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고성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1700211
한자 高聖里
영어음역 Goseo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고성리지도보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최원회박윤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법정리|행정리
면적 4.1㎢
총인구(남, 여) 185명(남 97명, 여 88명)[2024년 9월 30일 기준]
가구수 91가구[2024년 9월 30일 기준]

[정의]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에 속하는 법정리.

[명칭유래]

높은 지대에 성인(聖人)이 많다는 뜻에서 고성(高聖)이라 하였다.

[형성 및 변천]

조선 말기 공주군 정안면(正安面) 지역으로, 1914년 정안면 고재동(高才洞)·기동(基洞)·도곡(陶谷)·정산리(鄭山里)·운곡(雲谷)의 일부가 통합되어 고성리로 개편되었다. 1995년 공주군이 공주시와 통합되면서 공주시 정안면 고성리가 되었다.

[자연환경]

고성리의 서부와 북부로는 해발 고도 300~500m와 300여m의 산지가 있고, 북서부로는 갈미봉[515.2m]이 높이 솟아 있다. 동부와 남부로는 해발 고도 100~200m의 저지대가 형성되어 있고, 중부에도 정안천의 지류에 의해 해발 고도 100여m에 충적 평야가 있다. 이외에도 동남부에는 비교적 규모가 큰 고성저수지(정안지)가 축조되어 있다.

[현황]

고성리정안면의 중서부에 자리하고 있다. 면적은 4.1㎢이며, 2024년 9월 30일 기준 총 91가구, 185명[남 97명, 여 88명]의 주민이 살고 있다. 정안천 연변의 평야는 벼농사 지대이며, 산기슭은 밭농사 지대이다. 하천 지류 연변의 평야 지대에는 화랑터·고제골·안터·텃골·안수골 등의 자연 마을이 들어서 있다. 그 외에도 질울은 질그릇을 굽던 마을이자 광주안씨의 세거지이다. 또한 고성저수지 아래에도 마을이 있는데 이곳의 경우 뚝방에는 할미꽃 군락지, 호반에는 벚꽃이 무성하여 ‘꽃내미 풀꽃이랑 마을’로 부른다. 2020년에는 꽃내미 풀꽃이랑 마을에서 공주시 농촌관광마을 운영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시도 33번이 남북 방향으로 뻗어 남쪽으로는 쌍달리에, 북쪽으로는 월산리에 연결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