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혜릉(惠陵)에 묻힌 단의왕후와 경종의 신주를 종묘에 모시는 과정을 기록하여 1726년에 간행한 의궤. 『경종단의왕후부묘도감의궤(景宗端懿王后祔廟都監儀軌)』는 1726년(영조 2) 10월 13일에 이루어진 경종(景宗)과 경종의 원비(元妃) 단의왕후 심씨의 신주를 종묘(宗廟)에 모시는 의례[부묘례(祔廟禮)] 과정을 기록한 의궤이다. 경종...
-
경기도 구리 지역의 아차성 아래에서 고구려군에 의해 사망한 백제의 왕. 개로왕(蓋鹵王)은 백제의 21대 왕으로, 백제의 역사를 도성(都城)을 기준으로 삼아 한성기(漢城期)·웅진기(熊津期)·사비기(泗沘期)로 구분할 때 한성기 백제의 마지막 왕에 해당한다. 『삼국사기(三國史記)』 백제 본기(百濟本紀)를 통해 개로왕의 생애와 통치를 알 수 있다. 『삼국사기』 도미...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태조 이성계의 무덤인 건원릉의 신도비. 건원릉 신도비(1900)는 비문에 따르면 1900년(광무 4)에 세워졌다. 『고종실록(高宗 實錄)』에 따르면 1900년 6월 12일 고종이 건원릉(健元陵)을 비롯한 왕실 무덤들의 표석(表石)을 정비하라는 명을 내린 바 있다. 신도비 앞면의 비제(碑題)와 뒷면의 음기(陰記)는 모두 고종이...
-
경기 지역 특유의 칼을 휘두르며 추는 춤. 경기 검무(京畿劍舞)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전통 악기의 반주에 맞춰 칼을 들고 휘두르며 추는 춤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한다. 2011년 6월 17일 경기도 무형 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한국의 검무는 문헌 및 유적·유물 등을 통해 고대 삼국 시대부터 모습을 확인할 수...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경릉의 신도비. 경릉 신도비(景陵神道碑)는 헌종(憲宗)·효현 왕후(孝顯王后)·효정 왕후(孝定王后)의 능인 경릉(景陵)에 세워진 신도비이다. 헌종은 조선의 24대 왕으로 1827년(순조 27) 출생해 1830년(순조 30) 왕세손으로 책봉되었고, 1834년(순조 34) 11월 8세의 나이로 즉위한 후 1849년에 후사 없이 사망했다....
-
경기도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중부 지역을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영유했던 한국 고대의 국가. 고구려(高句麗)는 압록강 유역에서 기원한 후 주변 지역을 향해 동심원 형태로 팽창했다. 남쪽으로는 한반도 북서부 지역이 첫 번째 목표가 되었고 이어서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중부 지역으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한강 하류 유역에서 등장한 백제(百濟)와의...
-
경기도 구리시에서 발견된 고구려인이 작성한 문자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에 대한 통칭. 고구려의 영역 대부분은 한반도 중부 이북 지역에 해당되었으므로 고구려인이 직접 작성한 문자 기록이 남아 있는 대부분의 자료들도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집안 고구려비(集安高句麗碑)'·'덕흥리 고분 묵서명(德興里古墳墨書銘)'처럼 주로 한반도 북부 및 만주 지역에...
-
경기도 구리 지역에 있는 아차산의 고구려 유적과 유물들을 중심으로 살펴본 4세기부터 6세기까지 한반도 중부 지역에서 진행된 고구려의 역사. 고구려(高句麗)는 압록강 유역에서 기원·성장해 한반도 북부 지역과 만주 일대를 중심 영역으로 삼았던 국가인 만큼, 남한 지역에서 고구려와 관련된 실제 흔적을 찾기는 어렵다. 그러나 고구려가 대외적으로 팽창하던 4세기 후반부...
-
경기도 구리 지역에 있는 아차산성 아래에서 고구려군에 의해 백제 개로왕(蓋鹵王)이 처형당하고 도성(都城)인 한성(漢城)이 함락당한 사건. 백제는 건국 이후 고구려와 서로 다툼을 거듭하다가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 이후 열세에 놓이게 되었다. 백제 개로왕은 고구려의 압력을 극복하기 위해 적극적 외교 정책을 펼쳤으나 475년 9월 고구려군의 침공으로 구리 지역의 아...
