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구리시의 가정에서 가족의 안녕과 풍요를 위해 가신을 받들어 모시는 신앙 행위와 믿음. 가신신앙은 집이라는 건물 자체를 신체로 하거나 그 건물에 거주하면서 건물의 기능을 보호하는 동시에 그 공간에 사는 가족의 행·불행에 관계하는 신들에 관한 신앙을 말한다. 가신은 집을 단위로 하는 가족의 번창을 돕고 액운으로부터 보호하는 역할을 담당하는 신들이다. 가신은 집안 곳곳...
-
경기 지역 특유의 칼을 휘두르며 추는 춤. 경기 검무(京畿劍舞)는 서울 및 경기 지역을 중심으로 형성된, 전통 악기의 반주에 맞춰 칼을 들고 휘두르며 추는 춤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한다. 2011년 6월 17일 경기도 무형 문화재 제53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한국의 검무는 문헌 및 유적·유물 등을 통해 고대 삼국 시대부터 모습을 확인할 수...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산지 간 통로 역할을 하는 산등성이의 낮은 지대. 고개는 산을 넘어가는 능선에서 높이가 낮은 곳으로, 예로부터 사람이나 물자가 이동하는 주요한 통로 역할을 하였다. 구리시는 대체로 평지로 이루어져 있지만, 구리시의 서북부에서 서남부로 산줄기가 뻗어 있다. 광주 산맥에서 분기한 산줄기는 한강 변에 이르면서 해발 고도가 크게 낮아져 구리시에는 험준한 고...
-
경기도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중부 지역을 5세기 후반부터 6세기 중반까지 영유했던 한국 고대의 국가. 고구려(高句麗)는 압록강 유역에서 기원한 후 주변 지역을 향해 동심원 형태로 팽창했다. 남쪽으로는 한반도 북서부 지역이 첫 번째 목표가 되었고 이어서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중부 지역으로 향했다. 이 과정에서 한강 하류 유역에서 등장한 백제(百濟)와의...
-
경기도 구리시에서 발견된 고구려인이 작성한 문자 기록을 확인할 수 있는 자료들에 대한 통칭. 고구려의 영역 대부분은 한반도 중부 이북 지역에 해당되었으므로 고구려인이 직접 작성한 문자 기록이 남아 있는 대부분의 자료들도 '광개토왕릉비(廣開土王陵碑)'·'집안 고구려비(集安高句麗碑)'·'덕흥리 고분 묵서명(德興里古墳墨書銘)'처럼 주로 한반도 북부 및 만주 지역에...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고등 보통 교육 및 실업 전문 기관. 고등학교는 중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교육 및 기초적인 전문 교육을 실시하기 위해서 설치된 교육 기관이다. 입학 자격은 중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규정하고 있다. 수업 연한은 일반적으로 3년이다. 교육 과정의 내용에 따라 크게는 일반 고등학교,...
-
918년부터 1392년까지 고려 왕조가 지속되던 시기의 경기도 구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 장기간에 걸친 평화가 지속된 통일 신라는 하대(下代)로 갈수록 골품제의 한계에 따른 왕위 쟁탈전이 계속되었고, 지방 통제력의 상실로 조세 징수의 어려움을 겪었다. 이런 혼란 속에서 한반도는 쇠잔해진 신라와 왕건의 고려, 그리고 견훤의 후백제로 나뉘었는데, 양주(楊州)라는 명칭은 『삼국사기(三國...
-
경기도 구리시 지역에 전해지는 옛 문서. 전통 시대의 구리시 지역은 경기도 양주 지역에 포함되어 있었기 때문에 현재 구리시 지역에 한정된 고문서(古文書) 중 교지(敎旨)나 분재기(分財記)와 같은 자료는 많지 않다. 다만, 동구릉과 관련된 의궤(儀軌)와 능지(陵誌) 등의 고문서 총 48점이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과 한국학 중앙 연구원 장서각 등에서 보관 중이다....
-
경기도 구리 지역에 분포하는 청동기 시대의 대표적인 무덤 양식. 고인돌은 청동기 시대에 주로 제작·사용되어 초기 철기 시대까지 이어진 무덤 양식이다. 일반적으로 지상이나 지하에 시신과 껴묻거리[부장품(副葬品)]를 두는 매장 시설을 조성하고 그 위에 대형 자연석을 얹는 방식으로 만들어진다. 고인돌은 제작 방식과 형태에 따라 크게 세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지...
-
조선 시대에 간행된 구리 지역과 관련한 옛 지도. 현재의 구리시 지역이 포함된 양주목이 표기된 지도는 『광여도』, 『해동 지도』, 『1872년 지방도』, 『여지도』, 『팔도 군현 지도』 등이 있다. 이들 지도는 제작 방식에 따라 필사본과 목판본으로 구분되고, 지도의 형태에 따라 회화식과 방안식, 기호식으로 구분된다. 지도에 수록되는 규모에 따라 천하 지도, 전국 지도, 지방 지도,...
