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북도 의성 지역에 분포되어 있는 건물을 설계하고 짓는 예술, 또는 기술이 낳은 구축물. 건축은 인간적 요구와 건축 재료에 의해 실용적·미적 요구를 충족시키도록 만들어진 구조물을 말하며, 단순한 건조 기술에 의하여 만들어진 구조물은 ‘건물(建物)’ 이라고 한다. 건축은 인간 생활의 가장 기본적인 요소로 안락함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경제·사회·문화·교육·종교 등 다양한 인간 활동을...
-
경상북도 의성읍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에 있는 전각. 고운사는 681년(신문왕 원년) 해동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 대사가 창건하였다고 전하는 사찰로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전통 사찰이다. 1695년 도청(道淸)과 선조(禪照)가 극락전에 아미타불과 대세지보살을 봉안하여 이전의 관음상과 함께 삼존 불상을 구비하였다. 고운사 극락전은 가운루 좌측의 계곡 건너편에...
-
경상북도 의성읍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에 있는 전각. 고운사는 681년(신문왕 원년) 해동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 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전통 사찰이다.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개 대소 사찰을 관장하고 있다. 고운사 나한전은 고운사 대웅보전 맞은편 언덕 위에 북동향하여 자리하고 있다. 1018년(현종 9) 천우...
-
경상북도 의성읍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에 있는 누각. 고운사는 681년(신문왕 원년) 해동 화엄종의 시조인 의상 대사가 창건한 사찰로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전통 사찰이다. 의성, 안동, 영주, 봉화, 영양에 산재한 60여 개 대소 사찰을 관장하고 있다. 고운사는 등운산 계곡에서 흘러내리는 계류 위에 자리 잡고 있다. 고운사 우화루는 고운사의 부속 누각인...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는 사당. 관덕리 덕천사는 효행으로 조봉대부(朝奉大夫)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증직된 김기봉(金起鳳)[1718~1793]을 기리기 위해 의성 김씨 문중에서 건립한 사당이다. 관덕리 덕천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길 310-2[관덕리 447-1]에 있다. 관덕 2리 복지 회관 정면에 있는 길을 따라 관덕 3리 방향으로 약 40m 정도 이동하면 길...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에 있는 개항기 정자. 구미리 감애정은 감애(鑑厓) 신학홍(申學泓)이 1800년대 말에 건립하였다. 구미리 감애정은 구미리를 지나는 지방도 927호선과 국도 5호선이 만나는 구미 삼거리에서 호동 마을 방향으로 약 100m 정도 가면 좌측 구미리 마을 뒷편 야산 기슭 아래에 위치하고 있다. 1800년대 말에 건립되었다고 전하지만 구체적인 연도는 알 수가...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가옥. 구미리 신상렬 가옥은 국도 5호선과 지방도 927호선이 만나는 구미 삼거리에서 보이는 구미동 마을의 구미동 경로당에서 구미지를 바라볼 때 우측에 있는 야산 자락에 위치한다. 구미리 신상렬 가옥은 ㄱ자형의 사랑채와 一자형의 안채, 一자형의 고방채가 튼 ㅁ자형의 배치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가옥의 우측 뒤 언덕 위에는 사당을 배...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구암리에 있는 재실. 구암리 금당재는 남호(南灝), 남신충(南藎忠), 남추(南樞), 남해준(南海準)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건립한 영양 남씨 문중의 재실이다. 의성읍에서 점곡면 방향으로 지방도 914호선을 따라서 가다 보면 길 좌측에 구암리 구암 마을이 있다. 구암 마을 뒤편 산자락에 자리하고 있다. 구암리 금당재는 1750년경에 건립하였다고 전하며, 195...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재실. 고려 말의 충신인 백암(白巖) 김제(金濟)와 김세정(金世貞) 등 4대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선산 김씨의 재실 건축이다. 안계 성당 앞을 지나는 국도 28호선을 따라 농어촌 공사 방향으로 약 500m 쯤 가면 있는 용기 사거리에서 국도 912호선으로 우회전하여 안사면사무소로 방향으로 약 3㎞에 위치한 안계면 도덕리에 있는 덕동 마을 건너...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에 있는 근대 정자. 