이라는 말처럼 현대 민주 정치는 주로 정당을 중심으로 이루어진다. 한국도 해방 이후 민주주의를 바탕으로 한 정부가 수립됨과 더불어 정당에 관한 규정을 헌법과 법률에 명문화하고 구체화함으로써 근대적인 의미의 정당 활동 및 정당 정치가 전개되었다.

그러나 구 용인군의 경우 제헌 국회의원 선거 당시에는 지역 내 정당 지구당이 없었을 정도로 정당 활동이 미미하였다. 다만 이승만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던 대한독립촉성국민회 소속 유기수와 지청천을 중심으로 만들어졌던 대동청년단의 민경식이 출마·당선되어 제헌국회의 의원으로 진출하였다.

1950년 5월 제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총 8명의 후보가 경선하였으나 7명이 무소속이었고 제헌의원이었던 민경식만 국민당으로 출마하여 낙선하였다. 이 선거에서는 무소속의 유기수가 당선되었으나 한국전쟁으로 납북되었다. 용인 지역에서 정당 활동이 어느 정도 면모를 갖추기 시작한 시점은 1952년경으로 추정된다. 1952년에 용인군 12개 면에서 139명의 면 의원이 선출되었다. 당시 정당별 당선자를 보면 무소속이 59명, 대한청년단이 50명, 국민회의가 24명, 자유당이 5명, 국민당이 1명이었던 것으로 파악된다.

한국 정치는 물론 용인 지역 정치에서 본격적인 정당 중심의 정치 활동이 이루어진 시기는 1963년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1963년 11월에 실시된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후보자 등록 요건에 정당 공천을 의무화하였다. 따라서 무소속 출마가 금지되었고 자유민주당의 최봉관, 민주당의 김윤식, 신민당의 강희갑, 민주공화당의 서상린 등이 경합한 결과 민주공화당의 서상린이 당선되었다. 이후 서상린은 제10대에 이르기까지 내리 5선을 하게 된다.

유신 헌법에 의해 제4공화국이 들어선 이후 처음 실시된 제9대 국회의원 선거는 전체 73개 선거구에서 2인씩 선출하는 중선거구 제도가 채택되었으며 그동안 금지되었던 무소속 출마도 허용되었다. 이와 더불어 기존의 용인·안성을 하나로 했던 선거구도 평택·용인·안성을 하나로 하는 선거구로 확대·개편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민주공화당의 서상린, 신민당의 유치송, 민주통일당의 유택형, 그 외 무소속 2인이 출마하여 서상린과 유치송이 당선되었다. 1978년 12월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5명의 후보가 출마해 유치송과 서상린이 각각 1, 2위로 당선되었다.

정당 활동을 심하게 제약했던 유신체제인 제4공화국이 종결되었음에도 1980년 5·17조치로 새롭게 권력을 장악한 신군부에 의해 기존의 정당들이 모두 해체되는 등 정당 정치의 악순환은 계속 이어졌다. 이후 국가보위입법회의에서 개정된 새 ‘정당법’에 의해 새로운 정당들이 창당됨과 더불어 1981년 3월 제11대 국회의원 선거가 실시되었다.

제11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기존의 선거구가 용인·이천·여주를 하나로 하는 선거구로 개편되었다. 이 선거에서는 당시 여당이었던 민주정의당의 정동성, 제1야당이었던 신한민주당의 조종익, 민주사회당의 이찬구, 그 외 무소속 3인이 출마하여 정동성과 조종익이 각각 당선되었다. 정동성과 조종익은 1985년 2월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도 또 다시 당선되었다.

1987년 6월 항쟁으로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지고 1988년에는 제6공화국이 들어섰다. 이와 더불어 같은 해 3월 소선거구제를 골자로 하는 ‘국회의원 선거법’이 통과 되었으며 뒤 이어 실시된 4월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총 14개의 정당이 참여한 가운데 용인 지역에서는 민주정의당의 이웅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후 이웅희는 제15대에 이르기까지 내리 3선을 하게 된다.

1991년 지방자치제가 부활되면서 용인 지역의 정당 정치 활동도 보다 활성화되는 전기를 맞게 되었다. 1991년 6월 20일 실시한 도 의회 의원선거에서 제1선거구의 조영희 당선자만 무소속이었고 2선거구 김학규와 3선거구 곽만식은 모두 민자당 소속이었다. 1995년 6월 4대 지방의회 의원 선거에서는 전국적으로 민주당이 약진하였다. 용인시에서도 경기도의회 의원으로 뽑힌 3명 중 2명이 민주당 소속이었다. 그러나 용인군수 선거에서는 민자당 윤병희 후보가 당선되었다.

1996년 4월 1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신한국당의 이웅희 후보가 당선되었으며 2000년 4월 16대 총선에서는 용인시 갑선거구, 을선거구 모두에서 민주당 후보인 남궁석과 김윤식 후보가 각각 당선되었다. 2004년 총선에서는 용인시 갑, 을 선거구에서 각각 우제창 열린우리당 후보와 한선교 한나라당 후보가 당선되었다. 그러나 2007년 열린우리당 우제창 의원이 열린우리당을 탈당하고 중도통합민주당에 참여함에 따라 정당 간의 새로운 역학 관계가 형성되고 있다.

[정치의식의 변화]

용인시의 정치의식은 지금까지 선거에서 나타난 정당 지지도를 토대로 볼 때, 대체로 보수적인 성향을 보여 왔다. 그러나 15대 대선에서 보여준 용인시의 정당 선호도는 그 이전과는 큰 차이를 보이며 주로 진보 정당에 대한 지지도가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경향은 2004년의 17대 총선에서도 그대로 재연됨으로써 용인시의 정치적 보수 성향이 다소 변화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웹사이트 플러그인 제거 작업으로 인하여 플래시 플러그인 기반의 도표, 도면 등의
멀티미디어 콘텐츠 서비스를 잠정 중단합니다.
표준형식으로 변환 및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데이터는 순차적으로 변환 및 제공 예정입니다.

용인시의 정당별 득표수 변화 추이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