-
경기도 구리 지역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에 주로 제작·사용되어 초기 철기 시대까지 이어진 무덤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부장품(副葬品)]를 두는 매장 시설을 조성하고 그 위에 대형 자연석을 얹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고인돌은 제작 방식과 형태에 따라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지...
-
경기도 구리 지역에까지 영향을 미친 남진 정책의 토대를 마련한 고구려의 왕.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은 고구려의 제19대 왕으로서 이름은 담덕(談德)[중국 문헌에서는 이름을 안(安)으로 기록]이다. 374년에 출생해 386년 1월 고국양왕(故國壤王)의 태자로 책봉되었고, 391년 사망한 고국양왕을 이어 즉위했다. 412년[『삼국사기(三國史記)』의 연표에서는 광개...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교문동 유물산포지는 구리 시립 체육공원 안에 있는 구리시 멀티 스포츠 센터와 그 주변 지역이다. 교문동 유물산포지는 1932년과 1934년 두 차례에 걸쳐 경성 제국 대학의 학자 요코야마 쇼자부로[橫山將三郞]에 의해 조사되었다. 당시 수집된 유물들을 1976년 이백규[현 경북 대학교 고고 인류학...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구릉산 유물산포지는 구릉산 정상[해발 177.8m] 일대이다. 구릉산 유물산포지는 일제 강점기 경성 제국 대학의 요코야마 쇼자부로[橫山將三郞]에 의해 조사되었다. 당시 채집된 유물을 1974년 이백규[현 경북 대학교 고고 인류학과 명예 교수]가 소개했고,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건원릉의 정(丁)자형의 제사건물.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은 1408년(태종 8)에 조성된 조선 태조(太祖)의 능인 건원릉(健元陵)의 제사용 건물이다. 3년상 중에는 이곳에서 조석상식(朝夕上食)[혼백·신주에 아침과 저녁으로 음식을 차리는 의식]과 주다례(晝茶禮)[낮에 지내는 차례]가 이루어졌고, 3년상 이후에는 여러 길례(吉禮)가...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목릉의 정(丁) 자형 제사건물. 구리 동구릉 목릉 정자각(九里東九陵穆陵丁字閣)은 1608년(광해군 즉위)에 조성된 조선 선조(宣祖)의 능인 목릉(穆陵)의 제사용 건물이다. 3년상 중에는 이곳에서 조석상식(朝夕上食)[혼백·신주에 아침과 저녁으로 음식을 차리는 의식]과 주다례(晝茶禮)[낮에 지내는 차례]가 이루어졌고, 3년상 이후에는...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숭릉의 정(丁) 자형 제사건물. 구리 동구릉 숭릉 정자각(九里 東九陵 崇陵 丁字閣)은 1674년(숙종 즉위)에 건립되었다. 조선 현종(顯宗)과 현종의 비 명성 왕후(明聖王后)의 능인 숭릉(崇陵)의 제사용 건물이다. 3년상 중에는 이곳에서 조석상식(朝夕上食)[혼백·신주에 아침과 저녁으로 음식을 차리는 의식]과 주다례(晝茶禮)[낮에 지...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태조의 능인 건원릉에 세워진 신도비. 구리 태조 건원릉 신도비(九里太祖健元陵神道碑)는 『태종실록(太宗實錄)』에 따르면 1409년(태종 9) 윤4월 13일에 세워졌다. 『문종실록(文宗實錄)』에 따르면 1452년(문종 2) 3월 3일 풍수가 문맹검(文孟儉)이 신도비 비각(碑閣)의 배수로가 얕으므로 좀 더 깊게 팔 것을 건의한 적이...