금파(錦坡) 박종량(朴宗良)[1804-1876]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반남 박씨 정자이다. 박종량은 1804년(순조 5) 월촌리에서 태어났으며, 휘는 종량(宗良)이고, 자는 성필(聖弼)이며, 금파(錦坡)는 호이다. 시조 박상충(朴尙衷)은 고려 말 학문과 절의로 세상에 알려져 세상이 ‘반남 선생(潘南先生)’이라고 일컬었으며 관직은 우...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동변리에 있는 정자. 동변리 송고정(松皐亭)은 송고(松皐) 박윤함(朴允諴)[1510~1594]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반남 박씨 문중의 정자이다. 박윤함의 자는 사순(士純), 호는 송고(松皐)이다. 문정공 박상충의 현손으로서 일찍이 퇴계(退溪) 이황(李滉)에게 사사하여 학덕이 저명했으며, 그 기록이 성균관(成均館)에 보존되어 전하고 있다. 만년에 임진왜란이...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누각. 교남사대루(嶠南四大樓), 즉 영남 지방의 사대루로 불렸던 누각 중 하나이다. 교남사대루는 문소루와 진주의 촉석루(矗石樓), 밀양의 영남루(嶺南樓), 안동의 영호루(映湖樓)를 말하며 그 가운데 가장 먼저 건립되었다고 알려져 있다 원당리 문소루는 의성읍 원당리에서 철파리를 지나가는 국도 5호선과 지방도 914호선이 만나는 원당 삼거리에서 의...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있는 사당. 분토리 정곡사는 병자호란 때 순국한 의성의 인물 김엽(金燁)[1586~1637], 김욱(金煜)[1589~1637], 김찬(金燦)[1592~1637] 3형제의 충절을 기리기 위해 1796년에 건립한 사당으로 삼충사(三忠祠)라고도 한다. 김엽은 조선 중기 무신으로, 자는 명보(明甫), 호는 송암(松菴), 본관은 의성(義城)이다. 1620년(...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 김자첨은 고려 때 충신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한 안동 김씨[도평의공파]이다. 그 후 혼인 관계로 안동의 권식[1450년], 풍산의 유태춘[1758년]이 이주하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본따서 지었다 한다. 사...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근대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는 김자첨이며,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이다. 이후 혼인 등을 통해 사촌 마을에 권식[1450년], 유태춘[1758년]이 이주해 오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는 김자첨이며,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이다. 이후 혼인 등을 통해 사촌 마을에 권식[1450년], 유태춘[1758년]이 이주해 오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일제 강점기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는 김자첨이며,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이다. 이후 혼인 등을 통해 사촌마을에 권식[1450년], 유태춘[1758년)이 이주해 오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근대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는 김자첨이며,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이다. 이후 혼인 등을 통해 사촌마을에 권식[1450년], 유태춘[1758년)이 이주해 오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근대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는 김자첨이며,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이다. 이후 혼인 등을 통해 사촌 마을에 권식[1450년], 유태춘[1758년)이 이주해 오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근대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는 김자첨이며,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을 중시조로 하는 안동 김씨 도평의공파의 인물이다. 이후 혼인 등을 통해 사촌 마을에 권식[1450년], 유태춘[1758년)이 이주해 오면서 안동 김씨, 안동 권씨, 풍산 유씨 등이 어울려 사는 집성촌이 되었다. ‘사촌’이라는 명칭은 중국의 사진촌(沙眞村)을...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 사촌 마을에 있는 가옥. 사촌 마을의 입향조인 김자첨은 고려 때의 충신인 충렬공 김방경의 6세손으로, 1392년 안동 회곡에서 사촌 마을로 이주 정착하였다고 한다. 