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문화유적에 관한 자료를 모은 책. 『김제문화유적분포지도』는 김제 지역 지정·비지정 문화재에 관한 문화유적분포지도로, 2007년 김제시와 원광대학교 마한백제문화연구소에서 공동 발행하였다. 『김제문화유적분포지도』는 단행본 1권으로 총 508쪽 분량으로 구성되어 있다. 『김제문화유적분포지도』는 김제시의 행정지도 및 고지도, 발간사, 조사 개요, 김제시의 자연환경과...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강덕순의 정려. 강덕순(康德淳)의 본관은 신천(信川), 자는 문경(文京)이다. 문헌공 강원기(康元紀)의 후손으로 강권묵(康權黙)의 아들이다. 강덕순은 천성이 인후하고 부모 섬기기를 지극한 효로써 하였다. 아버지가 병이 들자 하늘에 대신 아프기를 축원하였고, 또 어머니 보살핌에 정성을 다하였다. 특히 평소에 부모 말씀에 순종하였으며,...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강이문의 정려. 강이문(姜以文)의 본관은 진주(晉州)이고,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의 후손이다. 3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자 매일 한스러움이 떠나지 않았고, 기일에는 통곡하며 음식을 전혀 먹지 않았다. 모친이 억지로 음식을 먹여 그를 기른 후 매일 새벽에 닭이 울면 묘를 살핀 지 40년이 되었다. 어머니가 병이 나자 어머니...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강인준의 정려. 강인준(姜仁俊)은 본관이 진주(晉州), 자는 중예(仲乂)이고, 은열공 강민첨(姜民瞻)의 후손이다. 한성판윤 강우문(姜遇文)의 증손으로 무과에 합격하였으며, 성품이 순박하고 모든 일을 매우 조심스럽게 하였다. 강인준은 어버이를 섬기되 오로지 효도로 봉양하였고, 병으로 몸져누워 있는 아버지에게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
고려시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고려시대 초기는 실상 호족 시대의 후반기로 이때는 아직 왕권의 통치가 지방에까지 미치지 못하였다. 고려 왕조는 1018(현종 9)에 비로소 항구적인 지방 통치 제도를 마련하게 된다. 이전에도 여러 제도가 시도되었지만, 특히 이때에 와서 모든 고을의 이름이 다시 중국식 한자명으로 고쳐진 것이다. 그 기준은 757년(경덕...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전통시대와 현대에 지어진 건축물. 건축이란 집이나 성, 다리 따위의 구조물을 그 목적에 따라 설계하여 흙·나무·돌·벽돌·쇠 따위를 써서 세우거나 쌓아 만드는 일이다. 김제시의 건축 유구(遺構)는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도작문화(稻作文化)의 특징에 걸맞게 삼국시대 축조된 수리 시설부터 그 연원이 거슬러 올라간다. 대표적인 유적이 벽골제이다. 이후 금산사가 창건되면서...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내광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열녀 경주김씨의 정려. 열녀 경주김씨는 정수열의 처로서 시부모를 극진히 공양했으며, 병환이 위급함에 처하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했다. 또한 남편이 병환으로 임종하니 상례에 따라 장의 절차를 법도 있게 치렀다. 이에 고을 선비들이 효열부로 천거하여 1869년(고종 6) 12월에 명정되었다. 봉남면사무소에서 원평 쪽으로 100m...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화봉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부 경주이씨의 정려. 김제지(金濟智)의 처인 경주이씨는 천성이 어질어 늙으신 시부모를 극진히 공양하였고, 시부모가 병환으로 자리에 눕게 되자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여 여러 달 목숨을 잇게 하였다. 또 남편 김제지의 임종 때도 역시 단지(斷指) 수혈하여 피를 마시게 하니 여러 날 깨어나 있었다. 이와 같은 사실이 많은 사람들에 회자되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삼한시대에서 통일신라시대에 이르는 역사.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관해 비교적 확실한 기록으로 남아 있는 것은 『삼국사기(三國史記)』의 벽골제 축조에 관한 기사로,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330년(흘해왕 21) 년의 일이다. 그러나 이 시기 김제 지역은 백제의 영토였으므로, 벽골제 축조는 330년 백제 비류왕 27년에 축조된 것으로 보아야 한다. 한편 『...