-
경기도 구리시의 공적 이익을 수행하기 위해 만들어진 기관. 공공기관은 크게 국가에서 설립하고 운영하는 기관과 지방 자치 단체에서 설립하는 기관, 기타 공공 단체 등으로 나누어 볼 수 있다. 「공공기관의 개인 정보 보호에 관한 법률」에 의하면, 공공기관은 국가 행정 기관, 지방 자치 단체, 기타 공공 단체 중 대통령령이 정하는 기관으로서 「초·중등 교육법」 및 「고등 교육...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공원. 경기도 구리시에 조성된 공원은 크게 도시공원과 도시 자연공원으로 나눌 수 있다. 도시공원은 도시 계획 구역 안에서 자연 경관의 보호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 생활의 향상에 기여하기 위하여 도시 관리 계획으로 결정된 공원이며,「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률」에 의한 도시 계획 시설의 하나이다. 기능 및 목적에 따라 생활권 공원...
-
경기도 구리시에서 관광객이 여가 및 위락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자원, 시설, 서비스와 관련된 모든 것. 구리시는 경기도의 중앙에 있는데, 동쪽은 경기도 남양주시, 서쪽과 남쪽은 서울특별시, 북쪽은 남양주시와 접하고 있다. 남쪽으로 한강의 본류가 흐르고 동쪽으로는 한강의 지류인 왕숙천이 흐른다. 구리시 수택동을 축으로 한 서쪽에는 아차산이 있고, 동북방에는...
-
경기도 구리시 지역에 설치되어 있는 교량. 구리시에 설치된 교량은 한강에 설치된 교량, 한강 지류에 설치된 교량, 육지에 설치된 교량으로 나눌 수 있다. 한강에 설치된 교량은 강동 대교와 구리 암사 대교가 있다. 한강 지류인 왕숙천에 설치된 교량으로는 왕숙교·왕숙천교·왕숙천 2교·수택 제2교·토평교·사노교 등이 있다. 왕숙천과 한강이 만나는 합류 지...
-
경기도 구리시의 주요 도로와 교통수단 및 시설. 경기도 구리시는 동서로 수도권 전철 중앙선 철도가 지나며, 북서쪽으로 경춘선 철도가 지나고,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도 지나간다. 경기도 구리 지역의 옛길의 모습은 조선 영조 연간에 제작되어 전국 군현을 총망라한 지도집인 『해동 지도』와 1872년(고종 9)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1872년 지방도』...
-
경기도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 구리시는 경기도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다. 서쪽으로는 서울특별시 노원구, 중랑구, 광진구 등지와 경계를 이루고 있다. 남쪽은 한강을 사이에 두고 서울특별시 강동구, 동쪽과 북쪽은 경기도 남양주시, 동남쪽은 경기도 하남시와 접경을 이룬다. 수리적 위치는 동경 127˚ 06′ 05″[구리시 교문동] - 127˚ 10′ 25″[구리시 토...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연극·음악·무용의 공연이나 영화 상영 등을 위하여 무대와 객석 등을 설치한 건물이나 시설. 극장(theatre)은 그 어원이 관람석(theatron)을 뜻하는 말에서 나왔듯이 배우와 관객을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한다는 의미를 가지고 있다. 극장은 원래 연극 공연장을 지칭하였으나 무용·음악·예능 등 다양한 예술 공연과 영화관으로 그 개념이 확대되었다....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이루어지는 자금의 융통 및 공급을 행하는 영리 사업. 금융업은 "영리를 목적으로 자금을 융통하고 공급하는 산업"이다. 한국 표준 산업 분류에 따르면 금융업은 세부적으로는 은행 및 저축 기관과 투자기관, 기타 여신 금융업 등으로 구성되는 통상적인 금융업과 보험 및 연금업, 기타 금융 및 보험 관련 서비스업으로 구성된다. 2014년 기준으로 구리시에는 17...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일정 기간 동안 되풀이하여 출현하는 대기 현상. 기후는 대기 현상의 종합적인 상태를 가리키는 것으로, 기상 현상을 종합적으로 이해하는 것이다. 기상이 순간적이고 개별적인 대기 현상이라면, 기후는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대기 현상에 해당한다. 특정 지방의 기후를 이야기할 때는 어느 정도 더운가 혹은 추운가, 비는 어느 정도 내리는가, 바람은 강한가 등이 관심...