사촌 마을의 안동 김씨는 그 후로도 안동 지방의 명문가와 혼인을 맺으며 입지를 다졌다. 서애 유성룡도 외가인 이곳 사촌리 안동 김씨 종택에서 태어났다고 전한다. 사촌 마을은 조선 시대에 대...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있는 정사. 사촌리 후산 정사는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1539~1601]을 향사하기 위해 건립한 정사이다. 김사원의 자(字)는 처음에 경방(景龐)이었는데 경인(景仁)으로 바꾸었다. 고려 충렬공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이다. 사촌리 후산 정사는 사촌 마을에서 한실 마을로 가는 길 우측 야산 아래에 자리하고 있다. 사촌리 후산 정사는 1749년...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삼산리에 있는 재실. 조선 중종 때 순릉 참봉을 지낸 박계경(朴季卿)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순천 박씨 문중의 재사이다. 삼산리 추원재는 금성면에서 봉양면 방향으로 지방도 927호선을 따라 가다 보면 우측에 위치한 삼산 2리의 오동산 자락 아래 야산에 자리하고 있다. 삼산리 추원재는 1895년에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삼산리 추원재는 정면 4칸, 측면 1칸 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상리리 충렬사는 고려의 개국공신인 김홍술(金洪術)[?~929]을 기리기 위해 김석겸(金錫兼) 등 읍민들이 건립한 사당이다. 김홍술은 나말 여초 시기인 922년 신라 진보성(眞寶城)의 장군으로 있다가 고려에 투항하였다. 고려 태조 왕건에 의하여 의성부(義城府) 성주(城主)로 임명되었으나 후백제의 군주인 견훤(甄萱)과의 전투에서...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상리리에 있는 사당. 상리리 충효사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효사재(孝思齋) 이탁영(李擢英)[1541~1610]을 기리기 위해 건립한 사당이다. 이탁영은 1541년(중종 36) 의성현 지곡리(芝谷里)[현 의성읍 상리동 579]에서 태어나 일생 동안 의성에서 생활하며 오랜 기간 경상도 감영에서 근무하였다. 문장력이 뛰어나 많은 저서를 남겼으나 임진왜란 중에 소실하...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업리에 있는 재실. 업리 모선재는 김구정(金九鼎), 김자첨(金子瞻), 김극해(金克諧)의 묘소를 수호하기 위해 건립한 재사이다. 업리 모선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행촌길 28-1[업리 61]에 있다. 의성읍사무소가 있는 북원 사거리에서 의성 북부 초등학교 방면으로 약 1,350m 가다가 우측에 위치한 LPG 주유소를 끼고 우회전하여 직진하면 행촌이 나온다....
-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건축물. 용기리 전매국 안계 영업소는 1940년대에 지은 대구 지방 전매국 안계 영업소 건물로 사무실, 창고, 사택 3동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용기리 전매국 안계 영업소는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용기 6길 65[용기리 1057]에 있다. 안계 중학교 뒤쪽의 용기 6길에서 지방도 912호선으로 약 350m 정도 가다 보면 길가 우측...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 있는 조선 시대 재실. 용연리 자족재(龍淵里 自足齋)는 신봉석(申鳳錫)[1631~1704]을 추모하기 위해 건립한 아주 신씨 문중의 재사이다. 신봉석은 의성현(義城縣) 출신의 조선 후기 유학자로 자는 석여(錫予)이고, 호는 자족재(自足齋)이다. 1655년(효종 6) 응제시(應製試)에서 장원으로 급제하여 효종에게 지필묵(紙筆墨)을 받은 바 있으며, 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리에 있는 해주 오씨(海州 吳氏) 재실. 용연리 추모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용연2길 103-4[용연리 187]에 있다. 용연리에 있는 의성 농공 단지에서 원당리 방향으로 가다가 원당 교차로에서 우회전하여 국도 28호선을 따라 약 500m 정도 가다 보면 우측 도로 가에 자리하고 있다. 용연리 추모재는 1919년에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용연리 추모재는...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재실. 원당리 첨성재는 고려 시대 대제학(大提學)을 역임하였던 김득하(金得河)[1400~1490]를 기리기 위해 후손인 김인환(金仁煥)과 김성환(金成煥)이 건립한 재사이다. 김득하의 자(字)는 문경(文卿), 호(號)는 첨성(瞻省)이다. 원당리 첨성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홍술로 38[원당리 42-6]에 있다. 의성읍 원당리에 있는 의성군 농...