-
918년에서 1392년까지 고려 왕조가 지속되었던 시기의 김제 지역 역사. 고려 전기는 실상 호족 시대의 후반기로, 왕조의 통치에 많은 한계가 있었다. 고려는 1018년(현종 9)에 이르러서야 비로소 항구적인 지방통치 제도를 마련할 수 있었다. 그 이전에도 여러 제도가 시도되기는 하였지만, 이때 와서 모든 고을의 이름이 중국식 한자명으로 다시 바뀌었다. 바뀐 기준은 757년에 신라...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에 있는 고려시대 숫돌 제작소 터. 전통시대 백성들이 국가에 세금을 내는 방식은 크게 세 가지, 즉 토지를 경작하면 내는 전세(田稅)와 몸으로 감당해야 하는 역역(力役), 그리고 지역의 특산물을 바쳐야 하는 공납(貢納)으로 이루어졌다. 공려(貢礪)란 바로 국가에서 지역에 부과하였던 숫돌을 공납하는 것이며, 고사리 전 공려 터는 고려시대에 공납품이었던 숫...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 구암서원에 있는 열녀 고흥유씨의 정려. 고흥유씨(高興柳氏)는 천성이 온후하고 정숙하며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여 글을 좋아하고, 『소학(小學)』과 『열녀전(列女傳)』을 우리글로 번역하여 널리 읽히니 가까운 사람들의 칭찬이 자자하였다. 고흥유씨가 우주황씨(紆州黃氏) 황하정과 결혼한 지 불과 3일 만에 남편이 원인도 모르게 세상을 떠났는데, 이에 부인 고...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에 있는 백제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에 있는 효자 공협신의 정려. 공협신(孔協臣)의 자는 찬경(贊京)이고 호는 죽포(竹圃)이다. 아버지는 공규영이고, 어촌(漁村) 공부(孔府)의 후손이다. 공협신은 성품이 슬기롭고 품행이 단정하며 어버이를 섬기는 정성이 또한 지극하여, 이를 후세에 귀감으로 삼고자 1927년 공협신 정려가 세워졌다.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 534번지로, 양석마을에서 양석냉천으...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효자 곽효각의 정려. 곽효각(郭孝恪)은 곽채규의 아들로 태어났는데, 아버지 곽채규가 오래도록 아들이 없다가 느지막하게 얻은 아들이다. 곽효각은 이름에도 ‘효(孝)’자가 들어갔듯이 하늘이 내린 효자로서, 지극 정성으로 부모에 대한 효를 실천궁행하여 만경현(萬頃縣)의 유림들에게 훌륭한 귀감이 되었다. 곽효각 정려는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곽효현의 정려. 곽효현(郭孝炫)은 아버지 곽채규로부터 이어 온 효자로서 부친에 대한 효행은 물론 이웃 및 집안 간에도 서로 우애하도록 이끌어 화목하게 지냈으며, 남다른 성품으로 남의 일을 내 일처럼 돌보아 주었다. 또한 불의를 보면 참지 못하고 의롭게 살펴 부친의 뒤를 이은 기품으로 효와 의를 다하여 많은 사람들의 칭찬을 받았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오봉리에 있는 대한불교 관음종 소속 사찰. 속칭 각시골이라 불리는 관응사(觀應寺) 절터에는 예로부터 내려오는 전설이 있는데 “첩첩산중으로 한 각시가 들어가매 이를 기이하게 여긴 마을 사람들이 뒤를 따라가 보니 현재의 절터에서 사라져 이곳에 절을 짓게 되었다.”고 전한다. 또 이곳의 관음보살에게 치성을 드리면 소원을 이룰 수 있다고 전하며 이 관응사 터를 각시...