-
경기도 구리시 지역의 나룻배가 닿고 떠나는 장소. 하천은 내륙 수로로는 중요하였지만, 육상 교통의 입장에서는 커다란 장애물이었다. 도로가 하천을 만나 끊어지는 곳에서는 나룻배가 하천 양쪽의 도로를 이어 주었으며, 배를 대거나 배에 타고 내리던 곳에는 나루터가 발달하였다. 나루터의 기본적인 기능은 사람과 물자의 운반에 있다. 나루는 단순히 강이나 하천을 건너는 데 편의를...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각종 농산물의 생산 및 유통과 관련된 산업. 구리시는 지리와 기후가 농업에 적합한 편으로 오랜 기간 지역 대부분이 전형적인 농촌이었다. 그러나 1980년대 이후 수도권의 확장에 따라 구리 지역 대부분이 도시화되었고, 산업의 대부분은 제조업과 서비스업이 차지하고 있다. 다만 교통의 편리함과 서울 근교라는 이점 등을 부각할 수 있...
-
경기도 구리시에 개설되어 사람과 차량이 통행할 수 있게 만든 길. 경기도 구리시에는 고속 도로 1개 노선과 국도 3개 노선, 시도 366개 노선 등이 있다. 고속 도로의 총 연장은 6.47㎞, 국도 총 연장은 18.42㎞, 시도의 총연장은 111.96㎞이다. 구리시를 경유하는 고속 도로로는 수도권 제1순환고속도로가 있다. 강동 대교~퇴계원 구간 6....
-
경기도 구리시에서 운영되고 있는 시민을 위한 도서관 시설. 구리시는 권역별 중대형 시립 도서관 3개소[인창 도서관, 토평 도서관, 교문 도서관]와 작은 도서관 4개소[교문 2동 작은 도서관, 수택 1동 작은 도서관, 인창동 작은 도서관, 수택 작은 도서관]를 운영하고 있다. 구리 시립 도서관과 더불어 작은 도서관 4개소를 설치 운영해 시민 누구나 걸어서 10분...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마을 공동체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며 마을신을 위하여 제를 지내는 신앙 행위. 구리시에는 아천동 우미내 대동고사, 교문동 한다리 대동고사, 토평동 벌말 도당나무 치성과 서낭나무 치성, 수택동 수늪 산치성, 수택동 검배 서낭나무 고사, 수택동 이촌 산치성, 인창동 궁말 산치성, 인창동 동창 산신제와 부군제, 사노동 산치성, 언재 산치성, 갈...
-
경기도 구리시 지역을 영역에 포함하고 있었던 삼한(三韓) 시대의 정치 연맹체. 마한은 삼국 시대 이전 한반도 중남부 지역에 존재했던 정치체들의 통칭인 삼한을 구성하는 세 개의 정치 연맹체 중 하나이다. 한강 유역 및 충청도와 전라도 지역 일대에서 기원전 1세기부터 기원후 3세기까지 존속했다. 3세기에 편찬된 중국 사서인 『삼국지(三國志)』의 위서(魏書) 동이전...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조선 왕릉인 동구릉이나 종묘 등에 임금의 신위를 모실 때 올리는 호칭. 왕이나 황제가 죽은 뒤 종묘에 신위(神位)를 모실 때 올리는 호(號)가 묘호이다. 앞의 글자는 시법(諡法)에 따라 정해지고 뒤의 글자는 종가의 계통[宗系]과 조공 종덕(祖功宗德)[공이 있는 자는 조로 하고 덕이 있는 자는 종으로 한다]에 근거하여 붙였다. 고려의 경우 국가를 창업...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유·무형의 문화재. 경기도 구리시의 문화재는 구리 동구릉 건원릉 정자각(九里東九陵健元陵丁字閣) 등 보물 4점과 구리 동구릉(九里東九陵) 등 사적 2곳, 경기도 지정 문화재 4점, 등록 문화재 1점이 있다. 경기도 구리시에는 보물 4점과 사적 2곳의 국가 지정 문화재가 있다. 고려의 왕릉인 현릉(顯陵)[공민왕]의 제도에...
-
경기도 구리시에서 행해지는 눈으로 파악할 수 있는 미적 표현의 일체. 구리시 관내의 미술 전시 공간은 매우 부족했다. 1994년 5월 구리 시립 도서관[현 교문 도서관] 내의 약 115.7㎡ 정도가 상설 미술관으로 설치되어 지역 미술인들의 작품 전시와 시민들의 상시 관람이 가능하게 되었다. 2013년에 개관한 교문동 구리 아트홀은 2개의 전시 공간과 영상실을...
-
경기도 구리시에서 개인적 혹은 마을 공동체에서 옛날부터 전승되는 관습에 바탕을 둔 비조직화된 신앙 형태. 민간신앙은 민간에서 널리 신봉되는 신앙의 형태이다. 그러나 기성 종교와 같이 집단화되어 체계적인 교리와 조직을 갖춘 것이 아니라 과거부터 전승되는 문화적 배경을 토대로 주로 개인적 혹은 소규모의 공동체를 중심으로 행해진다. 민간신앙에는 마을 신앙, 가신 신앙, 각종...
