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62
한자 公州靈隱寺阿彌陀後佛幀畵
영어의미역 Amitabha Buddha Platform Painting of Yong′unsa Temple, Gongju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공산성길 59-22[금성동 11-3]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창균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1년 6월 30일연표보기 - 공주영은사아미타후불탱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6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영은사아미타후불탱화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영은사아미타후불탱화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후불화
제작시기/일시 1888년연표보기
제작지역 공주
작가 약효
소장처 영은사
소장처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공산성길 59-22[금성동 11-3]지도보기
소유자 영은사
관리자 영은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금성동 영은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후불탱화.

[개설]

공주영은사아미타후불탱화는 19세기 후반 충청도 지역을 중심으로 큰 활약상을 보였던 승려 약효가 1888년에 제자 상옥과 함께 조성하였으며, 영은사 원통전의 관음보살상 후불 그림으로 있다. 2001년 6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76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형태 및 구성]

법당 후불벽에 걸 수 있도록 만든 패널 형식이다.

[특징]

둥근 형태의 머리 광배와 몸 광배를 갖추었고, 수미단 위에 앉아 있는 중앙의 아미타불을 중심으로 4대 보살[좌우로 문수와 보현, 관음과 지장]과 사천왕, 가섭과 아난 등의 10대 제자, 동자 등 권속들을 좌우 대칭되게 빙 둘러 배치하였다. 색채는 적색과 녹색, 청색이 주를 이루고 있으나, 특히 19세기에 많이 쓰였던 코발트 계통의 청색을 많이 사용하지 않아 비교적 안정되고 조화롭게 보인다.

[의의와 평가]

공주영은사아미타후불탱화는 비록 19세기 후반에 조성되어 시기가 다소 뒤지기는 하나 청색 사용의 절제로 색채가 비교적 안정되어 있고, 인물의 표현에 있어 아래턱이 크게 둥글어지는 등 승려 약효의 화풍이 잘 드러나고 있다는 데 의의가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