-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월소리에 있는 재실. 월소리 도장암(月沼里 道藏庵)은 신사국(申思國)·신사억(申思億) 형제가 시묘(侍墓)하던 곳에 건립한 평산 신씨 재사이다. 월소리 도장암은 경상북도 의성군 안사면 안사풍천길 783-78[월소리 586]에 있다. 월소리에 있는 무랭이 마을에서 마을 뒤쪽의 도장산으로 약 850m 정도 올라가면 야산 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월소리 도장암은 17...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에 있는 개항기 가옥. 윤암리 남종기 가옥은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의성길안로 1075[윤암리 438]에 있다. 의성읍에서 점곡면으로 가는 지방도 914호선을 따라 가다 보면 윤암리 윤곡 마을의 길가에 의성 소계당이 나온다. 의성 소계당에서 점곡면 방향으로 약 400m 정도 더 가다 보면 도로 변 좌측에 윤암리 남종기 가옥이 동향하여 자리하고 있다. 윤...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에 있는 재실. 윤암리 이산재는 진주 목사를 지낸 이계(伊溪) 남몽뢰(南夢賚)[1620~1681]와 아들인 남명하(南明夏), 손자인 남윤주(南胤冑)를 기리기 위해 건립한 재사이다. 윤암리 이산재는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의성길안로 1077[윤암리 438-1]에 있다. 윤암리에 있는 의성 소계당에서 점곡면사무소 방향으로 약 400m 정도 가다보면 도로변...
-
경상북도 의성읍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에 있는 전각. 고운사는 신라 681년(신문왕 원년)에 의상 대사가 창건했다고 하는 사찰로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전통 사찰이다. 가운루는 고운사의 부속 전각이다. 옛 기록에 의하면 가운루는 “누각에 서면 아래로는 계류가 흐르고, 뒤로는 찬란한 산들과 구름의 바다를 접하는 신선의 세계”라고 극찬한 절경이다. 고운사 가운...
-
경상북도 의성읍 단촌면 구계리 고운사에 있는 전각. 고운사는 신라 681년(신문왕 원년)에 의상 대사가 창건했다고 하는 사찰로 현재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전통 사찰이다. 연수전은 고운사의 부속 전각이다. 고운사 연수전은 2003년 8월 14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 제444호로 지정, 보호되어 오다가 2013년 4월 8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제470호로 승격...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전각. 대곡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1368년(공민왕 17)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창건 당시에는 대국사(大國寺)라는 이름이었다고 하는데, 이는 지공이 원과 고려 두 나라를 다니면서 불법을 편 것을 기념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들어와 세종...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종각. 대곡사는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1368년(공민왕 17) 인도 승려 지공(指空)과 혜근(惠勤)이 창건하였다고 전한다. 정유재란 때 소실되어 1605년(선조 38) 중창되었고, 1687년(숙종 13) 태전 선사(太顚 禪師)가 다시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범종각은 종을 봉안했던 곳인데, 지금은 종이 없...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만취당길 17[사촌리 207] 사촌 마을에 위치한 누각형 가옥. 퇴계 이황(李滉)의 제자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1539~1601]이 학문을 닦고 후진을 양성하기 위해 건립한 건물이다. 김사원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천성이 인자하여 자신의 재산을 털어 기민(飢民)을 진휼하여 지방민의 추앙을 받았고, 임진왜란 때에는 의병장인 정제장(整齊將)으로 추대되었...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산운 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소우당 고택은 소우(素宇) 이가발(李家發)이 19세기 초에 건립하였다고 전하는 주택이다. 안채는 1880년대에 개축하였다고 전한다. 의성 소우당 고택은 영천 이씨(榮川李氏)의 집성촌인 산운리 산운 마을 한가운데에 자리잡고 있다. 탑리리에서 가음면사무소 방향으로 난 지방도 68호선을 따라 약 2㎞ 정도 가다...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 산운 마을에 있는 근대 가옥. 의성 점우당은 죽파(竹坡) 이장섭(李章燮)[1854~1907)이 1900년경에 건립한 가옥이다. 이장섭은1888년(고종 25) 무자(戊子) 식년시(式年試)에 갑과 문과에 합격하였다. 의성 점우당은 영천 이씨(榮川 李氏)의 집성촌인 산운리 산운 마을 입구에 자리 잡고 있다. 산운 마을은 탑리리에서 가음면사무소 방향...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관덕리에 있는 조선 시대 재실. 김사원(金士元)[1539~1601]의 유덕을 기리기 위해 후손이 지은 재실이다. 김사원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경인(景仁), 호는 만취당(晩翠堂)으로 고려 충렬공 김방경(金方慶)의 후손이다. 평소 효를 다하고 친척이나 마을 사람들을 공경하고 예를 갖추어 사람들이 모두 김사원을 아끼고 따랐다. 퇴계 이황의 문하에 들어가며...