-
경기도 구리시에서 노래로 전승되는 구비 전승의 한 장르. 민요는 입으로 전승되는 노래라는 특성이 있으며, 음악인 동시에 문학이다. 민요의 노랫말은 율문으로 전승되고 있다. 민요의 특징을 보면, 첫째는 공동작이면서 개인작이다. 민요는 개인적인 노랫말을 담아서 부르는 경우가 있음에도 청중들이 호응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개인작만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 둘째는 비전문적인 민중의...
-
경기도 구리시 아차산 일대에 산재한 여러 형태와 전설을 지닌 바위. 아차산은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바위로 이루어진 암산이며 화강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사람의 얼굴이나 동물의 형태를 가진 바위들이 많이 있으며 여러 가지 전설과 이야기를 지니고 있다. 또한 기가 센 산으로 알려져 있으며 만신들의 기도처이기도 하다. 1. 큰 바위 얼굴 고구려 대...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사용되는 토박이 언어. 방언은 그 지역 토박이들이 관습적으로 사용해 온 자연 언어로서, 특정 지역이나 사회 계층에서만 사용하는 음운·어휘·문법의 체계를 가리킨다. 방언은 지역 방언과 사회 방언으로 크게 분류한다. 지역 방언은 각 지역에 따라 분화한 언어를 의미하고, 사회 방언은 동일 지역 내에서 계층·직업·나이·성별 등에 따라 다르게 분화한 언어를...
-
경기도 구리시에서 환자를 진찰하고 치료하거나 질병 예방과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설치한 의료 기관. 병원이란 의료법 3조에서 공중(公衆) 또는 특정 다수인을 위하여 의료·조산의 업을 하는 곳으로 조산원과 의원급 의료 기관, 병원급 의료 기관으로 구분한다. 조산원은 조산사가 조산과 임부·해산부·산욕부 및 신생아를 대상으로 보건 활동과 교육·상담을 하는 의료 기관이다....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사적을 기념하기 위하여 돌이나 쇠붙이, 나무 따위에 글을 새겨 세워 놓은 것. 비(碑)는 일반적으로 비석(碑石)이라고 하는데, 재질에 따라 목비(木碑)·석비(石碑)·철비(鐵碑)로 나뉘며, 내용에 따라서는 기적비(紀績碑)·송덕비(頌德碑)·묘정비(廟庭碑)·신도비(神道碑) 등으로 구분된다. 경기도 구리시에는 보물로 지정된 건원릉 신도비(健元陵神道碑)를 비...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이루어지는 법에 따른 민사 및 형사 사건의 재판과 그와 관련한 국가 작용. 사법은 입법 및 행정과 더불어 국가 통치 작용의 하나로, 개인 간 또는 국가와 개인 간의 법률 관계에 관한 쟁의로 소송이 제기될 경우 무엇이 적법인가를 선언하는 행위를 말한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좁은 의미의 사법은 사법 기관인 법원의 권한으로 되어 있는 재판 작용을 의미하지만,...
-
경기도 구리시에서 카메라를 이용하여 사물의 형태를 영구적으로 기록하고 표현하는 예술 활동. 구리시의 사진 예술 활동은 1993년 한재희 사진작가가 '구리 사진 연구회’로 포토 교실을 운영하면서 사진작가를 배출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소극적으로 활동해 오던 사진 동호 회원들은 구리 문화원의 원로 사진작가 김응주[1922년생]옹의 구리 문화원 문화 학교 사진반 졸...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주변의 평지보다 높이 솟아 있는 지형. 구리시의 서북부로는 태백 산맥에서 뻗어 나온 광주 산맥의 줄기가 지난다. 광주 산맥은 금강산에서 시작하여 서울까지 이어지는 산줄기로서, 한강 쪽으로 향할수록 높이가 낮아진다. 구리시는 광주 산맥의 서쪽 가장자리에 자리잡고 있으므로 산의 해발 고도가 낮은 것이 특징이다. 서울특별시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
경기도 구리시에서 산신에게 올리는 치성. 산치성은 산신(山神)에게 올리는 치성이다. 국토의 70%가 산으로 이루어진 우리나라에서는 산신 신앙이 강하다. 우리 민족은 산을 의지하고 경외하며 살아왔다. 과거에는 산에서 사냥을 하고 목축을 하였으며, 열매를 채취하고 약초를 캐고 밭을 일구어 작물을 재배하였다. 또 목재와 땔감을 얻었고, 사람이 죽으면 묘지를 썼으며, 집과 촌락...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고구려·백제·신라가 정립했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백제의 영역에 있던 구리 지역은 고구려의 남진 정책으로 5세기 후반 이후 고구려의 군사적 영향력 아래 들어갔다가, 551년 백제와 신라의 동맹으로 고구려를 몰아내면서 백제의 영역으로 돌아왔다. 그러나 2년 후 신라의 영역으로 편입되었다. 신라의 삼국 통일 이후에 구리 지역은 황양현(荒壤縣)...