-
1923년 동진농업주식회사가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 지역에서 3년간 축조하여 농토를 조성한 간척 사업. 전라북도 김제시 광활면은 김제시 중심지에서 약 15㎞ 거리에 위치한 거북이 형상을 한 지역이다. 동쪽의 김제시 성덕면, 북쪽의 김제시 진봉면과 경계를 이루면서 남서쪽으로는 동진강으로 비롯되는 서해와 인접한 간척지로서 경사가 거의 없는 평야지대이다. 또한 지방도 702호선이 만경과...
-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의 성산에 있는 삼국시대 산성 터. 성산(城山)은 높이 42m의 남북으로 긴 독립된 산인데, 산 정상에 지형을 따라 타원형으로 토성이 세워져 있다. 성곽의 총 둘레는 559m로, 원래는 토루가 형성되어 있었으나 현재는 유실 또는 파괴된 곳도 있다. 성산성은 김제의 주성으로 백제 때 축조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성산성의 성곽은 원래 토성과 석성의 이중성으로 되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용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터. 구성서원(九城書院)은 1700년(숙종 26) 윤순거(尹舜擧)[1596~1668]와 윤증(尹拯)[1629~1714]을 모신 서원으로, 1868년(고종 5)에 헐어버렸는데 다시 세우지 못해 묘처럼 봉분한 단과 비(碑)만 남아 있었다. 단은 하나이고 비는 ‘동토윤선생(童土尹先生)’과 ‘문성공명재윤선생(文成公明齋尹先生)’이라 새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구월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옹기가마터. 마을 사람들에 의하면 옹기가마는 약 10여 년쯤 전에 사라졌다고 한다. 옹기가마가 있던 곳으로 추정되는 곳을 중심으로 그 일대에서 가마터가 발견되었으며, 주변에서 상당한 양의 옹기편들이 수습되었다. 언제 만들어졌는지 자세하게는 알 수 없으나 옹기편의 조성 수법으로 보아 일제강점기에 들어와서 만들어진 옹기가마로 추정된다....
-
백제시대부터 757년까지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백제 초기에는 지방 통치가 지역 부족 수장들의 자치적 기능에 맡겨져 왔다. 고이왕 이후에 5부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그들이 점차 중앙 귀족화되면서 부에 편입되었고, 지방 통치가 이들을 통한 간접적인 지배 형태가 되어 구지지산현(仇知只山縣)으로 개칭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의하면 삼국시대에는 구지지산...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 귀신사(歸信寺)는 676년(문무왕 16)에 의상대사가 세운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백제 법왕 때 왕실의 내원사로 처음 세워졌다는 주장도 있다. 창건 당시의 명칭은 국신사(國信寺)였다고 한다. 그 후 통일신라 말기 도윤(道允)이 중창한 뒤 귀신사로 개칭하였다. 고려시대에는 원명국사[1090~1141...
-
1597년 정유재란 때 원신과 김언공이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 지역에서 왜군을 궤멸시킨 전투. 일본은 명과의 강화가 결렬되자 1597년(선조 30) 1~2월에 14만5천 명의 병력을 동원하여 재차 조선을 침략하였다. 금구대첩(金溝大捷)의 목적은 직산전투에서 패퇴한 왜군이 정읍을 향하여 남주할 것을 예상하여 전라도의 조방장(助防將)인 원신과 김언공(金彦恭)의 군사로 기습 공격을 하여...