-
경기도 구리시 지역을 영역에 포함하고 있었던 삼한(三韓) 시대의 정치 연맹체. 마한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존재했던 정치체들의 통칭인 삼한을 구성하는 세 개의 정치 연맹체 중 하나이다. 한강 유역 및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 일대에서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 존속했다. 3세기에 편찬된 중국 사서인 『삼국지(三國志)』의 위서(魏書) 동이전...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망우리 유물산포지 1은 망우산 정상[해발 281.7m] 일대이다. 망우리 유물산포지 1은 1965년 고 임병태 숭실 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발견·보고했고,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실시했다. 발견 당시에는 망우리 유물산포지...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망우리 유물산포지 2는 망우산 정상[해발 281.7m] 일대에 있으며, 망우리 유물산포지 1에서 북동쪽으로 160m 떨어진 지점이다. 망우리 유물산포지 2는 1965년 고 임병태 숭실 대학교 사학과 교수가 발견·보고했고,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
경기도 구리시 교문동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망우리 유물산포지 3은 망우산 정상[해발 281.7m]에서 북동쪽으로 약 200m 떨어진 봉우리[해발 258.8m] 일대이다. 망우리 유물산포지 3은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망우산 및 아차산 등을 조사하던 중에 발견되었다. 망우리 유물산포...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목릉의 신도비. 목릉 신도비(穆陵神道碑)는 1747년(영조 23)에 세워졌다. 『목릉 휘릉 혜릉 표석 영건청의궤(穆陵徽陵惠陵表石營建廳儀軌)』와 『영조실록(英祖實錄)』에 따르면 1746년(영조 22) 11월 19일 사헌부 장령 김한운(金翰運)이 혜릉(惠陵)[경종(景宗)의 비 단의 왕후(端懿王后)의 무덤]에 표석을 세울 것을 건의하자,...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에 있는 범굴사의 논밭 거래와 관련된 시주인들의 명단을 암벽에 기록한 각명(刻銘). 범굴사 불량 시주기(梵窟寺 佛粮 施主記)는 범굴사에서 논과 밭을 구입할 때 관련된 사람들의 명단을 암벽에 새겨서 기록한 것이다. 범굴사는 7세기 중반 신라 시대에 창건된 후 어느 시점에 폐사되었다. 이후 18세기 중반에 재건되었지만 임오군란(...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아차산에 있는 범굴사의 재산을 암벽에 기록한 각명(刻銘). 범굴사 불량권은 신라 시대인 647년(진덕 원) 의상 대사(義湘大師)가 창건한 범굴사가 고려 말기 이후 정확한 시점을 알 수 없으나 폐사되었다가 1750년(영조 26) 방지성(方智性) 거사에 의해 재건된 후 새겨졌다고 추정된다. 1757년(영조 33)부터 1765년(영조...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사노동 고인돌 떼는 사노동의 자연 마을인 언재말에서 북동쪽으로 약 250m 떨어진 언덕[해발 30m]에 분포한다. 북쪽으로 약 80m 떨어진 곳에 46번 국도가 지나가며, 동쪽으로 약 250m 떨어진 곳에 왕숙천이 흐르고 있다. 사노동 고인돌 떼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사노동 유물산포지 1은 북쪽의 왕숙천 지류인 용암천과 남쪽의 사노 인터체인지 사이 해발 30m의 낮은 평지에 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1은 1999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을 조사하던 중 발견되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1에서는 삼국 시대에...
-
경기도 구리시 사노동에 있는 철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사노동 유물산포지 2는 동쪽의 왕숙천 제방과 서쪽의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구리 휴게소 사이의 평지에 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2는 2005년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서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사노동 유물산포지 2에서는 철기 시대에 제작되었다고 추정되는...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고구려·백제·신라가 정립했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백제의 영역에 있던 구리 지역은 고구려의 남진 정책으로 5세기 후반 이후 고구려의 군사적 영향력 아래 들어갔다가, 551년 백제와 신라의 동맹으로 고구려를 몰아내면서 백제의 영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2년 후 신라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에 구리 지역은 황양현(荒壤縣)...
-
경기도 석공예 장인 중 석구조물 제작 기능과 그 기능을 보유한 사람. 석장(石匠)은 전통 도구를 이용해 돌을 가공하는 공예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하며, 중요 무형 문화재[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 혹은 시·도 지정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석장은 다시 각종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제작하는 '석장[석구조물]' 분야와 돌을 조각해 불상(佛像)·...
-
국가 무형문화재 제120호 석장 중 석조각 기능과 그 기능을 보유한 사람. 석장(石匠)은 전통 도구를 이용해 돌을 가공하는 공예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하며, 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중요 무형 문화재] 혹은 시·도 지정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석장은 다시 각종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제작하는 '석장(석구조물)' 분야와 돌을 조각해 불상(佛...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사람들이 문자를 사용하기 이전에 활동한 시대. 선사 시대는 인간의 출현부터 현재까지의 전체 기간을 문자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할 때 문자 기록이 존재하는 역사 시대와 대칭되는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던 시대를 가리키며, 일반적으로 구석기 시대·신석기 시대·청동기 시대를 포괄하는 개념으로 사용된다. 현재 구리 지역에서는 구석기 시대의 흔적을 확인할 수...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익종과 익종의 비 신정 왕후의 능인 수릉의 신도비. 수릉 신도비(1890)는 익종(翼宗)과 신정 왕후(神貞王后)의 능인 수릉(綏陵)에 세워진 신도비이다. 익종은 순조(純祖)의 세자로 즉위 전에 사망했지만 아들이 헌종(憲宗)이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존되었다. 1809년(순조 9) 출생해 1812년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827년부...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익종과 익종의 비 신정 왕후의 능인 수릉의 신도비. 수릉 신도비(1902)는 익종(翼宗)과 신정 왕후(神貞王后)의 능인 수릉(綏陵)에 세워진 신도비이다. 익종은 순조(純祖)의 세자로 즉위 전에 사망했는데 아들이 헌종(憲宗)으로 즉위하면서 왕으로 추존되었다. 1809년(순조 9)에 출생해 1812년에 왕세자로 책봉되었고, 182...