-
경기도 구리시를 포함한 조선 전체가 일본의 식민지 지배에 저항하여 1919년 3월에 행한 항일 독립 만세 운동. 경기도 구리 지역의 3·1운동으로는 1919년 3월 13일 구리면 평내리 구장 이승익 주도의 만세 시위, 3월 14일 구리면 평내리 주민 150여 명의 행진, 3월 28일 구리면 아천리 이강덕과 심정봉 주도의 만세 시위가 있었다. 1919년 3월 중...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상품의 판매와 관련된 산업. 구리시의 상업[도매 및 소매업]은 2013년 기준으로 3,633개소에 12,060명이 종사하고 있다. 이는 전체 사업체에서 28.7%, 전체 종사자에서 21.8%를 차지하여 사업체 수와 종사자 수 기준으로 가장 비중이 높은 산업이다. 사업체당 종사자 수를 보면, 구리시 전체 평균이 4.4명인데, 도...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돌을 이용하여 칼과 도끼 따위의 도구를 만들어 쓰던 시대의 역사와 문화. 석기시대는 석기의 제작 방법에 따라 뗀석기[타제 석기]의 구석기와 간석기[마제 석기]의 신석기로 나누어진다. 구석기시대는 최초의 고인류가 나타난 시기부터 약 1만 년 전까지의 시기이며, 신석기시대는 대략 기원전 8000년에서 기원전 6000년 경에 시작되었다고 본다. 한반도의...
-
경기도 석공예 장인 중 석구조물 제작 기능과 그 기능을 보유한 사람. 석장(石匠)은 전통 도구를 이용해 돌을 가공하는 공예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하며, 중요 무형 문화재[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 혹은 시·도 지정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석장은 다시 각종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제작하는 '석장[석구조물]' 분야와 돌을 조각해 불상(佛像)·...
-
국가 무형문화재 제120호 석장 중 석조각 기능과 그 기능을 보유한 사람. 석장(石匠)은 전통 도구를 이용해 돌을 가공하는 공예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하며, 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중요 무형 문화재] 혹은 시·도 지정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석장은 다시 각종 건물을 구성하는 구조물을 제작하는 '석장(석구조물)' 분야와 돌을 조각해 불상(佛...
-
경기도 구리시에서 선거권을 가진 지역 주민이 투표를 통해 공직자를 선출하는 행위. 선거란 집단 또는 단체의 특정한 지위에 취임할 사람을 그 집단이나 단체의 구성원 중 일정한 자격을 갖춘 자가 정해진 방법에 따라 자유의사 표시를 통해 선출하는 행위를 말한다. 선거는 다양한 집단이나 단체 내에서 이루어지지만 일반적으로 정치 행위를 하는 선거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주요 공...
-
경기도 구리시에서 일정한 구조를 가진 꾸며 낸 이야기 형태로 전승되는 장르. 설화는 일정한 서사 구조를 이루고 있는 꾸며 낸 이야기로 사실을 떠나 전승되고 있다. 구비 설화는 입으로 전승되고, 문헌 설화는 문자로 전승되고 있다. 설화의 내용은 산문성을 띄고 있다. 즉, 이야기는 구조를 가지고 꾸며졌기 때문에 길게 설명되는 산문성을 띈다. 설화는 이야기를 구연할 때 청중의...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매년 반복적으로 행해지는 세시의 풍속. 세시풍속은 세시(歲時)·세사(歲事)·월령(月令)·시령(時令)이라고도 한다. 또한 농경 문화를 반영하고 있어 농경 의례라고도 한다. 명절, 24절후(節侯) 등이 포함되어 있고, 이에 따른 의례와 놀이 등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다. 농경을 주 생업으로 하던 전통 사회에서는 놀이도 오락성이 주를 이루는 것이 아니라...
-
경기도 구리시에서 예부터 민간에 전하여 오는 삶의 지혜가 드러나는 짧은 문장. 속담은 길이가 짧으면서도 의미가 심장하며 사용이 간편하고 교훈적인 성격이 농후한 내용을 담고 있다. 전언, 직어, 속어, 속언, 속론이라고도 하는데, 격언과 유사하면서도 차이가 있다. 속담은 발언자를 알 수 없는 데 반하여 격언은 발언자를 알 수 있다. 속담은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사용할...
-
경기도 구리시에서 전해져 오는 신앙 형태의 문장. 속신어는 속담이나 격언과 비숫하게 짧은 문구로 되어 있다. 일반적으로 '~하면, ~한다'와 같이 조건절과 결과절이 인과 논리 속에 결합되어 있다. 속신어는 주로 조건절과 결과절로 이루어져 있다. 즉 '~하면'[조건절] 그 결과가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이 된다'는 문장으로 연결된다. 이런 속신어의 유형은 여러 가지 방식...
