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85
한자 盧璛旌閭
영어의미역 Memorial Monument for No Suk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동곡리 115-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고순영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정려
양식 겹처마 초익공 양식의 팔작지붕
건립시기/일시 1869년연표보기
정면칸수 1칸
측면칸수 1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동곡리 115-4 지도보기
소유자 노씨 종중
관리자 노씨 종중
문화재 지정번호 공주시 유형문화유산
문화재 지정일 1997년 6월 5일연표보기
문화재 지정일 2024년 5월 17일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우성면 동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충신 노숙의 정려.

[위치]

공주에서 천안으로 가는 국도 23호선을 따라 2㎞ 정도 가다가 목천 교차로에서 좌회전을 해서 길을 따라 3㎞ 정도 더 가면 우성면 동곡리가 나온다. 동곡교를 건너면 오른쪽에 동곡리 조왕골이 있는데, 노숙정려는 이 마을 가운데에 있다.

[변천]

노숙(盧璛)[1587~1655]은 만경노씨로, 자는 문백(文伯), 호는 관류당(觀流堂)이다. 임진왜란 때 금산 전투에서 순절한 노응환(盧應晥)[1555~1592]의 넷째 아들이며, 중봉 조헌의 문인이다. 1624년(인조 2) 인조가 이괄의 난이 발발하자 공산성 쌍수정에 파천하였는데, 이때 노숙이 군량미 300석을 상납하여 임금과 군사가 굶주리지 않게 하였다. 인조가 포상하고자 소원을 물었으나, 노숙은 벼슬하기보다는 공자를 모시고 싶다고 하였다. 또 노숙이 백성들의 세금을 면제할 것을 요청하였다고 하니, 인조가 ‘그대는 진실로 농민을 기쁘게 하는 사람이다[汝眞歡農人也]’라며 크게 감명받았다고 한다. 이후 인조노숙에게 오위도총부 부총관을 제수하며, 금배와 옥저를 하사하였고, 그가 살던 마을도 조왕동(助王洞)이라 이름을 내리는 등 노숙의 충절을 높이 평가하였다.

노숙정려는 19세기에 조성되었다. 1864년(고종 1) 충청도 감사가 노숙의 사적을 조정에 보고하였는데, 5년 뒤 1869년(고종 6)에 명정을 받아 정려를 세우게 되었다. 정려의 정면 오른쪽에는 1925년에 만들어진 노숙 신도비가 있는데, 비를 다시 세우면서 노숙가 있는데, 비를 다시 세우면서 노숙의 묘소 앞에 매안하였다. 노숙 신도비송시열의 8세손인 홍문관 제학 송근수(宋近洙)가 지었고, 병조판서 민치상(閔致庠)이 썼으며, 좌부승지 조병세(趙秉世)가 전(篆)하였다. 1976년에 정려의 보수와 단청이 행해졌다.

[형태]

노숙정려는 정면 1칸, 측면 1칸의 겹처마로 초익공 양식에 팔작지붕이다. 정려 내부에는 ‘충신정헌대부지중추부사겸오위도총부도총관노숙지려(忠臣正憲大夫知中樞府事兼五衛都摠府都摠管盧璛之閭)’라는 명정 현판이 걸려 있다. 명정은 1869년에 받은 것이다. 정려 내부에는 현판이 걸려 있는데, 왼쪽에 2개, 오른쪽에 1개 있다.

[현황]

노숙정려의 내부에 걸려 있는 명정 현판은 심하게 파손되어 있으며, 교지는 충청남도 도정실에서 보관하고 있다. 노숙정려는 1997년 6월 5일 공주시 향토문화유적 제24호로 지정되었다가 2024년 5월 17일 조례에 따라 공주시 유형문화유산으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충청남도 도정실에서 보관하고 있는 교지와 소지는 공주와 충청도 지역 유생들의 활동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들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