-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산포지. 수택동 유물산포지 1은 수택 고등학교에서 북서쪽으로 약 300m 떨어져 있는 왕숙천 서쪽 유역 일대에 있으며, 인접한 남쪽 지역에 구리 토평 주공 아파트 단지가 있다. 수택동 유물산포지 1은 2005년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서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수...
-
경기도 구리시 수택동에 있는 조선 시대의 유물산포지. 수택동 유물산포지 2는 구리 수택 주공 아파트 단지 서쪽의 검배 근린공원 안에 있으며, 동쪽으로 약 400m 떨어진 곳에 왕숙천이 지나간다. 수택동 유물산포지 2는 2005년 육군 사관학교 화랑대 연구소에서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수택동 유물산포지 2에서는 조...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현종과 현종의 비 명성 왕후의 무덤인 숭릉의 신도비. 숭릉 신도비(崇陵神道碑)는 1721년(경종 1)에 세워졌다. 『경종실록(景宗實錄)』에 따르면 1720년(경종 즉위) 8월 28일 각 능에 표석을 세우자는 영의정 김창집(金昌集)과 우의정 이건명(李健命)의 건의를 경종이 받아들였고, 다음 해인 1721년 1월 24일 신도비를...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남북국 시대의 고분. 아차산 고분 1은 아차산 정상부의 능선에 있다. 아차산 기슭의 아차산 생태 공원에서 북쪽으로 직선 거리 약 1㎞ 떨어진 봉우리[해발 250m]에 아차산 1보루가 있고, 다시 이곳에서 능선을 따라 북쪽으로 약 200m 이동하면 아차산 5보루가 조성된 언덕이 있는데, 언덕 정상부에 아차산 고분 1이 있다....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 아차산 고분 2는 아차산 중턱에 있다. 아차산 동쪽 기슭의 우미내 마을에서 대성암으로 가는 등산로를 따라 서쪽으로 직선 거리 약 400m 떨어져 있는 능선 위[해발 140m]에 있다. 아차산 고분 2는 1994년 구리 문화원 아차산 학술 조사단에서 『아차산의 역사와 문화유산』 제작을 위해 아차산 일대에...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 아차산 고분 3은 아차산 중턱에 있다. 대성암[범굴사(梵窟寺)]에서 남쪽으로 직선거리로 약 50m 떨어져 있는 지점을 지나가는 등산로 왼쪽에 있다. 아차산 고분 3은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아차산 일대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아차...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군. 아차산 고분군 1은 아차산 중턱에 있다. 아차산 생태 공원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면 오른쪽에 아차산성의 서쪽 성벽이 등장한다. 서쪽 성벽과 북쪽 성벽이 만나는 모서리 지점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약 180m 떨어진 능선[해발 175m]에 분포한다. 아차산 고분군 1은 1994년 구리 문화원...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군. 아차산 고분군 2는 아차산 중턱에 있다. 영화사(永華寺)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면 아차산 정상으로 향하는 등산로와 만나는 곳에 고구려정이 있다. 고구려정에서 동쪽으로 직선거리 약 50m 떨어진 능선[해발 190m]의 남쪽과 서쪽 비탈면에 분포한다. 아차산 고분군 2는 1994년 구리 문화원...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군. 아차산 고분군 3은 아차산 중턱에 있다. 아차산 관리 사무소에서 시작하는 등산로를 따라 올라가면 아차산 정상부의 능선을 따라 조성된 아차산 보루들이 있는데, 아차산 3 보루에서 남쪽으로 직선거리 약 180m 떨어진 지점[해발 275m]에 분포한다. 아차산 고분군 3은 1994년 구리 문화원 아차산 학...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고분군. 아차산 고분군 4는 아차산 기슭에 있다. 아치울 마을의 마을 회관에서 북쪽으로 직선거리 약 250m 떨어진 언덕 일대[해발 75~100m]에 분포하며, 오른쪽으로 약 150m 떨어진 곳에 남양 홍씨(南陽洪氏) 묘역이 있다. 아차산 고분군 4는 1994년 구리 문화원 아차산 학술 조사단에서 『아차산의...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아천동 아치울 고인돌은 아치울 마을의 남양 홍씨(南陽洪氏) 묘역에서 남쪽으로 직선거리로 약 50m 떨어진 지점에 있다. 고인돌의 오른쪽에는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 373-11에 해당하는 주택이 있다. 아천동 아치울 고인돌은 2007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문화 유적 분포 지도』 제작을 위해 이 지...
