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무신. 고언백(高彦伯)[?~1608]은 강화도 교동의 향리 출신으로 무과에 급제하여 군관(軍官), 변장(邊將)을 역임하였다. 1592년(선조 25) 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영원군수(寧遠郡守)로서 대동강 등지에서 왜군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하지만 계속 분전하여 그해 9월 산간으로 왜군을 유인하여 62명의 목을 베는 전과를 올렸다. 이듬해 양주에서 전투에...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택중(擇仲). 증조할아버지는 공조참의를 지낸 권령(權齡)이고 할아버지는 상주목사 출신으로 이조참판에 추증된 권박(權博)이다. 아버지는 종묘서령을 역임하고 좌참찬에 추증된 권덕유(權德裕)이다. 어머니는 창녕 조씨로 우찬성 창녕군(昌寧君) 조계상(曺繼商)[1466~1543]의 딸이다. 형은 이조판서를...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밀양(密陽). 초명은 문서(文叙), 자는 서오(叙吾), 호는 필천(泌川)·동고(東皐). 고조할아버지는 부사직을 역임한 박시림(朴時霖), 증조할아버지는 장사랑으로 통례원 좌통례에 증직된 박환(朴渙), 할아버지는 활인서 별제를 지냈고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된 박덕로(朴德老)이며, 아버지는 사헌부 장령을 지냈고 이조 참판으로...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 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菴). 증조할아버지는 백효삼(白效參)이고 할아버지는 참교를 지낸 백사수(白思粹)이며, 아버지는 왕자의 스승이었던 백익견(白益堅)이다. 어머니는 단양 우씨(丹陽禹氏)로 우종은(禹從殷)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평택 임씨(平澤林氏)로 아들 백유공(白惟恭)을 낳고 일찍 죽었다. 둘째 부인 순흥 안씨(順興安氏...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우옹(愚翁), 호는 인재(仁齋). 증조할아버지는 성부(成溥)이고, 할아버지는 성효연(成孝淵)이며, 아버지는 돈녕부 판관 성찬(成瓚)이다. 어머니는 덕천군(德泉君) 이후생(李厚生)의 딸이다. 부인은 정경부인 풍양 조씨로 조익상(趙益祥)의 딸이다. 형은 성희증(成希曾)이다. 성희안(成希顔)[1462~1...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여산(礪山). 자는 가중(可仲). 증조할아버지는 내자소윤(內資少尹)을 지냈고 이조판서에 추증된 송진생(宋辰生), 할아버지는 경원 부사(慶源府使)를 지냈고 의정부 좌찬성으로 추증된 송만달(宋萬達), 아버지는 훈련 도정을 지냈고 영의정에 추증된 송공손(宋恭孫)이다. 어머니는 박겸형(朴謙亨)의 딸이다. 부인은 남원 양씨(南...
-
임진왜란 때 경기도 양주의 해유령 전투에서 승리를 거둔 조선 전기의 무신. 본관은 평산(平山). 아버지는 신의충(申義忠)이다. 부인은 전주 이씨이다. 신각(申恪)[?~1592]은 무과에 급제하여 선조 재위 초에 연안 부사와 영흥 부사를 거쳐 1574년(선조 7) 경상 좌수사, 1576년에 경상 우병사를 역임하였다. 1586년(선조 19) 강화 부사를 거쳐 이듬해 경상도 방어사가 되...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양숙(養叔), 호는 죽재(竹齋)·죽당(竹堂). 증조할아버지는 윤사하(尹師夏)이고, 할아버지는 윤탕(尹宕)이며, 아버지는 첨정 윤응규(尹應奎)이다. 어머니는 이수동(李壽童)의 딸이다. 윤인함(尹仁涵)[1531~1597]은 1552년(명종 7) 21세에 진사가 되었고 1555년(명종 10)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5...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초(有初), 호는 쌍호당(雙壺堂). 종실[임금의 친족]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세의(李世義), 할아버지는 이생인(李生寅), 아버지는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제형(李齊衡)이다. 어머니는 남두명(南斗明)의 딸이다. 이단석(李端錫)[1625~1688]은 1650년(효종 1) 사마시에...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행(稚行).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여절(李汝晢), 할아버지는 이기흥(李基興), 아버지는 이사술(李思述)이다. 