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1437
한자 甲寺表忠院
영어의미역 Pyochungwon Shrine of Gapsa Templ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건물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중장리 52]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승윤박성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84년 5월 17일연표보기 - 갑사표충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갑사표충원 충청남도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갑사표충원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사당
건립시기/일시 1738년(영조 14)연표보기
정면칸수 3칸
측면칸수 2칸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갑사로 567-3[중장리 52]지도보기
소유자 갑사
관리자 갑사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계룡면 중장리 갑사에 있는 조선 후기의 사당.

[개설]

임진왜란 때 왜적과 맞서 싸운 승병장 청허당서산대화상(淸虛堂西山大和尙) 휴정(休靜)과 사명당대선사(四溟堂大禪師) 유정(惟政), 봉진위장군기허당대선사(封振威將軍騎虛堂大禪師) 영규(靈圭)의 영정을 봉안하고 있는 사당이다. 갑사표충원에 봉안된 영규는 공주 출신으로, 계룡산 갑사에서 출가를 하였고, 뒤에 서산대사 휴정의 제자가 되었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 수백 명을 모아 왜적이 점령하고 있던 청주성을 공격하여 수복하고, 1592년(선조 25) 8월 금산성 전투에서 중봉 조헌과 함께 왜적에 대항하다 전사하였다.

1971년에 간행된 『공주승람』에는 갑사표충원의 창건이 1783년(정조 7) 강시영(姜時永)의 주도로 이루어졌으며, 영규대사계룡산 갑사에서 출가하고 불도를 닦은 인연으로 갑사표충원을 창건한 것이라 한다. 또한 함께 모신 서산대사 휴정은 영규의 스승이며, 사명당 유정은 휴정에게 같이 배운 동학(同學)으로서 임진왜란 때 공적을 인정하여 함께 모셨다고 한다.

[형태]

건물의 규모는 정면 3칸, 측면 2칸이고, 겹처마 맞배지붕이다. 갑사표충원의 앞마당에는 영규대사 기적비가 세워져 있다.

[현황]

갑사표충원은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52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갑사에서 관리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