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6일에 귀신이 돌아다닌다는 날. 귀신날은 귀신이 따르는 날이라 하여 농사일과 먼 나들이나 바깥출입을 금하고 집에서 쉬었다. 이를 귀신닭날, 귀신단지날, 귀신달기날, 귀신단오 등이라고도 한다. 귀신날인 음력 1월 16일에는 집에서 쉬면서 귀신을 쫓아내고 액운을 막기 위하여 밤에 콩을 볶거나, 대문 앞에서 면화씨나 고추씨 같은 것을 태우기도 하였다....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아들 얻기를 바라면서 행하는 의례. 기자치성(祈子致誠)은 초인적인 능력을 지닌 것으로 생각되는 대상물[삼신, 부처, 바위, 고목 등]에 자식을 점지해 달라고 치성과 기도를 드림으로써 아들을 얻으려고 하는 의식이다. 이를 남아 선호 사상이 강하였던 전통 시대에 아들을 낳기를 빌었던 기자 신앙이라고도 한다. 양주 지역에서도 아들을 낳기 위해 장독대 위에 물을 떠...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2월 1일에 나이 수대로 떡을 만들어 먹는 풍습. 나이떡 먹기는 음력 2월 초하루에 나이만큼 떡[송편]을 빚어 먹는 풍속이다. 나이떡은 나이 수대로 마련한 떡이다. 이를 나이송편, 노비송편, 머슴송편, 솔떡, 세병(歲餠), 수복병(壽福餠), 송병, 송엽병 등이라고도 한다. 나이떡은 지역마다 재료 상에 차이가 있다. 양주 지역에서는 송편을 빚어 나이떡으로...
-
경기도 양주시 덕계동에서 음력 6월 중에 농상기를 놓고 싸움을 벌이던 풍습. 농상기싸움은 양주군 회천읍 덕계리[현 양주시 덕계동]를 중심으로 농번기인 6월 중에 각 마을에서 구성된 농상기패들이 오래된 농상기에 대해 절을 올렸던 풍속이다. 농기(農旗) 혹은 농상기를 만들고 농악을 신명나게 연주함으로써 농번기 중의 힘든 일상을 잊어버리고 더욱 힘을 내게 하기 위하여 농악대를 중심으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는 명절. 단오는 양의 수인 5가 겹치는 날로서, 일 년 중에 양기가 가장 왕성한 날이다. 조선 시대의 경우 3대 명절의 하나로 꼽던 단오는 수릿날, 천중절(天中節), 중오절(重五節), 단양절(端陽節) 등이라고도 한다. 전통 농경 사회에서는 음력 3월 3일을 기해 파종을 하고 모를 냈다. 그 후 농번기가 계속되는 가운데 약간의 휴식이 준비...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과 15일에 지내는 명절 풍속. 대보름은 가장 큰 보름이라는 뜻으로 음력 정월 보름께에 지내는 명절이다. 이를 오기일(烏忌日), 상원(上元), 원석절(元夕節), 원야(元夜), 원석(元夕) 등이라고도 한다. 양주 지역에서는 농사와 관련하여 일 년의 시작을 알려 주는 정월 대보름을 중요시 여겼다. 보름달을 보면서 무사 안녕과 무병 건강, 풍년 농사...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동법[동토, 동티]으로 생긴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던 치병(治病) 의례. 동법잡기는 흙을 잘못 다룸으로써 지신이 노하여 가족이 병을 앓게 되었다고 믿어서 이를 없애기 위하여 행하는 주술적 의례이다. 이를 ‘동토잡기’라고도 한다. 흙 이외에도 집안의 나무를 베었다든지, 집을 고쳤다든지, 또는 밖에서 물건을 집안으로 들여놓았다든지 하는 일로 집안에 우환이 생겼을...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두드러기를 치료하기 위하여 행하던 주술적 의례. 두드러기잡기는 음식을 잘못 먹거나 또는 환경의 변화로 인하여 생긴 두드러기를 고치려고 행하던 질병 치료 의례이다. 양주 지역에서도 의학이 발달하지 않았던 시대에 오랫동안 행해 온 주술과 민간요법으로 두드러기를 잡았다 한다.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효개울마을 채록에 따르면 몇 가지 두드러기잡기 형태를 볼 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아이의 수명을 길게 이어 주기 위하여 지내는 의례. 