-
경기도 구리시의 수돗물 생산 및 저장, 공급 시설 구리시의 주요 수도시설은 2017년 2월 현재 정수장 1개소, 취수장 1개소, 배수지 6개소가 있다. 구리시의 환경 관리 및 개선 전담 조직인 구리시 환경 관리 사업소의 수도과에서 운영, 관리하고 있다. 구리시에는 2002년 4월 준공된 토평 정수장이 있다. 구리시 토평동에 위치하며 토평 취수장에서 원수를 공급받아 정수장의 각 공정...
-
경기도 구리시에서 어떤 사물에 대해 빗대어 묻고 알아맞히는 언어 표현 놀이. 수수께끼는 구비 문학의 한 형태로, 주로 은유를 사용해 대상을 정의하는 언어 표현이다. 수수께끼는 기억이 용이하고, 전달과 보급이 쉽다. 또 개인 창작의 것이 아니고 심리적 및 기능적 필요에서 생겨난 인간적 언술(言述)의 근원 형태라고 할 수 있다. 수수께끼의 방언으로는 수수꺼끼·쉬시께끼·수수적...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펼쳐지는 개인 문제와 사회 문제를 총제로 파악하고 해결하려는 시민의 사상과 행동. 경기도 구리시는 행정 구역상 수도권에 속하며, 서울특별시 중랑구 및 광진구와 경계를 나누고 있다. 이러한 위치 조건은 사회·시민운동의 전개가 활발히 이루어지는 주요한 요소로 작용한다. 특히 최근 들어 1천만 인구의 거대 도시 서울의 넘쳐나는 인구가 교통의 발...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전통 악기를 만드는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 악기장(樂器匠)은 가야금과 거문고를 비롯한 각종 한국의 전통 악기를 만드는 공예 기술 및 그 기술을 보유한 사람을 의미하며, 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중요 무형 문화재] 혹은 시·도 지정 무형 문화재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다. 국가 지정 무형 문화재로서의 악기장은 1971년 2월 24일 중요 무형...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동구릉을 포함한 역대 왕들의 능[묘]. 한반도에는 일찍이 선사 시대부터 사람의 삶의 발자취인 생활 유적과 함께 죽음을 애도하는 의미에서 무덤이 생겼다. 이러한 관습은 부족 사회에서 계급 사회로 변화하는 과정에서 경건하고 엄숙한 축조 규칙을 갖게 되었고, 계급에 따른 다양한 규모의 무덤들이 나타나기 시작하였다. 더구나 시대에 따라 특정한 종...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학령기 전 어린이 교육 담당 기관. 유치원은 재정 형태에 따라 공립 유치원과 사립 유치원으로 나눌 수 있다. 공립 유치원은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형태가 많으며 사립은 개인이나 법인, 종교 단체 등 설립 주체에 따라 나뉜다. 1995년 당시 경기도 구리시의 유치원 중 공립 유치원은 모두 초등학교[당시 국민학교]에 부속된 유치원이며, 사립 유치원은 모두...
-
1950년에 북한 인민군이 불법으로 남침하여 경기도 구리 지역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에서 치러진 전쟁. 1950년 6월 25일 북한 인민군의 불법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은 유엔군의 참전과 1951년 중공군의 참전으로 국제전으로 확대되었다. 1953년 7월 정전 협정을 체결함으로써 휴전하였지만, 남북한 모두에게 막대한 인적·물적 손실을 끼쳤으며, 아직도 전쟁 재발의 위험은 남아 있다....
-
경기도 구리시에서 소리를 바탕으로 이루어지는 예술 활동. 음악은 소리의 고저·장단·강약 등의 특성을 소재로 한 예술로 시간 예술이라고도 한다. 특히 서양 음악을 기초로 한 경우, 음악의 세 요소로 선율[멜로디], 장단[리듬], 화성[하모니] 등이 언급되는데, 이 중에서 선율과 장단 두 가지는 음악의 가장 기본적인 바탕이 된다고 할 수 있다. 구리시 관내의 음악 활동은 연...
-
경기도 구리시에 거주하는 주민의 수 또는 집단. 인구는 국민·인종·민족 등의 개념과 다르며 일정한 지역 내에 있는 주민 전부를 포괄하는 말로서, 그 지역에 사는 외국인이나 이민족도 포함된다. 반대로 그 나라 국민이라고 해도 그 지역에 있지 않으면 포함되지 않는다. 인구는 일차적으로 생물적 존재로서 성별·연령별 등의 특성에 따라 여러 가지 구성을 달리하고, 또 사회적 존재...
-
한반도가 일제에 강제 점령되었던 1910년부터 1945년까지 경기도 구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 1910년부터 1945년까지 한반도를 강제 점령한 일제는 한민족 말살 정책과 식민지 수탈 정책을 바탕으로 조선을 통치하였으며, 이에 대해 한민족은 3·1독립만세운동, 민립대학설립운동, 만주무장항쟁 등으로 대항하였다. 이 시기 구리 지역은 1914년 면리제 시행에 따라 구리면(九...
