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임진왜란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900518
한자 壬辰倭亂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지역 전라북도 순창군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노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발생|시작 시기/일시 1592년 4월 14일 - 임진왜란 발발
전개 시기/일시 1597년 - 정유재란 발발
전개 시기/일시 1597년 8월 - 일본군 남원성 공격
전개 시기/일시 1597년 8월 16일 - 남원성 함락
종결 시기/일시 1598년 - 임진왜란 종료
성격 일본 침략 전쟁

[정의]

1592년~1598년 두 차례에 걸친 일본의 침략으로 전라북도 순창 지역을 포함한 조선 전역에서 일어난 전쟁.

[역사적 배경]

1592년(선조 25) 4월 14일 임진왜란이 발발하였다. 파죽지세로 북상하던 일본군은 각지의 의병과 명나라 지원군, 또 이순신(李舜臣)에 의한 해로 통제 등으로 벽에 부딪히게 되었다. 이듬해 4월부터 조선과 화의가 오가게 되다가 6월 일본군은 철수를 하였다. 그러나 1597년(선조 30) 다시 조선을 재침하였다. 이를 정유재란이라 부른다.

[경과]

임진왜란이 발생했을 때 전라도 지역은 피해를 보지 않았다. 그러나 정유재란이 발생하면서 일본군은 전라도 지역을 우선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은 1597년 8월에 남원성을 공격하여 8월 16일에 함락하고, 고니시 유키나가[小西行長]는 17일에 임실을 거쳐 18일에 전주로 이동하였으며, 가토 기요마사[加藤淸正]는 17일에 운봉으로 갔다가 다시 남원으로 이동하였다.

이 과정에서 일본군 제4대(隊) 대장 시마즈 요시히로[島津義弘], 나베시마 나오시게[鍋島直茂] 등이 순창으로 들어오게 되었다. 당시 순창 군수는 배경남(裵慶男)이었으나, 그는 일본군이 비홍치를 넘어 순창으로 들어온다는 소식을 듣고는 가족들을 피신시켜 놓은 광덕산으로 도망하였다. 이 때문에 일본군은 전투 없이 순창에 들어와 각종 만행을 저질렀다.

이러한 일본군의 만행에 군민들은 피난을 하였으나, 일본군은 피난한 군민들을 학살하였다. 이때 북으로 피난한 군민들은 이암면 치천리[지금의 구림면 금천리]로 도망하였으나, 치천의 물가에서 모두 몰살당하였다. 서쪽으로 도망한 군민들은 무림면(茂林面) 단풍정(丹楓亭)[지금의 구림면 운북리 단풍정 마을]으로 도망하였으나, 모두 학살당하였다. 남으로 도망한 군민들은 순창읍 아미산(娥媚山)에서 죽임을 당하였다.

[결과]

당시 일본군들은 조선인들의 코를 베어갔다. 일본군 제4대 대장이자 사츠마 번주였던 시마즈 요시히로는 당시 순창, 담양 등 주변 7개 읍을 누비며 코를 베고 마을을 불태웠으며, 1598년 남원 출신의 심당길(沈當吉) 등 80여 명의 도공을 잡아 일본으로 데려가기도 하였다.

조선군의 저항도 있었다. 풍산면옥출산성(玉出山城)을 지키고 있던 군병은 적병과 싸워서 적에게 많은 피해를 입혔으나, 고립무원의 상태에서 끝까지 항전하다가 모두 전사하였으며, 전 현감 조유(趙腬)는 다른 길로 들어오던 일본군을 팔덕면광덕산에서 맞서 싸우다가 적탄에 맞아 전사하였다. 한편 부안 출신의 김홍원(金弘遠)은 의병 1,000여 명을 이끌고 일본군을 추격하여 순창까지 와서 많은 일본군을 참획하였다. 임진왜란 때 활동한 순창 출신 의병장으로는 김남준(金南俊), 김봉학(金奉鶴), 박춘성(朴春成), 양귀생(梁貴生), 양사형(楊士衡), 조여관(趙汝寬), 한응성(韓應聖), 홍함(洪涵)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