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664
한자 公州李惟泰遺墟址
영어의미역 Remain of Yi Yutae in Gongju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골길 54-7[상왕동 339-4]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춘진
집필자 박범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4년 10월 30일연표보기 - 공주이유태유허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0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공주이유태유허지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 삭제
문화재 지정 일시 2024년 5월 17일 - 공주이유태유허지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
성격 생활유적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조선 후기
지정면적 4,588㎡
소재지 주소 충청남도 공주시 중동골길 54-7[상왕동 339-4]지도보기
소유자 초려이유태선생기념사업회
관리자 초려이유태선생기념사업회
문화재 지정번호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상왕동에 있는 조선 후기 문인 이유태가 여생을 보낸 장소.

[개설]

공주이유태유허지초려 이유태(李惟泰)가 말년에 후학을 가르치고 독서로 여생을 보냈던 곳이다. 이유태는 현종·숙종 대의 문인으로 특히 현종 때 학덕이 높은 유학자로 크게 활약하였다. 1675년(숙종 1) 복상 문제로 제2차 예송(禮訟)이 일어나자 남인의 배척을 받아 영변에 유배되었다. 유배 이후 중동골에서 거주하면서 후학을 가르치고 독서로 여생을 보냈다. 사후에 이조판서에 추증되었다. 현재는 이곳에 고택과 이유태를 제향한 용문서원이 있다.

[변천]

이유태가 말년에 중동골에서 거주하면서 강학을 하던 곳이 중동서재(中洞書齋)와 용문서재(龍門書齋)이다. 중동서재는 이유태가 거주하던 집이 있던 곳이고, 용문서재는 주로 이유태의 문하생들이 거주하면서 공부했던 곳이다.

용문서재는 후손인 호은(湖隱) 이재원(李在元)이 용문서사라고 이름을 고치고, 잠시 이유태를 제향하기도 하였으나, 관의 허락 없이 사사로이 선현의 제사를 지내는 것은 의리에 맞지 않는다고 하여 중단하였다. 그런데 후손들이 공주에 이유태를 제향하는 서원이 없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용문서재가 있던 자리에 용문서원을 세우기로 유림들과 합의하고, 각 향교 및 서원에 통문을 돌려 1986년 마침내 용문서원을 건립하였다. 1988년에는 서원 내에 유물관을 신축하여 관련 문서들을 전시하였다. 이후 2003년 ‘이초려유물전’을 계기로 공주대학교 박물관[현 국립공주대학교 역사박물관]에서 각종 관련 유물을 소장하고 있다.

용문서원은 사우와 동재·서재, 강당 겸 유물관, 장서각으로 이루어져 있다. 장서각은 정면 3칸, 측면 2칸, 유물관인 징원당(徵遠堂)은 정면 4칸, 측면 2칸으로 구성되어 있다. 징원당 위쪽으로 강학 공간인 존성재(存省齋)와 중화당(中和堂)이 있다. 삼문을 지나면 정면 3칸, 측면 2칸의 맞배지붕 형식을 갖춘 사우가 등장한다. 사우는 존성재와 중화당보다 한 단 위의 대지에 원형의 초석을 놓고 둥근 기둥을 세워 건립하였다. 사우의 정면에는 ‘명덕사(明德祠)’라고 쓰인 현판이 걸려 있다. 주변을 담장으로 둘러 강학 장소와 구분하였다.

[위치]

공주시외버스터미널에서 공주대교를 건너 대전 방면으로 난 국도 32호선(일명 대전 구 도로)를 따라 가다가 3㎞ 지점에 이르면 오른편으로 상왕동 입구에 왕가식당이 보인다. 입구에서 마을 안으로 50m정도 들어가면 중동골과 상왕촌의 갈림길에서 중동골로 들어가 배나무밭을 지나면 마을이 나온다. 바로 오른쪽으로 고택과 용문서원, 전통문화교육관이 있다.

[현황]

공주이유태유허지는 2004년 10월 30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390호로 지정되었다가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고시 제2021-141호 「문화재 지정[등록]번호 삭제 및 문화재명 표기 방식 변경 고시」에 따라 문화재 지정번호가 삭제되었다. 2024년 5월 17일 국가유산청의 「국가유산기본법」 시행에 따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에서 충청남도 문화유산자료로 변경되었다. 고택과 용문서원, 전통문화교육원이 있으며, 초려이유태기념사업회에서 관리하고 있다. 전통문화교육관은 2006년 10월 17일 상량식을 했으며, 2008년 1월에 1기를 시작으로 학생들에게 한문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공주이유태유허지초려 이유태의 흔적을 볼 수 있는 중요한 자료로, 현재 전통문화교육관에서 선현의 유지를 따라 한문교육을 하고 있어 그 의의가 크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