명다리걸기는 아이의 목숨이 길어지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름과 생년월일을 적은 모시나 무명을 절이나 신당에 걸어 두는 의례이다. 이를 ‘명다리올리기’라고도 한다. 명다리는 명건(命巾)·명교(命橋)·수명교(壽命橋)라고도 하는 것으로 보통 모시나 무명으로 만든다. 여기에는 ‘북두대성칠원성군 무병장수 부귀길창 대발원’...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집안에 아픈 사람이 있을 때 행하였던 풍습. 밥해버리기는 전통 시대에 환자가 발생할 경우 귀신이 들었다 하여 이를 내쫓고 건강을 회복하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행하던 풍속이자 주술적인 치료 의례이다. 전통 시대의 치료 의례는 환자가 발생할 경우 행하였으므로 비정기적이었으며, 귀신을 쫓는 벽사축귀적(辟邪逐鬼的)인 측면이 있었다. 밥해버리기는 집안에 환자가 발생할 경...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날 아침에 젓가락으로 흰밥을 먹던 풍습. 백반 젓가락으로 먹기는 음력 1월 15일 아침에 잡곡을 섞지 아니하고 흰쌀로만 지은 밥을 젓가락으로 먹던 세시 풍속이다. 농사의 준비 기간인 정월에는 한 해 농사의 풍년을 빌고, 좋은 소출이 있기를 바라는 농경의례가 집중되어 있다. 쌀밥이 귀했던 전통 사회에서 풍성한 백미 수확을 기원하는 세시 풍습이 전승되고...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7월 15일에 전해 내려오는 풍습. 백중은 망자의 혼을 위로하기 위해 제를 올리고, ‘세벌김매기’가 끝난 후 머슴을 쉬게 하는 풍속이다. 이를 백종, 중원, 망혼일, 머슴날 등이라고도 한다. 농경 사회에서는 태양을 중심으로 1년을 헤아리지만 한편으로는 달의 차고 기울어짐을 보고 시간을 헤아리기도 하였다. 농경 사회가 진행되면서 태양력과 태음력을 합쳐 1년...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아기의 순산을 위하여 삼신을 모시는 신앙. 삼신위하기는 출산 때 삼신(三神)에게 삼신 밥과 삼신상을 차려 순산을 기원하는 가정 신앙이다. 삼신은 집집마다 안방에 자리하고 있으며, 자손의 출산 및 성장, 산모의 건강까지 담당하는 가신(家神)이다. 이를 산신(産神), 삼신할머니, 삼승할망 등이라고도 한다. 삼신위하기는 양주 지역에서도 확인되는데, 삼칠일 동안 삼신...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0월 중 길일을 택하여 각 가정에서 올리는 고사. 상달고사는 음력 10월에 좋은 날[吉日]로 택일하여 성주를 비롯한 삼신, 터주, 대감, 업, 칠성 등의 가신(家神)들에게 지내는 제사이다. 음력 10월을 뜻하는 상달은 1년 중 가장 신성한 달이므로 이때 새로 수확한 곡식을 올려 그해 농사에 대해 감사를 드리고, 이듬해의 풍년을 빌었다. 국가나 지역, 가...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사람이 죽은 후 장례를 지내기까지 수반되는 의례. 상례(喪禮)는 일생 통과 의례 중의 하나로서, 인간의 숙명적인 마지막 길에 예를 갖추어 보내드리는 절차를 말한다. 상례는 죽음을 맞이하여 그 주검을 거두어 땅에 묻기까지 가족과 근친들이 슬퍼하며 근신하는 의식을 담고 있다. 관혼상제의 사례(四禮) 가운데 하나인 상례의 절차는 복잡하고 엄숙하였다. 예전에는 석 달...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상갓집에 다녀와서 탈이 났을 때 행하던 의례. 상문풀기는 일진이 나쁜 사람이 상문(喪門)[상갓집]에 다녀와서 배가 아프다든지, 머리가 아프다든지, 소화가 안 된다든지, 답답함을 호소하는 등 탈이 났을 경우에 이를 고치려고 시행하던 치료 의례이다. 이는 ‘상문 들었다’고 하는 상문부정인데, 상문살귀(喪門殺鬼) 때문에 발병한 것이라고 생각한다. 양주 지역 일대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새 쫓는 흉내를 내던 풍습. 