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수원. 자는 사위(士偉), 호는 휴암(休菴). 증조할아버지는 백효삼(白效參)이고 할아버지는 참교를 지낸 백사수(白思粹)이며, 아버지는 왕자의 스승이었던 백익견(白益堅)이다. 어머니는 단양 우씨(丹陽禹氏)로 우종은(禹從殷)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평택 임씨(平澤林氏)로 아들 백유공(白惟恭)을 낳고 일찍 죽었다. 둘째 부인 순흥 안씨(順興安氏...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이자 실학자. 본관은 달성(達成). 자는 준평(準平), 호는 풍석(楓石). 증조할아버지는 서종옥(徐宗玉)이고 할아버지는 대제학을 지내고 『고사신서(攷事新書)』를 쓴 서명응(徐命膺)이며, 아버지는 이조판서를 지내고 『해동농서(海東農書)』를 쓴 서호수(徐浩修)이다. 외할아버지는 김덕균(金德均)이다. 부인은 송익상(宋翼庠)의 딸이다. 형은 서유본(徐有本)...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호중(浩仲), 호는 이지(二知). 증조할아버지는 군수를 지낸 신석정(申碩丁), 할아버지는 서윤(庶尹) 신단(申湍), 아버지는 승지 신경락(申景洛)이다. 어머니는 파평 윤씨로 윤기묘(尹起畝)의 딸이다. 영원군(靈原君) 신경식(申景植)에게 입양되었다. 부인은 유대일(兪大逸)의 딸이다. 형은 신육(申淯)이다. 신속(申洬)[...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선응(善應), 호는 구배헌(灸背軒)·남록(南麓)·자배헌(炙背軒). 고조할아버지는 병조 참판에 추증된 안계인(安季仁), 증조할아버지는 호조 참판을 지낸 안초(安迢), 할아버지는 조지서 별제를 지내고 형조 참의에 추증된 안자함(安子諴), 아버지는 전함사 별좌로 형조 참판에 추증된 안순(安恂)이다. 어머니는 인동 유씨(仁同...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전기의 문신. 본관은 파평(坡平). 자는 양숙(養叔), 호는 죽재(竹齋)·죽당(竹堂). 증조할아버지는 윤사하(尹師夏)이고, 할아버지는 윤탕(尹宕)이며, 아버지는 첨정 윤응규(尹應奎)이다. 어머니는 이수동(李壽童)의 딸이다. 윤인함(尹仁涵)[1531~1597]은 1552년(명종 7) 21세에 진사가 되었고 1555년(명종 10) 식년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155...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유초(有初), 호는 쌍호당(雙壺堂). 종실[임금의 친족]인 경명군(景明君) 이침(李忱)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세의(李世義), 할아버지는 이생인(李生寅), 아버지는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이제형(李齊衡)이다. 어머니는 남두명(南斗明)의 딸이다. 이단석(李端錫)[1625~1688]은 1650년(효종 1) 사마시에...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한산(韓山). 자는 치행(稚行). 이색(李穡)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이여절(李汝晢), 할아버지는 이기흥(李基興), 아버지는 이사술(李思述)이다. 친아버지는 이사묵(李思默)이고 어머니는 송경석(宋慶錫)의 딸이다. 이민채(李敏采)[1740~?]는 충청도 덕산 출신으로 1777년(정조 1) 38세에 증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여 정언(正言),...
-
양주목사를 지낸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연안(延安). 자는 돈시(敦詩), 호는 조암(釣巖). 증조할아버지는 이기(李巙), 할아버지는 이정화(李廷華)이고, 아버지는 연평부원군(延平府院君) 이귀(李貴)이다. 어머니는 인동 장씨로 증 참판 장민(張旻)의 딸이다. 동생은 호조 판서를 지낸 이시방(李時昉)이다. 이시백(李時白)[1581~1660]은 성혼(成渾), 김장생(金長生)의 문하에...
-
양주목사를 역임한 조선 후기의 무신.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징지(澄之), 호는 매죽헌(梅竹軒). 아버지는 인조반정 공신 이수일(李守一)이며, 어머니는 완산 이씨(完山李氏)로 이귀년(李貴年)의 딸이다. 이완(李浣)[1602~1674]은 1624년(인조 2) 무과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나아갔다. 인조반정 공신으로 군사력을 장악하고 있던 이서(李曙)의 추천으로 만포 첨사(滿浦僉使)가...
-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후기의 문신. 본관은 해주. 자는 대용(大容), 호는 묵수당(黙守堂)·감파(紺坡). 이름을 최호원(崔灝源)으로 개명하였다. 문헌공도의 창시자 최충(崔冲)의 후손으로, 증조할아버지는 최경(崔瓊)이고, 할아버지는 최여양(崔汝兩)이며, 아버지는 진사 최전(崔澱)이다. 어머니는 신홍점(申鴻漸)의 딸이다. 첫째 부인은 당령(堂令) 조응문(趙應文)의 딸이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