친아버지는 이사묵(李思默)이고 어머니는 송경석(宋慶錫)의 딸이다. 이민채(李敏采)[1740~?]는 충청도 덕산 출신으로 1777년(정조 1) 38세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正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자이(子異), 호는 분사(分沙)·동사(東沙). 태종의 아들인 경녕군(敬寧君) 이비(李示+非)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정(李禎)이고, 할아버지는 이희검(李希儉), 아버지는 이조판서 이수광(李晬光)이다. 어머니는 안동 김씨(安東金氏)로 의금부 도사(義禁府都事) 김대섭(金大涉)의 딸이다. 동생은 홍문관 수찬...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돈시(敦詩), 호는 조암(釣巖). 증조할아버지는 이기(李巙), 할아버지는 이정화(李廷華)이고, 아버지는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이다. 어머니는 인동 장씨로 증 참판 장민(張旻)의 딸이다. 동생은 호조 판서를 지낸 이시방(李時昉)이다. 이시백(李時白)[1581~1660]은 성혼(成渾),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아버지는 인조반정 공신 이수일(李守一)이며, 어머니는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이완(李浣)[1602~1674]은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인조반정 공신으로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던 이서(李曙)의 추천으로 만포 첨사(滿浦僉使)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온양. 자는 이령(耳齡), 호는 성재(省齋). 할아버지는 지평 정충기(鄭忠基)이고, 아버지는 헌납 정탁(鄭鐸)이다. 어머니는 성주 도씨(星州都氏)이며, 부인은 완산 이씨로 봉양부 정(鳳陽副正) 이종남(李終南)의 딸이다. 형은 형조판서 정백붕(鄭百朋)이다. 슬하에 아들 다섯을 두었는데, 정렴(鄭石+廉)은 포천 현감을 지냈다. 정...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평양. 고려 충선왕의 장인인 문하시중 조인규(趙仁規)의 4세손으로, 할아버지는 판도판서 조덕유(趙德裕)이고, 아버지는 조선의 개국공신인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 조준(趙浚)이다. 부인은 태종의 둘째딸 경정공주(慶貞公主)이다. 자녀는 아들 조무영(趙武英)과 딸 넷을 두었다. 딸 하나는 문종의 처남이었던 김중엄(金仲淹)에게...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풍양(豊壤). 자는 이원(而元). 증조할아버지는 조신(趙愼)이고, 할아버지는 공조 좌랑 조안평(趙安平)이며, 아버지는 한산군(漢山君) 조온지(趙溫之)이다. 어머니는 해주 오씨(海州吳氏)로 예빈 판사(禮賓判事) 오축(吳軸)의 딸이다. 부인은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판관 권상량(權尙良)의 손녀이고, 별제 권관(權關)의 딸...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당진. 자는 자순(子純), 호는 간이당(簡易堂). 할아버지는 한윤우(韓允祐)이고, 아버지는 세자좌세마 한근(韓瑾)이다. 어머니는 고성 이씨로 승정원 도승지 이평(李泙)의 딸이다. 부인은 평강 채씨로 채유손(蔡裕孫)의 딸이다. 한숙(韓淑)[1494~1560]은 1513년(중종 8) 진사시를 거쳐 1525년(중종 20) 식년문과에...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의 문신. 한치형(韓致亨)[1434~1502]은 외척으로 이름이 알려졌으며, 네 임금을 모시고 최고 벼슬인 영의정까지 올랐다. 큰 공적은 없지만 또한 드러난 과실도 없었다. 마음가짐이 조용하고 엄격하였으며 공무는 엄정하게 처리하였다. 조정에서 외손자에게 벼슬을 주려고 하자 “이 늙은 것 때문에 어리석은 아이에게 벼슬을 줄 수는 없다.”며 허락하...
-
경기도 양주 지역 출신이거나 양주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극진하게 봉양한 자녀. 우리나라의 전통적인 가족 제도에서는 넓게는 부모와 자식 간의 관계, 좁게는 아버지와 아들 간의 관계가 인간관계 중에서 가장 우선하는 근원적인 것으로 간주되었다. 부자 관계를 지배하는 행위 규범은 효(孝) 또는 효도로 집약될 수 있다. 효는 자식이 부모를 섬기는 유교의 도리 중 하나로 삼국 시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