새쫓기는 정월 대보름날 새벽에 나락을 탐하지 못하도록 새를 쫓는 일종의 모의 행동인데, 한 해 동안 새에게 입는 곡식 수확의 피해를 예방하는 차원에서 행하던 풍속이다. 양주 지역에서도 낟알이나 열매 등이 익을 무렵 까치나 참새 등이 이를 쪼아 먹는 일이 잦아지자 정월 대보름날에 새쫓기 풍속을 행하여 새의 피해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일에 지내는 명절. 설날은 묵은해를 보내고 새해를 맞이하는 첫날을 기리는 명절이다. 이를 원일(元日)·원단(元旦)·정초(正初)·세수(歲首)·세초(歲初)·연두(年頭)·구정(舊正) 등이라고도 한다. 설날은 우리나라 세시 명절 중에서도 가장 크게 즐기는 날이다. 이날만큼은 복되고 탈 없는 한 해를 기원하는 의미로 여러 가지 행사와 놀이가 행해진다. 양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신발을 훔쳐 가는 야귀할멈을 쫓기 위해 행하던 풍습. 야귀할멈쫓기[양괭이쫓기]는 설날 밤이나 정월 대보름 밤에 하늘에서 내려와 신발을 훔쳐 가는 귀신을 쫓기 위해 체 등을 걸어 두고 머리카락을 태워 마당에 뿌리는 풍속이다. 이를 야광귀쫓기, 달귀귀신쫓기, 야유광쫓기, 야광신쫓기, 앙광이쫓기 등이라고도 한다. 이때 야귀할멈이 신발을 훔칠 수 있는 것은 사람들이...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모든 행동을 열두 번씩 반복하라던 풍습. 열두 번 행동하기는 본격적인 농사를 앞둔 정월 대보름에 몸과 마음을 가다듬는 차원에서 많이 먹고, 일도 많이 하라는 의미의 세시 풍속이다. 이를 ‘나무 열두 짐 하고 밥 열두 번 먹기’라고도 한다. 농경 문화권에서 정월 대보름은 바쁜 농사철을 준비해야 하는 준비 시점에 해당한다. 따라서 정월 대보름에...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4일에 먹는 절식(節食) 풍습. 오곡밥 훔쳐먹기는 음력 정월 열나흘 날에 오곡을 넣어 만든 밥을 훔쳐 먹는 풍속이다. 이를 ‘밥 훔쳐먹기’, ‘백가반’ 등이라고도 한다. 음력 1월 14일이 되면 대보름 명절을 위하여 쌀·수수·조·콩·팥 등의 다섯 가지 곡식을, 때로는 찹쌀·붉은팥·수수·검은콩·조 등을 넣어 오곡밥을 지었다. 여기에 아홉 가지 나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월 15일에 마을 우물에서 풍년과 자손이 잘되길 비는 의례. 요왕제는 정월 대보름날에 오곡밥을 지어 용왕신이 깃든 마을 우물에서 드리는 치성이다. 이를 ‘용왕제’, ‘용신제’ 등이라고도 한다. 마을 신앙 및 가정 신앙과 연결되는 요왕제는 대보름날 아침 누구보다도 빨리 우물물을 길어 오곡밥을 짓고 저녁에 이 밥으로 우물 앞에서 치성을 올리면 액운을 쫓고...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죽음으로 인하여 발생한 집안의 부정을 가시는 굿. 자리걷이는 사람이 죽은 곳은 부정하다고 여겨 이곳을 굿으로 가셔 내어 정결하게 하고, 죽은 자에 대한 아픈 상처를 씻어 내는 심리적 효과를 거둘 수 있는 무속 의례이다. 이를 ‘집가심’이라고도 한다. 양주 지역에서도 봉분까지 마치고 장례를 치루고 돌아온 당일 저녁에 방을 가셔 낸다고 하여 만신을 불러 그 방에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돌아가신 조상이나 특정한 신령을 받들어 복을 빌기 위해 행하는 추모 의례. 제례는 신령에게 술과 음식을 바치며 기원을 드리거나 조상에 대한 제사를 모시는 의식을 말한다. 제례는 관혼상제의 통과 의례의 하나로서 중국 남송(南宋) 때 주희(朱熹) 등이 『주문공가례(朱文公家禮)』를 정리하고, 명나라 때 구준(丘濬)이 『주자가례(朱子家禮)』를 펴면서 사대부의 제례가...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2월 초 좀생이별을 보고 점을 치는 풍속. 좀생이점치기는 대략 음력 2월 6일 저녁에 좀생이별과 달의 위치를 살펴보고, 그해 농사의 풍흉과 운수를 점치는 점풍(占豊) 의례이다. 이를 ‘좀생이보기’라고도 한다. 좀생이별은 묘성(昴星)을 말하는데, 묘성은 작은 별이 모여 이루어진 성군(星群)이다. 