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강원도 삼척 지역 언어의 체계와 특성. 강원도 삼척시는 영동 지역에 속한다. 영동 지역의 방언에 속하면서도 삼척 지역만의 독특한 사투리가 존재한다. 언어는 자연 조건에 따라 모습을 달리한다. 특히 강이나 산을 사이에 두고 있을 때 두 지역의 말은 서로 다른 경우가 많다. 이에 따라서 태백산맥을 경계로 영동과 영서 지역의 말이 서로 다르게 나타난다. 예를 들어...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민간에 전승되는 속담이나 관용구. 속담은 예부터 삶의 교훈이나 일상의 풍자를 위하여 민간에서 전해 오는 다소 간결한 관용 표현이나 격언을 뜻한다. 짧은 문장에 교훈이나 풍자를 담고 있어서 교화와 계도 기능이 있다. 일상 생활에서 적절하게 활용하여 지역의 특별한 문화 및 사회 관념을 나타낼 수 있다. 강원도 삼척 지역의 지리 및 역사 환경에 근거하여...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사용되는 농업 관련 어휘나 언어 현상. 강원도 삼척 지역은 평야 지대는 아니지만 논농사와 밭농사를 경작해 왔으며, 이에 따라 농기구도 활용하여 왔다. 삼척 지역에서 생산되는 식량 작물에는 미곡·맥류·잡곡류·두류·서류 등이 있으며, 소채류에는 무·배추·고추·마늘·양배추·당근·시금치·고랭지채소 등이 있다. 과실류에는 사과·배·복숭아·포도·감...
-
강원도 삼척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 이름과 관련된 방언. 지역에 서식하는 생물의 다양성과 그 동물의 특징을 통하여 언어 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삼척 지역에 서식하는 동물에는 갯지렁이, 게, 곤충 및 수서곤충, 연체동물, 어류, 양서류 및 파충류, 조류, 포유류 등이 있다. 특히 조류는 바다와 해안, 습지, 논경지, 야산, 심산이나 고산 등 다양하게 분포한다. 그리고 포유류...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사용되는 바람 관련 명칭. 바람은 두 지점의 기압 차이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 이동하는 공기의 흐름으로, 밀도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바람은 밀도 차가 클수록 세기가 강해지고, 공기의 온도 차가 클수록 속도는 강해지는 특징을 보인다. 예부터 바람은 풍어뿐만 아니라 생사와도 관련되어 있어 어촌에서는 중요한 기상 요소로 여겼다. 삼척 지역은...
-
강원도 삼척 지역에 서식하는 식물 관련 방언. 식물의 다양성과 특성은 사람들의 의식을 반영한다. 삼척시에 자생하는 식물에는 관속식물, 고등균류[버섯] 등이 있다. 이 지역에 나는 관속식물은 39과 293속 500종 8변종 4품종으로, 총 512종류로 보고되었다. 청옥산과 두타산에는 신갈나무, 당단풍, 피나무, 철쭉, 메역순나무, 개올나무, 쇠물푸레, 대사초, 단풍취, 산...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사용되는 어업 관련 어휘나 언어 현상. 강원도 삼척 지역은 동해와 접해 있기 때문에 어종이나 어획 도구 등에 관한 어휘에서 특징이 나타난다. 삼척 지역의 어업 방언들은 삼척 방언의 어휘 특징인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 ‘ㅣ’ 첨가 현상, ‘ㅎ’ 구개음화, 움라우트 현상 등이 반영되어 여러 가지 특징을 보인다. 간물길: 간물(바닷물)을 길...
-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사용되는 인체 관련 어휘와 언어 현상. 강원도 삼척 지역의 방언은 음성이 거칠고 크다. 그 이유는 해안선에 접하고 있어 거센 파도 소리의 영향을 받거나 광산 지대가 발달하여 기계 소리와 갱 내 여러 잡음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인체와 관련된 어휘에서는 다른 방언들과 마찬가지로 음운 사이에 ‘비읍(ㅂ)’ 음 또는 ‘기역(ㄱ)’ 음이...
-
강원도 삼척 지역 ㄱ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 ㄱ방언의 특징은 된소리 현상과 모음 ‘ㅣ’의 첨가 현상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그리고 용언의 어말 어미가 거센소리와 된소리로 끝나는 경우가 많으며, 대개가 ‘ㅘ’로 축약되어 발음된다. 예를 들어 어두 자음에 된소리 현상이 나타나는 경우는 ‘가자미’를 ‘까재미’, ‘가재’를 ‘까재’, ‘가위’를...
-
강원도 삼척 지역 ㄴ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는 용언 가운데 어두 자음이 ‘ㄴ’으로 시작되는 경우 연철(連綴)[실질 형태소와 형식 형태소가 연결될 때 본래의 형태를 구분하여 적지 않고 소리 나는 대로 이어 적는 표기법]로 발음하는 경우가 많다. 예를 들어 ‘낚아채다’를 ‘나꽈채다’, ‘낳아 놓으니’를 ‘나노니’로 각각 발음하는 것이 있...
-
강원도 삼척 지역 ㄷ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 ㄷ 어휘의 방언에는 여타 다른 지역에서 찾아볼 수 없는 삼척 지역 고유의 방언들이 나타난다. 예를 들면 돌서들, 데끼리, 들음내, 두발토시 등이다. 함경도, 평안북도 등 북한어의 방언 잔재도 나타난다. 다락[함경도], 다리깽이[평안북도], 달기[평안남도], 뜸북장[북한어] 등이 그 예이다....