-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봉정리 대곡사에 있는 조선 후기 전각. 대곡사는 1368년(공민왕 17)에 지공 선사와 나옹 선사가 창건하였다고 하는 사찰로서, 대한 불교 조계종 제16교구 본사인 고운사의 말사이다. 명부전은 대곡사의 부속 전각으로, 사후 세계를 담당하는 지장보살을 봉안한 건물이다. 대곡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다인면 대곡사길 80[봉정리 894]에 있다. 비봉산 아래에 위치하...
-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윤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재(書齋). 의성 이계당은 이계(伊溪) 남몽뢰(南夢賚)[1620~1681]가 1651년(효종 2)에 건립하여 강학하던 서재이다. 남몽뢰는 1642년(인조 20) 식년시 생원 3등 4위로 합격하였으며, 1651년 식년시 병과 1위로 문과 급제하였다. 이후 예조 정랑·진주 목사 등을 지냈으며, 1666년(현종 7) 예제 개혁을 상소하였...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에 있는 정자. 팔성리 봉의정은 콘크리트조의 팔각정이다. 봉의정이라는 이름은 ‘소소구성 봉황래의(簫簫九成 鳳凰來儀)’라는 옛글에서 취한 것이다 팔성리 봉의정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성리 산1에 있다. 구봉산(九峰山)의 제1봉 정상에 해당한다. 팔성리 봉의정은 1981년에 의성군청에서 건립하였다. 팔성리 봉의정은 구봉산의 아홉 봉우리 중에 제1봉에 만...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철도 관사. 하화리 단촌역 관사는 단촌역에 부속된 관사로 여타의 철도 관사와 마찬가지로 1동 2호의 연립 주택형이다. 2012년 현재는 일반인이 불하받아 살림집으로 사용하고 있다. 하화리 단촌역 관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고운길 36-21[하화리 1136-7]에 있다. 하화리의 단촌역에서 북동 방향으로 약 600m가량 떨어진...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하화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철도 역사. 중앙선 의성역과 운산역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단촌역의 역사 본채와 부속채로 단층 규모의 목조 건물이다. 경상북도 의성군에 단촌면 하화리 단촌면사무소 인근 배면 마을길 건너편에 의성-안동 간 국도 5호선에 면한 대지에 역사 본채와 부속채가 위치하고 있다. 단촌역은 1938년 3월 1일에 영업을 개시하였고, 1940년 3...
-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정사. 학록 정사는 영천 이씨 입향조인 학동(鶴洞) 이광준(李光俊)을 추모하고, 후학을 양성하기 위하여 건립한 정사이다. 학록 정사의 현판은 표암 강세황의 필적이다. 학록 정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금성면 산운마을길 21-7[산운리 474]에 있다. 산운 마을은 영천 이씨(榮川 李氏)의 집성촌이다. 의성읍 탑리에서 가음면사무소 방향으로...