즉 좀생이의 좀은 작다는 뜻이고, 생이는 별[星]을 의미하므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10월 하순 무렵 제사에 쓸 진메를 봉함 처리하여 매달아 놓던 풍습. 진메 봉하기는 음력 10월 하순 무렵 조상의 제사에 쓸 진메[제미(祭米), 젯메쌀]를 고르고, 이를 찧은 뒤 백지에 쌀을 넣고 난목[가제 수건]으로 싸서 안방 서쪽에 걸어 놓던 풍속이다. 이를 ‘제미 봉하기’라고도 한다. 제사를 모시는 일은 과거 전통 시대에 빠져서는 안 되는 중요한 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6월 하순에서 7월 말까지 강이나 내에서 물고기를 잡아 매운탕 등을 해 먹는 풍습. 천렵은 보통 봄부터 가을까지 주로 남성들이 무리를 지어 강이나 냇가에 나가 헤엄이나 탁족을 하면서 물고기를 잡아 매운탕 등을 해 먹는 풍속이다. 미리 고추나 쌀, 양념장 등을 준비하고 솥과 그물 등을 가지고 물고기를 잡은 뒤 그대로 초장을 찍어 먹거나 매운탕을 해 먹으면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8월 15일에 지내는 명절. 추석은 음력 8월 보름으로 설날과 더불어 2대 명절의 하나이다. 이를 가배(嘉俳), 한가위, 중추절(仲秋節) 등이라고도 한다. 추석은 가을의 한 가운데에 있어 한 해 농사가 마무리 되어 가는 시기라 농사를 짓는 이들에게 수확의 시기이자 보람의 시기이다. 그래서 “1년 열두 달 365일 더도 덜도 말고, 늘 한가위만 같아라.”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양력 1월 1일이나 음력 2월 초에 콩을 볶아 먹던 풍습. 콩 볶아 먹기는 영양 식품이 부족했던 시절에 콩을 볶아 먹어 영양을 보충하고 재액과 질병을 예방하려는 차원에서 행해지던 풍속이다. 콩은 많은 영양소를 담고 있다. 콩 볶아 먹기에 사용된 콩은 검정콩[서리태]이었다. 콩 볶아 먹기는 겨울에서 봄으로 옮겨가는 때에 주로 하였다. 양주 지역에서도 콩 볶아 먹...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혼례 전에 신랑 쪽에서 채단(采緞)과 혼서지(婚書紙)를 넣은 나무 상자를 신부 쪽에 보내는 의례. 함팔기는 전통 혼례의 한 과정에 해당한다. 혼인이 결정되어 택일이 이루어지면 치마저고리감인 채단과 혼서지를 넣은 함을 준비한다. 함은 대개 혼례 전날 신랑 친구나 마을 사람 중 첫 아들을 낳은 사람이 진다. 함을 진 사람을 함진아비라 하는데 대략 3~4명이 이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음력 6월 말~7월 초쯤 김매기를 끝내고 일꾼을 대접하는 풍습. 호미씻이는 음력 6월 말에서 7월 초가 되면 농사는 세 벌 논매기를 마치고 마무리 단계에 접어드는데, 이때 그동안 수고한 일꾼들을 하루 쉬게 하는 풍속이다. 이를 호미씨세, 세서연(洗鋤宴), 풋굿, 초연(草宴) 등이라고도 한다. 논매기 등이 끝난 후 날을 받아 백중을 전후하여 하루를 쉬면서 노는데...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혼인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일련의 의례. 혼례는 한 남자와 여자가 결합하여 가정을 꾸밀 때 올리는 의례이다. 이를 혼인식, 결혼식 등이라고도 한다. 혼인은 두 남녀가 한 가정을 이루어 부부가 되는 중요한 평생 의례로서 개인뿐만 아니라 집안과 집안의 결합을 의미한다. 평생의 반려자를 만나게 되는데다가 이를 통해 공식적으로 자식을 낳아 대를 잇게 되므로 혼례를 ‘인...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좋지 않은 운수를 막기 위해 지냈던 의례. 홍수맥이는 보통 음력 정월 초에 뜻밖에 당할 수 있는 사람의 액운을 미리 막거나 피한다는 예방적 차원으로 행하는 의식이다. 이를 홍수막이, 횡수막이 등이라고도 한다. 홍수맥이란 ‘뜻밖에 닥쳐오는 재액을 막는다’는 횡수(橫數)막이가 잘못 전해진 글자의 음이다. 그러나 오랫동안 민간에서 전래되어 오면서 굳어 버렸기 때문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