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헌공윤전사우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564
한자 忠憲公尹烇祠宇
영어의미역 Shrine of Yun Jeon
분야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양달길 47[유평리 333-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정현정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6년 11월 19일연표보기 - 충헌공윤전사우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83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충헌공윤전사우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충헌공윤전사우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사우
양식 겹처마 맞배지붕
건립시기/일시 1807년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3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양달길 47[유평리 333-2]지도보기
소유자 파평윤씨 종중
관리자 윤석권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조선 후기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유평리에 세운 충헌공 윤전의 사우.

[위치]

공주시 계룡면소재지인 유평리계룡초등학교를 지나 논산 쪽으로 가는 도로를 따라 50m쯤 가면 영규대사의 묘소로 가는 입구가 나온다. 충헌공 윤전 사우는 그 길을 따라 300여m 정도 들어가면 유평리 중앙에 있다.

[변천]

윤전(尹烇)은 파평윤씨의 논산 입향조인 윤돈(尹暾)[1551~1612]의 손자이자 임진왜란 당시 의병 활동을 하다가 진중에서 죽은 윤창세(尹昌世)[1543~1593]의 아들이다. 논산 노성(魯城) 지역을 중심으로 세거한 파평윤씨 노종 5방파 5형제 중 셋째이다. 우계 성혼(成渾)의 문하에서 수학한 후 1610년(광해군2) 식년문과 을과에 급제해 승문원에서 관직 생활을 시작했다. 폐모소(廢母疏)에 반대하였으나 인조가 즉위한 후 가자 후 다시 벼슬에 제수되었다.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에는 인조를 공주까지 호종하였고 정묘호란 때에는 김장생의 종사관으로 활약했다. 이후 병자호란 중 강화도에서 피살되어 1657년(효종8) 추증되고 1702년(숙종28) 이조판서로 증직되며 충헌이라는 시호를 받았다. 강화의 충렬사(忠烈祠), 연산의 구산서원(龜山書院) 등에 제향되었다.

충헌공 윤전 사우는 인조 때 세자시강원 필선을 지낸 충헌공 윤전을 제향하기 위하여 1807년(순조 7) 부조묘 형식으로 노성면 병사리에 건립되었다, 『순조실록(純祖實錄)』 1807년 3월 25일의 기록에 따르면 병자호란 당시 순절한 이들의 부조를 허락해야 한다는 중론에 따라 사우가 건립되었다고 전해지고 있다. 초기 건립 지역은 부여군 초촌 지역이었는데 1920년대 초반 윤전의 처 해평윤씨와 아들 윤원거의 묘가 있는 계룡면 유평리에 사당과 종가를 새로 마련하고 옮겨 왔다.

[형태]

사당은 정면 3칸, 측면 3칸이며, 건평이 19.8㎡인 비교적 작은 규모이다. 앞면에는 일각문이 있고, 주변에는 담장이 설치되어 있으며, 기단을 자연석으로 쌓은 다음 삼문과 담장을 설치하였다. 지붕은 둥근기둥, 겹처마 맞배지붕 양식으로 지붕 양 측면에 풍판을 달았다.

[현황]

충헌공 윤전 사우는 1986년 11월 19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283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아직도 마을에 후손들이 살며 관리, 보존하고 있다.

[참고문헌]
[수정이력]
콘텐츠 수정이력
수정일 제목 내용
2012.10.09 오류 수정 오 : ... 1807년(순조 7) 부조묘 형식으로 부여 지역에 건립되었다, 정 : ... 1807년(순조 7) 부조묘 형식으로 노성면 병사리에 건립되었다,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공주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내용 수정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2.10.09
박** 본문 [변천] 2행에 '1807년(순조 7) 부조묘 형식으로 부여 지역에 건립되었다'라고 기록, 그러나 안내판에는 '원래 논산군 노성면 병사리에 있던 사당' 즉 옮겨오기 전의 장소가 어데인지요? 확인요망 2012.10.08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