-
경기도 구리시 아천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아치울 유물산포지는 용마 터널 남쪽에 있는 아치울 마을에 조성된 남양 홍씨(南陽洪氏) 묘역 남동쪽의 언덕 및 밭 일대이다. 아치울 유물산포지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아치울 유물산포지에서는 삼...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전통 악기를 만드는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 악기장(樂器匠)은 가야금과 거문고를 비롯한 각종 한국의 전통 악기를 만드는 공예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하며, 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중요 무형 문화재] 혹은 시·도 지정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로서의 악기장은 1971년 2월 24일 중요 무형...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었던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떼. 양지말 고인돌 떼는 인창 공원이 조성되기 전 동구릉에서 남쪽으로 약 1㎞ 떨어진 곳에 있는 낮은 언덕의 정상부 일대에 분포하고 있었다. 이 지역은 현재의 인창 공원 내부에 해당한다. 양지말 고인돌 떼는 1994년 한신 대학교 박물관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했으며, 2000년 서...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통일 신라 시기의 유물산포지. 양지말 유물산포지는 인창 공원 안에 있는 어린이 놀이터와 노천 극장 일대이다. 이 지역은 동구릉에서 남쪽으로 약 1.5㎞ 떨어진 곳이며 동쪽으로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 서쪽으로 43번 국도, 남쪽으로 6번 국도가 지나간다. 양지말 유물산포지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
-
경기도 구리 지역에 있는 아차산성 아래에서 신라군과 싸우다 전사한 6세기 후반 고구려의 장군. 온달(溫達)[?-590]은 한강 유역 일대의 소유를 둘러싸고 고구려와 신라의 분쟁이 격화되던 6세기 후반에 활동한 인물로서, 『삼국사기(三國史記)』 열전(列傳)에 온달에 대한 기록이 실려 있다. 고구려는 475년 백제의 도성을 함락시키고 개로왕(蓋鹵王)을 생포해 처형...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영조와 영조의 비 정순 왕후의 무덤인 원릉의 신도비. 원릉 신도비(1776)는 1776년(정조 즉위)에 세워졌다. 『정조실록(正祖實錄)』에 따르면 영조(英祖)가 사망한 3월 5일 당일 정조의 명에 의해 산릉도감(山陵都監)이 설치되어 4월 19일부터 무덤 조영 공사를 시작했고 7월 3일 작업이 마무리되었는데, 신도비도 이 과정에...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영조(英祖)와 영조의 비 정순 왕후의 무덤인 원릉(元陵)의 신도비. 원릉 신도비(1805)는 1805년(순조 5)에 세워졌다. 『순조실록(純祖實錄)』에 따르면 1805년 1월 12일 정순 왕후(貞純 王后)가 사망한 후 산릉도감(山陵都監)이 설치되어 무덤을 조성했는데, 3월 1일 도감의 총호사(摠護使) 서매수(徐邁修)가 표석 등...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영조와 영조의 비 정순 왕후의 무덤인 원릉의 신도비. 원릉 신도비(1890)는 1890년(고종 27)에 세워졌다. 『고종실록(高宗實錄)』에 따르면, 1890년 1월 3일 고종은 종묘에서 영종(英宗)의 묘호(墓號)로 영조 대왕(英祖大王)을 새롭게 올렸고 1월 27일에는 원릉 표석의 글을 직접 쓰겠다는 명을 내렸다. 이런 일들을...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었던 청동기 시대의 고인돌. 인창동 고인돌은 동구릉 남쪽 언덕의 묘목장[해발 30m]에 있었다. 인창동 고인돌은 1994년 한신 대학교 박물관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했으며,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도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실시했다. 