-
강원도 삼척 지역 ㄹ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 방언은 타 지역과 다른 어미의 사용이 나타나며, 다른 지역에서는 반말로 인식되는 의문형 어미가 존대어로 쓰인다. 또 목적격 조사 ‘-을/를’의 받침 ‘ㄹ’이 탈락되어 발음하는 현상이 나타난다. 삼척 지역 방언은 타 지역과 다른 연결 어미의 사용이 나타난다. 보통 모음이나 ‘ㄹ’로...
-
강원도 삼척 지역 ㅁ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에서 ㅁ 방언의 두드러진 특징은 동사나 형용사에 해당하는 용언에서 어간의 끝소리가 ‘ㅡ’, ‘ㅣ’, ‘ㅜ’로 끝나는 경우 ‘쿠’[거센소리]나 ‘꾸’[된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이 나타나며, 어미 활용이나 활용에 의한 축약이 일어날 때는 ‘촤’, ‘콰’로 축약되어 발음된다. 예를 들어 표준어 ‘멈추다...
-
강원도 삼척 지역 ㅂ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 ㅂ 방언에는 w활음화, 이중모음의 단순모음화, ‘ㅣ’ 첨가, ‘-어/아’ 교체 현상을 보이는 어휘가 많이 있다. 어간말 모음 ‘오’나 ‘우’가 어미 ‘-어/아’와 결합할 때는 w활음화가 일어나는데 이때 지역에 따라 다른 양상으로 나타난다. 대부분의 강원 지역에서는 중부지방 방언과 비슷한 양상...
-
강원도 삼척 지역 ㅅ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을 포함한 강원도 지역과 영동 지방에서는 ‘ㅎ’ 구개음화, 모음 체계의 움라우트 현상,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 ‘ㅣ’ 첨가 현상 등이 발생하여 시옷(ㅅ)으로 시작되는 어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삼척 지역을 포함해 강원도 전 지역에서 ‘ㅎ’ 구개음화가 다음과 같이 일어난다. 성수: 형...
-
강원도 삼척 지역 ㅇ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의 ㅇ 방언에서는 ‘-어/아 교체’ 현상, 이화 현상, 어간의 재구조화 현상, 주제화 보조사 중첩 현상, 목적격 조사 대체 현상 등이 발생하여 ㅇ으로 시작되는 어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삼척 방언의 중요한 특징인 ‘-어/아 교체’ 현상을 보이는 ‘ㅇ’으로 시작하는 어휘는 아래와 같다....
-
강원도 삼척 지역 ㅈ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을 포함한 강원도 지역 및 영동 지방에서는 j 활음화 및 ‘ㄱ’ 구개음화 현상, 어미의 ‘-어/아’ 교체 현상, ‘ㅣ’ 첨가 현상,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 등이 발생하여 지읒(ㅈ)으로 시작되는 어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강원도 대부분의 지역에서는 유일하게 용언만 j 활음화가 나타나지만...
-
강원도 삼척 지역 ㅊ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강원도 삼척 지역을 포함한 강원도 지역 및 영동지방에서는 사동·피동 접미사의 쓰임과 ‘ㅣ’ 첨가 현상 등이 발생하여 치읓(ㅊ)으로 시작되는 어휘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 1. 삼척 지역 방언을 포함한 영동지방 방언에서는 사동 접미사 ‘-구-/-쿠-’, 피동 접미사로는 ‘-기-/-키-’가 각각 많이 쓰인다. 채우...
-
강원도 삼척 지역 ㅋ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ㅋ’을 어두 자음으로 하는 삼척 방언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간혹이기는 하지만 어두 유기음화/격음화 현상이 발견된다는 점이다. 유기음화/격음화 현상은 대체로 ‘ㄱ, ㄷ, ㅂ, ㅈ’과 같은 무기음이 ‘ㅎ’과 결합하여 ‘ㅋ, ㅌ, ㅍ, ㅊ’의 유기음[격음]으로 바뀌는 현상을 말한다. 유기음화 현상은 음운 필수 현상으로, ‘좋...
-
강원도 삼척 지역 ㅌ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ㅌ’을 어두 자음으로 하여 삼척 지역 방언에서 나타나는 특징은 경상도 방언과의 상호 연관성이다. 삼척 방언과 경상도 방언은 동해안 해안선을 따라 대체로 활발한 상호 교류가 이루어졌음을 추측할 수 있다. 두 지역 간 방언의 연관성은 어휘 공통성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탁주 → 탁배기’, ‘탱자나무 → 탱주냉기’,...
-
강원도 삼척 지역 ㅍ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ㅍ’을 어두 자음으로 하는 삼척 지역 방언에서 나타나는 가장 큰 특징은 이중모음의 단모음화 현상이라 할 수 있다. ‘펴다 → 페다’, ‘편 → 펜’, ‘편안하다 → 펜안하다’, ‘편하다 → 펜하다’, ‘평균 → 펭균’, ‘평등 → 펭등’, ‘평판 → 펭판’ 등의 예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삼척 방언에서는 이중모음...
-
강원도 삼척 지역 ㅎ 방언의 특징과 어휘 및 용례. ‘ㅎ’을 어두 자음으로 하는 삼척 방언에서는 ‘마→하마’, ‘리→하루’, ‘헷→헛’ 등과 같이 고형(古形)을 유지하고 있는 어휘들을 확인할 수 있다. 고형이 유지되는 어휘들은 삼척 방언에 있는 어휘 보수성을 방증(傍證)하는 근거라 할 수 있다. 삼척 방언의 어휘 보수성은 열악한 교통 환경과 태백산맥에 의한 굴절로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