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구려 문자 자료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6123024
한자 高句麗文字資料
영어공식명칭 Written Material of Goguryeo
분야 역사/ 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구리시
시대 고대/삼국 시대/고구려
집필자 최상기

[정의]

경기도 구리시에서 발견된 고구려인이 작성한 문자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에 대한 통칭.

[개설]

고구려의 영역 대부분은 한반도 중부 이북 지역에 해당되었으므로 고구려인이 직접 작성한 문자 기록이 남아 있는 대부분의 자료들도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집안 고구려비(集安高句麗碑)'·'덕흥리 고분 묵서명(德興里古墳墨書銘)'처럼 주로 한반도 북부 및 만주 지역에 분포하며, 현재의 남한 지역에서 확인할 수 있는 고구려 문자 자료는 상대적으로 적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광개토왕이 남진 정책을 추진한 이래 고구려는 점차 한강 유역의 백제를 압박하며 그 영향력을 남쪽으로 확대했고, 475년 장수왕(長壽王)의 명령을 받은 고구려군에 의해 백제의 도성이 함락되고 개로왕(蓋鹵王)아차산성 아래에서 처형된 사건이 상징하듯이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강 하류 유역 일대는 고구려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이후 고구려는 임진강부터 한강 북안에 이르는 지역 일대에 다수의 보루들을 축조하고 군사들을 주둔시켰는데, 당시 이들이 사용했던 각종 도구들이 근래의 발굴 조사 중에 출토되었고 그러한 도구들에 새겨진 문자 기록들도 함께 확인되었다. 이러한 문자 자료들은 비록 비석이나 문헌에 기록된 글과 달리 1~3개의 글자가 새겨진 단편적인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오히려 당시 고구려 병사와 같은 일반인들의 생활 모습을 반영할 뿐만 아니라 단편적 문자 기록들과 그것이 새겨진 유물들의 성격을 연결해 분석함으로써 고구려아차산 일대 지역을 어떻게 관리했는지까지 추정할 수 있는 중요한 자료라고 할 수 있다.

[아차산 제4보루 출토 고구려 문자 자료]

아차산 제4 보루는 1997년, 1998년, 2007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외곽을 감싸는 성벽과 내부의 건물들로 구성되었고, 건물 내부에는 1기 이상의 온돌이 설치되어 있었다. 이곳에서는 '나왕(羅王)'·'염모형(冉牟兄)'·'지도형(支都兄)'·'후부도□형(後阝都□兄)'·'하관(下官)' 등의 글씨가 새겨진 토기 파편들을 비롯해 '십(十)'·'건(巾)'·'전(田)'·'대(大)'·'길(吉)' 등의 글씨 혹은 의미를 알 수 없는 부호가 새겨진 각종 토기와 그 파편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시루봉 보루 출토 고구려 문자 자료]

시루봉 보루는 1999년, 2000년, 2009년 서울 대학교 박물관에 의해 발굴 조사되었다. 전체적으로 외곽을 감싸는 성벽과 내부의 온돌을 갖춘 대형 건물 및 배수 시설·저수 시설 등으로 구성되었다. 이곳에서는 '대부정대부정(大夫井大夫井)'이라는 글씨가 새겨진 대형 항아리를 비롯해 '정(井)'·'대(大)'·'십(十)'·'건(巾)'·'칠(七)' 등의 글씨 혹은 의미를 알 수 없는 부호가 새겨진 각종 토기와 그 파편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한편 여기에서 확인된 '정(井)'의 경우 문자가 아니라 부호로 보는 견해도 존재한다.

[아차산 제3보루 출토 고구려 문자 자료]

아차산 제3 보루는 2007년 고려대학교 고고환경연구소에 의해 발굴 조사되어 외곽의 성벽 및 온돌을 갖춘 건물과 단야(鍛冶) 시설 등이 확인되었다. 이곳에서는 '목(木)'·'왕(王)'·'육(六)'·'중(中)'·'토(土)'·'단(丹)' 등의 글씨 혹은 나뭇잎·별·사람 모양 및 형태를 알 수 없는 부호가 새겨진 각종 토기와 그 파편들이 다수 출토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