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1701538 |
---|---|
한자 | 公州東院里石塔 |
영어의미역 | Stone Pagoda in Dongwon-ri, Gongju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탑과 부도 |
지역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380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이왕기,박성신 |
문화재 지정 일시 | 1976년 1월 8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공주동원리석탑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4년 5월 17일 - 공주동원리석탑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 |
성격 | 석탑 |
양식 | 삼층석탑 |
건립시기/연도 | 고려시대 |
재질 | 석재 |
높이 | 370㎝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 380
![]() |
소유자 | 공주시 |
관리자 | 공주시 |
문화재 지정번호 |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 |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신풍면 동원리에 있는 고려시대의 삼층석탑.
[건립경위]
공주동원리석탑은 동원리의 절터와 관련이 있을 것으로 보이나, 절의 이름이나 연혁을 포함하여 탑의 건립 경위가 알려지지 않고 있다.
[형태]
전체 높이는 370㎝이다. 2층의 기단부와 3층의 탑신으로 구성되어 있었으나 3층 탑신과 지붕돌[옥개석], 상륜부는 상실되고 없다. 기단은 2중 기단이고 기단 아래는 6매의 장대석으로 지대석을 만들었다. 하층 기단은 장대석을 한 단으로 돌려 쌓고, 그 위에 갑석을 올려두었다.
상층 기단은 판석을 세워 만들었는데, 모서리에 우주를, 중심에 탱주를 양각으로 새겨 놓았다. 1층 탑신은 1매의 화강석에 모서리에는 우주를 새겨 두었다. 지붕돌에는 4단의 층급을 돌려 몸체와 맞물리게 만들었다. 3층 탑신과 지붕돌은 현재 남아 있지 않다.
[현황]
공주동원리석탑은 폐사된 절터에 남아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으로, 고려시대 불탑의 조형성을 잘 보여 주고 있다. 1962년 해체·복원 과정에서 곱돌로 만든 소탑(小塔)과 동물 모양의 돌 등이 발견되어 현재 국립공주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다. 1976년 1월 8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49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에서 충청남도 유형문화유산으로 변경되었다.
[의의와 평가]
공주동원리석탑은 기단석이 큰 반면 탑신은 기단석에 비해 폭이 급격하게 줄어 조형성이 떨어진다. 전형적인 고려시대 탑의 이형적인 모습을 보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