-
경기도 구리시에서 발생한 이상 자연 현상으로 인하여 발생하는 인적·물적 피해. 한반도의 중부 지방에서 한강 변에 자리한 구리시는 여름철에 집중 호우가 내림에 따라 한강이나 왕숙천이 범람하는 재해를 입기도 하였으나, 근래 들어서는 인공 제방이 조성되고 재해 예방 시스템이 구축되어 큰 재해는 발생하지 않았다. 구리시에서의 자연 재해 가운데 가장 잘 알려진 것은 1...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저수지는 흐르는 물을 저장하여 물의 양을 조절하는 인공 시설로서 하천에서 충분한 용수를 확보하기 곤란할 때에 용수원으로 이용된다. 흐르는 물보다 물의 온도가 높기 때문에 농업용수로 사용하기 좋은 조건을 가진다. 저수지는 발전을 하거나 주민들의 상수원을 공급하는 용도로도 사용될 수 있지만, 구리시의 저수지는 모두가 농업용수 공급을 위...
-
경기도 구리시에서 절기에 따라 먹는 특별 음식. 절식(節食)은 우리 나라의 세시 풍속과 직접 연결되는 식생활 풍습의 하나이다. 자연환경과 농업을 위주로 하는 생업의 특성을 바탕으로 지역에 따라 형성된다. 불교 및 유교의 규범 아래 조상 숭배의 사조와 기복(祈福)·기풍(祈豊)·면액(免厄)의 관념 등이 서로 연결되고 복합되면서 절식에 대해 함께 공감할 수 있다. 절식은 명절...
-
경기도 구리시의 산업 중 각종 원료를 가공하여 물품을 대량으로 만드는 업종. 구리시에는 2014년 현재 총 640개의 제조업체가 있으며, 3,454명의 종사자가 근무하고 있다. 이는 구리시의 전체 사업체 12,677개 중 5.05%에 해당하며, 종사자 수 기준으로는 구리시 총사업체 종사자 55,294명의 6.2%에 해당한다. 구리시 제조업체의 평균 종사자 수는...
-
1392년부터 1910년까지 조선 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경기도 구리 지역의 역사와 문화. 고려 말 현 구리 지역이 속한 양주(楊州)는 풍수지리상 길지(吉地)로 인식되었고 조선의 건국과 함께 한양이 도읍지가 되면서 경기도의 중앙으로서 역할이 커졌다. 조선의 지방 제도는 전국을 8도로 나누고 8도 아래에 부·대도호부·목·군·현의 행정 구역을 두었으며, 이 중 경기도는 4...
-
경기도 구리시에서 지역 주민을 위해 운영하는 문화 복지 편익 시설. 행정 자치부는 지방 행정 3단계 구조 중 읍·면·동사무소의 기능을 전환하기 위해 1999년 2월 동 기능 전환 계획 및 2000년 3월 동 기능 전환 확대 시행 지침을 시행하게 되었다. 주민자치센터는 지역의 문화를 바꾸고 주민들이 행복하게 살아갈 수 있는 마을을 만들며, 주민들 스스로 지역 문...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중등 보통 교육 기관. 교육 과정에서 중학교는 고등학교와 함께 중등 교육 과정의 하나이다. 「초·중등 교육법」 제41조에 따르면, “중학교는 초등학교에서 받은 교육의 기초 위에 중등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라고 규정하고 있다. 중학교의 수업 연한은 3년이며, 초등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법령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아동·청소년 복지 시설. 지역아동센터는 구리시 지역 사회 내 저소득층 아동의 보호, 교육, 건전한 놀이와 오락의 제공, 보호자와 지역 사회의 연계 등 아동의 건전한 육성을 위하여 설립되었다. 저소득층 수급권자, 차상위 계층이나 조손(祖孫) 가정, 한 부모 가정을 대상으로 민간 차원에서 진행되던 공부방을 2004년 보건 복지부에서 법제화하여 ‘지역아동...
-
경기도 구리시의 지각을 이루는 물질인 토양이나 암석의 성질 또는 상태. 구리시 전 지역은 지체 구조상 경기 육괴에 속하는 선캠브리아기의 변성암 복합체로 구성되어 있다. 육괴란 땅의 덩어리를 가리키며, 경기 육괴는 한반도의 중간 부분 전체를 덮고 있다. 국지적으로 시대 미상의 반상 화강암과 중생대 쥐라기에 관입한 대보 화강암[서울 화강암] 저반이 노출되어 산지를...
-
경기도 구리시의 역들을 정차하여 운행하는 수도권 전철. 경기도 구리시에는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리역과 수도권 전철 경춘선 갈매역이 있다. 구리시에 지하철 노선이 들어오게 된 것은 2005년 수도권 전철 경의·중앙선 구리역의 개통 이후이다. 구리역 개통 이전까지는 도로 교통만을 이용하여 구리시 외부와 연결되었다. 구리역과 갈매역을 통하여 서울특별시 및 인근...
