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608
한자 崔益恒旌閭
영어의미역 Monument to the Filial Piety of Choe Ikhang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운궁리 89-11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순영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정려
양식 익공 계통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1817년연표보기
정면칸수 1칸
측면칸수 1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운궁리 89-11 지도보기
소유자 이상익
관리자 이상익
문화재 지정번호 공주시 유형문화유산
문화재 지정일 1997년 6월 5일연표보기
문화재 지정일 2024년 5월 17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운궁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효자 최익항의 정려.

[개설]

 최익항(崔益恒)의 자는 원구(元久)이다. 1684년(숙종 10) 최준(崔浚)[1656~1722]과 진주정씨 사이에서 장남으로 태어났다. 어려서는 성품이 매우 착하고 효심이 지극하여 주위에서 칭송을 받았다고 한다. 어느 해, 부친이 병환 중에 배[혹은 감]가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한겨울이라서 산속을 헤매도 도저히 구할 수가 없었다. 그런데 꿈에 산신령이 나타나 과일이 있는 곳을 알려 주었으며, 다행히 그것을 가져다가 부친에게 드리니 곧 병이 나았다고 한다. 또한 최익항은 부모를 위하여 마곡사 부근에서 약초를 캐다가 그만 길을 잃고 말았는데 어디에서 호랑이가 나타나 그를 곤경에서 구해 주고 자신의 등에 태워서 집에 데려다주었다는 이야기도 전한다.

[위치]

공주에서 천안 방향의 국도 23호선에서 약 20.76㎞ 거리에 정안 교차로가 있다. 여기에서 왼쪽 방향으로 직진하여 표지판을 따라가면 운궁리가 나온다. 최익항 정려는 마을 동쪽 끝에 있다.

[변천]

최익항의 효행이 널리 알려지면서 1817년(순조 17) 호조정랑에 증직되었고, 명정을 받아 그해에 정려를 건립하였다. 중수기에 따르면 1905년(고종 42)과 1979년 두 차례에 걸쳐 중수가 이루어졌고, 1995년에는 최익항의 8세손인 최경규(崔敬奎)에 의해 중수가 이루어졌다고 한다.

『순조실록』 1817년 3월 14일 기사를 통해 “공주의 최익항과 그 아들 최도관, 최적관, 최원관, 최운관 5부자가 모두 효행이 뛰어나니 최익항은 정려하고 도관과 적관은 증직하며, 원관, 운관은 복호하기를 청하니 왕이 이에 따랐다”는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효행등제등록(孝行等第謄錄)』에도 최도관과 최적관 형제가 세금과 잡역을 면제받았다는 사실이 기록되어 있으며 『조선환여승람(朝鮮寰輿勝覽)』에도 두 형제가 효행으로 쌀을 하사받았다는 내용이 확인된다. 『 『여지도서(輿地圖書)』, 『충청도읍지』, 『호서읍지』에도 최익항의 명정과 도관, 적관의 증직 사실이 기록되어 있다.

[형태]

최익항 정려는 정면 1칸, 측면 각 1칸으로, 익공 계통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방형의 초석 위에 둥근 기둥을 세웠으며, 사면은 홍살로 처리하였다. 정려 내부에는 1817년에 명정받은 효자 최익항의 정려임을 알려주는 ‘효자증통덕랑호조정랑최익항지려숭정기원후사정축삼월일명정(孝子贈通德郞戶曹正郞崔益恒之閭崇禎紀元後四丁丑三月日命旌)’이라고 쓰인 명정 현판이 걸려 있다.

최익항의 명정 현판 뒤쪽에는 ‘효자절충장군용양위부호군최식지려(孝子折衝將軍龍驤衛副護軍崔湜之閭)’라고 쓰여 있고, 오른쪽 기둥에는 1995년 8월 최익항의 8세손인 최경규(崔敬奎)가 최익항 정려를 중수한 사실을 기록한 편액이 걸려 있다.

[현황]

최익항 정려 둘레를 쇠창살로 막아 외부인의 출입이 불가능하다. 최익항 정려는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2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유형문화유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