-
757년부터 1895년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에 설치된 행정구역. 신라가 백제를 병합한 후 백제 영토는 685년(신문왕 5)까지 신라식 4주 3소경 및 다수 군·현으로 재편되었다. 그와 함께 각 고을의 이름도 당나라가 중국식으로 고쳤던 주·현의 이름이 복구되었지만, 상당수가 점차 신라화하였다. 신라는 757년(경덕왕 16)에 당의 방식을 따라 주·군·현 간의 영속 체계를 강화하...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 사찰. 금복사(金福寺)는 1930년대에 창건되었으나 창건자가 누구인지 정확히 전하지 않는다. 1986년에 부임한 도선이 대웅전 등을 증축하였다.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의 말사이다. 정면 3칸, 측면 3칸의 대웅전을 비롯하여 마당에는 육층석탑과 미륵불상, 공덕비가 세워져 있다. 최근에는 금복사 불상 및 복장유물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삼국시대 성터. 금산리 금산사 성은 삼국시대에 금산사를 보호하기 위하여 절 입구에 쌓은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1920년대 말까지만 해도 아치형의 석조물인 성문 주변에 남북 방향으로 성벽이 남아 있었으나 지금은 없어지고 성문만이 남아 있다. 성문의 북쪽으로는 개천이 흐르고 있고 개천을 건너 편평한 평지가 형성되어 있는데, 이 일대에 축대를 쌓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배제골 도요지는 고려 후기에 해당하는 14세기 말 청자 가마로 유명하였으며, 15세기에는 분청 가마로, 19세기에는 백자 가마로 잘 알려진 곳이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에도 김제 금산면에서 자기가 생산되었음을 보여주는 기사가 실려 있다. 그러나 근대 이후 대규모 사과밭이 조성됨에 따라 도요지 일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심원암골 도요지에서는 고려시대인 11~14세기에는 청자를 구웠으며, 조선시대에 들어와서 15~16세기에는 분청사기와 백자를 주로 구웠다고 한다. 심원암(深源庵)과 청룡사(靑龍寺)로 갈라지는 갈림길에서 심원암 방향으로 약 50m 지점에 있는 밭이 가마가 있던 곳이다. 1996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라북도 지역의...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안양마을 도요지에서는 고려 후기인 14세기에는 주로 청자를 구웠으며, 조선시대로 들어와 15~16세기에는 분청사기, 18~19세기에는 백자를 구웠다고 한다.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안양마을 한가운데 넓게 조성된 배밭이 예전에 가마가 있던 곳이다. 1996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라북도 지역의 조선시대 분청사기·백...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가마터. 금산리 안양마을 북방골 도요지에서는 15세기에 주로 분청사기를 구웠다고 하나, 청련암(靑蓮庵)을 신축하면서 주변 지형이 완전히 변형되어 가마의 흔적은 확인할 수 없다. 다만 밭에서 지금도 자기편과 초벌구이편이 발견되어 이곳에서 예전에 가마가 운영되었음을 짐작케 한다.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청련암에서 안양마을으로 약 20m 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안양마을 신원양지 도요지에서는 고려 후기인 14세기에는 주로 청자를 구웠으며, 조선 전기에는 분청사기를 구웠고, 그 뒤 18~19세기에 이르기까지 백자를 생산하였다고 한다.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안양마을에서 청련암(靑蓮庵) 쪽으로 약 300m 지점에 있는 사과밭 일대가 금산리 안양마을 신원양지 도요지로 추정되...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안양마을 청련암골 도요지는 고려 후기인 14세기경 가마가 설치되어 주로 청자를 구웠으며, 조선 전기인 15세기에는 분청사기를 생산하였고, 이후 조선 후기까지 백자를 생산하였다.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안양마을에서 산속으로 약 600m 지점에 청련암(靑蓮庵)이 있는데, 금산리 안양마을 청련암골 도요지는 청련암 바...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용방동 도요지는 고려 후기에 설치되어 청자를 생산한 곳으로, 15~16세기 이후에는 주로 분청사기와 백자를 구웠다고 알려져 있다. 금산리 용방동 도요지는 금산사(金山寺) 주차장에서 남쪽으로 약 500m 떨어진 용방골이라고 불리는 골짜기 산기슭에 위치하고 있다. 1996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라북도 지역의 조선...