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동법잡기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4301565
이칭/별칭 동토잡기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평생 의례와 세시 풍속
지역 경기도 양주시
집필자 한정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민간 신앙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동법[동토, 동티]으로 생긴 병을 치료하기 위해 행하던 치병(治病) 의례.

[개설]

동법잡기는 흙을 잘못 다룸으로써 지신이 노하여 가족이 병을 앓게 되었다고 믿어서 이를 없애기 위하여 행하는 주술적 의례이다. 이를 ‘동토잡기’라고도 한다. 흙 이외에도 집안의 나무를 베었다든지, 집을 고쳤다든지, 또는 밖에서 물건을 집안으로 들여놓았다든지 하는 일로 집안에 우환이 생겼을 때에 실행한다. 양주 지역에도 다양한 동법잡기가 전해 내려오고 있다.

[연원 및 변천]

어떤 특정 물건에는 신체(神體)를 상징하는 물체나 귀신이 거주하고 있어 질서를 유지하고 있는데, 이를 함부로 훼손하고 침범하거나 적절한 절차를 따르지 않았을 경우에는 동법이 일어난다고 한다. 예를 들면 큰 나무를 베거나, 새로 물건을 들여오거나, 서낭당이나 장승을 훼손하는 경우, 묘를 새로 쓰거나 이장 및 집을 수리할 때에도 절차를 따르지 아니하면 예기치 않게 동법이 발생한다고 여겼다. 동법, 동토, 동티 등이 있을 경우 병이 나거나 심한 경우 죽기까지 한다고 믿어 이를 예방하거나 병을 낫게 하기 위해 행하였다.

[절차]

나무를 베게 될 경우에는 먼저 나무 앞에 도끼를 꽂고는 손을 빌며 베는 사연을 고한 후, 다음에 나무를 벤 자리에 변을 퍼부어 예방하였다. 또한 큰 작업을 치를 때는 미리 산신제나 지신제를 올려 사연을 고하도록 하였다. 이처럼 일정한 절차와 금기를 지키지 않을 경우 동법이 난다 믿었다.

환자가 생겼을 때 동법으로 인한 증상인지 아닌지 아는 방법이 전승되고 있다. 병자에게 생콩을 씹게 하였을 때 비린내가 나지 않으면 동법으로 인한 증상이고, 반대로 콩의 비린내가 나면 동법으로 인한 것이 아니라고 판단했다.

또한 조왕 앞에서 다듬이질 하는 방망이를 세우는데 그것이 꼿꼿이 서면 동법이 난 것이라 보았고, 고추를 태워 매운 냄새가 나지 않으면 동법이 난 것이라고 믿었다.

이와 같은 일정한 절차와 금기 사항을 지키지 않을 경우에는 동법이 난다고 믿었으며, 이를 치료하는 방법은 원인에 따라 다르다. 푸닥거리를 하거나 맹인 박수[남자 무당]를 불러 『동토경(動土經)』을 읽어 쫓아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동법잡기에는 복숭아나무 가지나 약쑥, 고추 등이 쓰이기도 하였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 효개울마을에서는 보통 동네에서 동법을 잘 잡는 할머니들이 동법을 잡아 주었다. 먼저 솥에다가 사발을 엎어 놓은 뒤, 물을 한 사발 부어 놓고 불을 땐다. 가정에 따라서는 솥에다 빨간 고추와 소금을 넣기도 한다. 불을 땔 때 주문을 하는데, 만일 초상집을 다녀온 뒤 몸이 아픈 경우는 “상문이 들었냐? 그렇지 않냐? 상문이 들었거든 다 들어가라.” 한다. 초상집 문상으로 인해 아플 때에는 ‘밥해버리기’로 처방하는 경우도 있었다.

양주시 양주2동 중촌마을에서는 동법이 든 경우 솥에다 물을 한 그릇 떠서 놓고 사발을 엎어 놓은 후 불을 때면서 수수 빗자루를 반대로 잡고는 진언을 하는데, “나무 다룬 동법이냐, 쇠를 다룬 동법이냐.”고 한다. 이때 솥을 두드리면 사발 안으로 물이 쏙 들어간다. 나무 관련 동법을 말할 때 물이 들어가면 나무 동법, 쇠 관련 동법을 말할 때 물이 들어가면 쇠동법이 든 것이라 한다. 이후 사발 안의 물을 퍼다 동법이 든 곳에 끼얹고 소금을 뿌려 동법을 잡았다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