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31035
한자 公州東佛寺木造釋迦如來坐像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유물/불상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포교당길 17[반죽동 98-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19년 1월 30일연표보기 -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현 소장처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 - 충청남도 공주시 포교당길 17[반죽동 98-2]지도보기
성격 불상
재질 나무
크기(높이) 76.5㎝
소유자 동불사
관리자 동불사
문화재 지정 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반죽동 동불사 대웅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목조 불상.

[개설]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公州東佛寺木造釋迦如來坐像)은 동불사 불교회관 2층에 설치된 법당에 모셔져 있다. 법당 상단에 석가 삼존상과 천불상, 하단에 목조 석가여래 좌상과 목조 지장보살 좌상을 봉안하였는데, 이 가운데 목조 석가여래 좌상은 전형적인 조선 후기 불상 양식을 따르고 있다.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2019년 1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42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재지정되었다.

[특징]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전체 높이가 76.5㎝로 크지 않다. 얼굴은 달걀형으로 둥글고 목에는 삼도가 새겨져 있다. 반개한 눈은 옆으로 길게 표현되었고 콧대가 높으며 인중의 좌우가 넓다. 입꼬리는 약간 올라가서 지긋한 미소를 띤 인상이다. 나발(螺髮)과 육계(肉髻)는 구분이 모호할 정도로 육계 표현이 약하며, 옆으로 긴 반달 모양의 중앙 계주(中央髻珠)와 원통 모양의 정상 계주(頂上髻珠)가 있다. 대의(大衣)는 오른쪽 어깨를 덮은 변형 편단우견(偏袒右肩)을 하고 있으며 수인은 항마촉지인(降魔觸地印)으로 왼손은 엄지와 중지를 맞대어 손바닥이 위를 향하였고 오른손은 손가락 끝이 땅 아래를 향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 동불사 목조석가여래좌상은 조선 후기 불상 양식을 잘 보여 주고 있다. 비록 불상의 전래나 원 소장처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충청남도 지역에서 조선 후기 목조 석가여래 좌상이 흔치 않다는 점에서 불교 미술사 연구에 귀한 자료로 가치가 높다. 신체 비례와 이목구비의 인상, 대의의 표현 등을 고려하여 1640년(인조 18)부터 1660년(현종 1)까지 활동한 조각승 승일(勝一)이나 그 계보의 조각승이 제작한 불상과 유사성이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