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함평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가마터. 금산리 용화동 도요지에서 출토되고 있는 분청자기와 백자편, 도지미 등으로 미루어 볼 때, 조선 전기부터 이 지역에서는 자기가 생산되었음을 알 수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철탑이 세워지기 전에는 그 아래쪽으로 가마굴이 있었다고 한다. 금산리 용화동 도요지가 있는 곳은 금산리 함평마을의 서쪽 해발 150m 야산의 북동...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金山寺)는 전라북도의 최대 사찰로 여러 가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으며 그 창건에 관해서도 많은 설화가 전해지고 있지만 『금산사지』를 근거로 백제 법왕 때 창건한 사찰로 추정하고 있다. 또한 오랜 세월을 지내온 동안 수많은 고승을 배출하면서 불교계의 지도적 역할을 담당해 온 유서 깊은 사찰이다. 금산사는...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에 있는 고려시대 원구 터. 금산사는 오랜 세월 법등이 이어져오면서 많은 전각이 새로 들어서고 중수가 이루어지기도 했지만 지금은 남아 있지 않고 이름만 전하는 전각이 허다하다. 1598년(선조 31)에 기록된 내용을 보면 가람의 전각은 다 옮겨 적기 어려울 만큼 많았다. 기록을 살펴보면 크게 대사구(大寺區)·봉천원구(奉天院區)·광교원구(廣敎院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전. 대적광전(大寂光殿)은 원래 법신불인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보신불(報身佛)인 아미타불과, 화신불(化身佛)인 석가모니불, 즉 삼신불(三身佛)을 봉안함으로써 연화장세계(蓮華藏世界)를 상징한다. 이 금산사 대적광전(金山寺大寂光殿)에도 비로자나불을 중심으로 좌측에 아마타여래와 석가모니불을, 우측에 노사나불과 약사여래를 모셨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 대적광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시대 불화. 금산사 대적광전 오불회도는 금산사에 봉안된 다섯 폭의 조선시대 불화로 정확한 제작 시기나 제작자는 알려져 있지 않다. 다만 이 다섯 폭 가운데 「노사나불화(廬舍那佛畵)」는 1987년 12월 대적광전에 화재가 일어나 소실되어 그 뒤 승려 석정(石鼎)이 새롭게 그려서 봉안하였다. 금산사 대적광전 오불회도는...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 명부전에 봉안되어 있는 조선 후기 불화. 화기(畵記)에 의하면, 금산사 명부전 시왕도는 풍곡당(豊谷堂) 덕린(德麟), 해운당(海雲堂) 익찬(益贊), 월허당(月虛堂) 준언(俊彦), 반월당(槃月堂) 해선(海詵) 등의 승려들이 편수가 되어 1861년(철종 12) 전라남도 영암군 월출산에 있는 도갑사(道岬寺)에서 20명의 화원과 함께 그린 다음 이곳...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서도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금선정사(金仙精舍)는 조선 중기 청련암이란 암자가 있던 사적지에 1955년 진운(眞韻) 최순록(崔順錄) 화상이 금선사(金仙寺)란 이름으로 창건했다. 현재는 금선정사(金仙精舍)란 명칭으로 변경되었다. 원래는 삼성각과 요사만 있던 암자였는데, 1973년 승려 진관이 입적한 후 상좌인 설명수와 성천이 1989년 대웅전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성리에 있는 백제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대석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부 천안전씨의 정려. 김득천의 처인 천안전씨는 임진왜란 때 충신으로 이름을 떨친 전덕인의 증손녀이다. 천안전씨는 시집온 후 충신의 후예답게 예의범절이 훌륭할 뿐만 아니라 마음이 어질어 시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느 날 시아버지가 갑자기 병으로 몸져눕게 되었는데, 오리국이 먹고 싶다고 하였으나 오리를 구할 수가 없었다. 천안...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김운상의 정려. 김운상(金雲祥)은 효자로 널리 이름이 알려져 1891년(고종 28)에 동몽교관에 증직되고 정려기를 받았다. 김운상 정려는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 718-6번지 재넘어마을 옆에 영천재라는 김해김씨(金海金氏) 재각 앞에 있다. 금구면 시내버스 정류장에서 원평 쪽으로 구길을 따라가면, 서도리 물레방아간을 거쳐 혜봉사(慧...