인창동 고인...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인창동 베틀고개 유물산포지는 인창동 삼성 래미안 아파트 4단지 서쪽 공터 일대이며, 인접한 북쪽 지역에 북부간선도로가 지나간다. 인창동 베틀고개 유물산포지는 2000년 서울대학교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인창동 베틀고개...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청동기 시대의 유물산포지. 인창동 유물산포지 1은 동구릉 관리 사무소 동쪽에 인접한 언덕 및 평지 일대에 있다. 인창동 유물산포지 1은 일제 강점기 경성 제국 대학의 학자 요코야마 쇼자부로[橫山將三郞]에 의해 조사되었으나 정확한 시점과 위치는 현재 알기 어렵다. 1994년 한신 대학교 박물관이 이 지역에 대한 지표 조사를...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삼국 시대의 유물산포지. 인창동 유물산포지 2는 동구릉 남쪽의 완만한 언덕 일대이며, 인접한 남쪽 지역으로 북부 간선 도로가 지나간다. 인창동 유물산포지 2는 2000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서 『구리시의 역사와 문화』 제작을 위해 이 지역에서 지표 조사를 하던 중 확인되었다. 인창동 유물산포지 2에서는 회백색...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임진왜란 중에 일어났던 의병(義兵)의 활동. 임진왜란 중에 양주 목사(楊州 牧使)로 임명된 고언백(高彦伯)은 검암산[구릉산]에 보루를 쌓고 적을 격퇴하였다. 임진왜란 발발 직후 20여 일만에 한양이 점령당하고 이미 그 이전에 선조(宣祖)와 조정이 의주로 피난할 만큼 당시 조선의 국력은 취약한 상태였지만, 그 조짐은 일찍부터 확인할 수 있다. 연산군(...
-
경기도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강 유역 일대까지 영역을 넓힌 고구려의 왕. 장수왕(長壽王)은 고구려의 제20대 왕으로서 이름은 거련(巨連)[또는 연(璉)]이다. 394년에 출생해 408년 4월에 광개토태왕(廣開土太王)의 태자로 책봉되었다. 412년에 사망한 광개토태왕을 이어 즉위했으며[『삼국사기(三國史記)』의 연표에서는 광개토태왕의 사망과 장수왕의 즉위 시점을...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사람들이 청동(靑銅)으로 만든 도구를 주로 사용하며 생활하던 시대. 청동기시대는 인간의 출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문자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할 때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던 선사(先史) 시대에 포함되는 시기로, 구리에 주석·비소·아연 등을 섞어 만든 청동을 재료로 각종 도구를 제작·사용하기 시작한 때부터 철로 만든 도구[철기(鐵器)]를 제작하기 시...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조선 문종과 문종의 비 현덕 왕후의 무덤인 현릉의 신도비. 현릉 신도비(顯陵神道碑)는 1755년(영조 31)에 세워졌다. 본래 현릉 조성 과정에서는 신도비를 세우지 않았고, 한동안 조선 왕실의 무덤에는 비석을 마련하지 않았다. 그러나 『후릉 현릉 광릉 경릉 창릉 선릉 정릉 표석 영건청의궤(厚陵顯陵光陵敬陵昌陵宣陵靖陵表石營建廳儀軌)』와...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혜릉의 신도비. 혜릉 신도비는 1747년(영조 23)에 세워졌다. 『목릉 휘릉 혜릉 표석 영건청의궤(穆陵徽陵惠陵表石營建廳儀軌)』와 『영조실록(英祖實錄)』에 따르면 1746년(영조 22) 11월 19일 사헌부 장령 김한운(金翰運)이 혜릉(惠陵)에 표석을 세울 것을 건의하자, 영조는 그동안 비석을 마련하지 않았던 혜릉 등에 표석을 세우...
-
경기도 구리시 인창동에 있는 휘릉의 신도비. 휘릉 신도비(徽陵神道碑)는 1747년(영조 23)에 세워졌다. 『목릉 휘릉 혜릉 표석 영건청의궤(穆陵徽陵惠陵表石營建廳儀軌)』와 『영조실록(英祖實錄)』에 따르면 1746년(영조 22) 11월 19일 사헌부 장령(司憲府掌令) 김한운(金翰運)이 경종(景宗)의 비 단의 왕후(端懿 王后)의 무덤인 혜릉(惠陵)에 표석을 세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