-
경기도 구리시에서 나타나는 땅의 생긴 모양과 지세. 지형의 특징은 지표의 들쭉날쭉한 정도인 기복에 의해 결정된다. 지형은 인간이 접하는 자연환경의 일부로서 인간 생활과의 관계가 매우 밀접하다. 구리시는 산줄기가 뻗어 있는 서쪽과 북쪽이 높고 동쪽과 남쪽은 저평한 평지로 이루어져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서고동저, 북고남저의 형태를 보인다. 구리시에서 산지를 형성하...
-
경기도 구리 지역에서 사람들이 청동(靑銅)으로 만든 도구를 주로 사용하며 생활하던 시대. 청동기시대는 인간의 출현부터 현재까지의 기간을 문자 사용 여부를 기준으로 구분할 때 문자를 사용하지 않았던 선사(先史) 시대에 포함되는 시기로, 구리에 주석·비소·아연 등을 섞어 만든 청동을 재료로 각종 도구를 제작·사용하기 시작한 때부터 철로 만든 도구[철기(鐵器)]를 제작하기 시...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초등 보통 교육 기관. 「초중등 교육법」 제38조에 따르면 초등학교는 국민 생활에 필요한 기초적인 초등 교육을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초등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이며, 모든 국민은 그 보호하는 자녀가 만 6세가 되는 다음날 이후의 최초 학년 초부터 만 12세가 되는 날이 속하는 학년 말까지 자녀를 초등학교에 취학시킬 의무가 있다. 그러나 초등학교...
-
경기도 구리시에서 개최되는 문화 예술 행사. 21세기의 가장 큰 국력은 문화 예술의 힘이라는 생각으로 구리시에서는 역점 시책으로 문화 예술 진흥을 위한 기반 시설 확충을 비롯한 다양하고 질 높은 기획 행사를 개최하고 있다. 1990년대에는 문화 예술 단체들이 행사를 주관했던 데 반해 지방 자치제 실시 이후 구리시에서 주최하는 축제가 정기적인 행사로 자리 잡게 되었다. 구...
-
경기도 구리시의 지표를 구성하는 암석이 풍화되거나 분해되어 만들어진 흙. 토양은 토양 생성 작용을 받지 않은 풍화 산물을 의미하는 모재(母材)로부터 발달하는 것으로, 특히 농업 자원 측면에서 중요하다. 토양은 일반적으로 색깔과 물질 구성이 서로 다른 몇 개의 토층으로 이루어진다. 암석이 제자리에서 풍화되어 만들어진 정적토와 풍화 산물이 운반·퇴적되어 형성된 충적토로 나뉘...
-
경기도 구리시에서 해발 고도가 낮고 기복이 거의 없는 평탄한 들판. 평야는 들판 또는 벌판으로 불리기도 하고, 평원으로 불리기도 한다. 평야는 생성 원인에 따라 하천의 퇴적 작용에 의해 만들어진 퇴적 평야 또는 충적 평야가 있고, 하천의 침식 작용에 의해 지표면이 낮아지면서 만들어진 침식 평야가 있다. 구리시는 주변에 산지가 거의 없을 뿐만 아니라 구리시가 대하천의 하류...
-
경기도 구리시에서 지표수가 모여 일정한 물길을 유지하면서 흐르는 물줄기. 물이 흐르는 일정한 물길을 하도(河道)라 하고, 하천의 유량이나 규모는 유역의 분수계에 모이는 물에 의해 결정된다. 우리나라에서는 물줄기가 큰 것을 강(江), 작은 것을 천(川)으로 부르지만 요즈음에는 혼용하는 경우도 있다. 일반적으로는 물이 흐르는 하도만을 가리켜 하천이라 부른다. 구리시에는 하천...
-
경기도 구리시에 있는 영리를 목적으로 운영되는 상업적 교육 기관. 국가가 인정하는 제도권 내의 교육 활동이 아닌 제도권 밖에서 이루어지는 영리 목적의 상업적 교육 기관을 대부분 '학원'이라 칭한다. 일반 사설 학원에서는 초등·중등·고등학생들은 물론 일반 시민들도 수강 대상이 되며, 시기별로 관심을 끄는 내용은 학원의 강좌 대상이 된다. 전국에 산재해 있는 학원은 일반 학...
-
경기도 구리 시민들이 살아가는 지역의 자연적, 인문적 조건, 기후 등을 둘러싼 물리적 조건. 환경의 사전적 정의는 사람이나 동식물의 생존에 커다란 영향을 미치는 눈ㆍ비ㆍ바람 등의 기후적 조건이나 산ㆍ강ㆍ바다ㆍ공기ㆍ햇빛ㆍ흙 등의 자연적 조건을 말한다. 한편으로는 사람이 생활하는 주위의 상태나 생활하기 위해 만든 물리적 조건을 의미한다. 우리는 환경을 떠나서 잠시도 살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