-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건축물. 금융 조합은 대한제국 때인 1907년에 설립되어 1956년 7월에 대한민국의 농업 은행의 모체가 된 신용 협동조합과 비슷한 서민 금융 기관이었다. 화전리 봉양 농업 협동조합 창고는 1940년에 금융 조합의 창고로 건립되었고, 현재도 봉양 농업 협동조합의 창고 시설로 사용되고 있다.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화전리를 지나가는...
-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리에 있는 조선 후기 누정. 효선리 백원정은 용강(龍岡) 김수연(金壽延)을 기리기 위하여 후손인 김선방(金善邦)이 건립한 정자이다. 효선리 백원정은 경상북도 의성군 춘산면 효선3길 103-8[효선리 430-2]에 있다. 가음면에서 사곡면 방향으로 지방도 79호선을 타고 가다보면 덕동 마을이 나오는데, 덕동 마을을 지나 약 900m 정도 더 가서 나오는 삼...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건축물. 엽연초 생산 조합은 잎담배를 생산하는 연초 경작 농민들의 협동조합으로 1910년에 처음 설립되어 임의 단체로 존속해 오다가 1963년 공인격(公人格)되었다. 생산 자재의 공동 구매를 비롯하여 생산 자금의 융자·알선 업무를 수행하고, 전매청 감독 아래 생산 지도를 담당하며 계획을 실행하던 공공 조합이다. 엽연초 생산 조합...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철도 관사. 후죽리 의성역 관사 1은 1926년에 건립된 의성역의 관사로 현재는 민간에 불하되었다. 건물 형식은 1개동 2호 형식의 연립 주택이고, 후죽리 의성역 관사 1은 그중 동쪽에 있는 가옥으로, 서쪽의 가옥은 근년에 수리하여 원형이 거의 훼손되었다. 후죽리 의성역 관사 1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문소3길 79[후죽리 52...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철도 관사. 후죽리 의성역 관사 2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구봉길 305[후죽리 523-15]에 있다. 후죽리에 있는 의성역 인근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 국도 28호선에 면한 대지에 동향으로 대문을 냈다. 후죽리 의성역 관사 2는 1926년경에 의성역의 관사 6호로 건립되었으며, 광복 이후 일반인에게 불하되어 개인 주택으로 사...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창고 건물. 후죽리 의성역 화물 헛간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문소3길 89-8[후죽리 829]에 있다. 단촌역과 탑리역 사이에 있는 의성역은 후죽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화물 헛간은 의성역사 측면에 위치하고 있다. 후죽리 의성역 화물 헛간은 1934년에 건립되었다. 후죽리 의성역 화물 헛간은 역사 남쪽 철로에 면하여 남북으로 길게...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의 철도 관사. 후죽리 의성역장 관사는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문소3길 81[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826]에 있다. 의성역에서 남쪽으로 조금 떨어져 철로와 국도 28호선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후죽리 의성역장 관사는 1926년경 의성역 철도 관사로 건립되었다. 건립 당시는 의성역 관사가 5개동 7개 단위 주호 규모로 있었으나, 현재...
-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에 있는 일제 강점기 가옥. 후죽리 조태영 가옥은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문소 2길 49[후죽리 594-6]에 있다. 의성읍에 있는 의성 초등학교에서 군청길을 따라 의성군청 방향으로 2블록 지나 우측 방향으로 문소 2길을 따라 약 800m 들어가면 대도 빌라와 영춘당 한약방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후죽리 조태영 가옥은 1940년대에 건립되었다고 한다....
-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옥. 후평리 김동주 가옥은 1686년에 이 참봉이 건립한 이후 9대에 걸쳐 천 석을 누렸던 지주 집안의 99칸 집이었으나, 한말에 가세가 기울어 30여 년 동안 비어 있던 것을 1932년에 경상북도 안동군 일직면 구미리에 살던 김동주(金東周)가 매수하였다. 후평리 김동주 가옥은 경상북도 의성군 단촌면 후평길 14[후평리 158-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