-
수리조합은 토지나 가옥 소유자가 모여 농지에 대한 관개용 저수지와 제방 따위의 축조·관리 및 수해 예방 사업을 목적으로 조직한 법인체이다. 1925년에 설립된 동진수리조합은 당시 우리나라 최대의 수리조합으로, 김제 진봉 일대 광활한 땅에 대대적인 간척 사업을 실시하여 오늘날 광활면 일대를 조성하였다. 일제강점기에 수리조합은 근대식 농사법으로 개선한다는 본래 의도와는 다르게 일제의...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에 있는 금복사의 불상과 복장유물. 금산사(金山寺)의 말사인 금복사(金福寺)에서 조성된 지 300여 년 된 불상과 그 불상의 복장에 있는 유물이 공개되어 일반에 알려지게 되었다. 복장 유물은 사리와 사리함, 국한문 혼용의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 등이다. 복장유물은 사리 2과와 사리를 보관하고 있는 사리함, 국한문 혼용의 『묘법연화경』 4권 등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에 있는 고려 전기 석종형 사리탑과 금강계단. 금산사는 모악산 남쪽에 자리 잡고 있으며, 전라북도 내 최대의 사찰로서 여러 가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후백제의 견훤이 창건하였다고 하는 전설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진표율사(眞表律師)가 12세 때 이곳에서 출가하였다고 전하고 있어서 그 이전부터 존재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당간지주. 당간은 절에 중요한 행사나 법회가 있을 때 깃발을 달거나 사찰의 괘불탱화를 걸어두는 장대를 말하며, 당간지주는 당간을 지탱하기 위하여 좌우에 세운 기둥이다. 당간지주를 보면 그 주변이 사찰이 있는 신성한 지역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돌로 만드는 것이 보통이지만 철, 금동, 나무로도 만들었다. 2개의 기둥을 60~...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금산사의 불전. 금산사(金山寺)는 전라북도 내 최대의 사찰로서 여러 가지 문화재를 보유하고 있다. 후백제의 견훤(甄萱)[867~935]이 창건하였다고 하는 전설이 있으며, 『삼국유사(三國遺事)』에 의하면 진표(眞表)가 12살 때 금산사에서 출가하였다고 전하고 있어서 그 이전부터 존재하였음을 알 수 있다. 금산사는 창건 당시에는 소규...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 심원암에 있는 고려 시대 삼층석탑. 『금산사사적(金山寺事蹟)』에 따르면, 금산사는 600년대 창건되었는데, 599년(백제 법왕 즉위년)에 칙령으로 살생을 금하고 그 이듬해에 이 절을 창건하여 38인의 승려를 득도시킨 것으로 기록되어 있다. 금산사 심원암은 1635년(인조 13) 수문선사(守文禪師)가 창설했는데 지금의 암자는 근래에 건립한 것이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 대적광전 앞에 있는 고려 전기 석탑. 금산사는 임진왜란 이전 거대한 사역(寺域)에 대사(大寺)·봉천원(奉天院)·광교원(廣敎院)의 3곳으로 나뉘어 있었다. 총 86채의 당우가 임진왜란의 참화로 없어진 뒤 40년 만에 대사 지역의 건물만 재건되었고, 나머지 사지(寺址)는 절의 동북쪽 넓은 지역에 유지만 전해지고 있다. 김제 금산사 육각다층석탑은 금...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금산사에 있는 고려 전기 혜덕왕사의 탑비. 혜덕왕사(慧德王師)[1038~1096]는 고려 전기의 승려로, 속성은 이(李)고 이름은 소현(韶顯)이다. 11세 때 해안사(海安寺)의 지광국사(智光國師) 제자로 들어갔고, 1061년(문종 15) 경기도 개성의 송악산에 있는 왕륜사(王輪寺)에서 치러진 승과에서 합격하였다. 1079년(문종 33) 금산사의 주지로...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증산교 성지. 김제 증산법종교 본부 영대와 삼청전은 김제 증산법종교 본부로 증산도 교주 강일순(姜一淳) 부부의 무덤을 봉안하면서 형성된 성지를 유지 관리하기 위해 세운 건물이다. 1949년 증산도 교주 부부의 무덤을 봉안하면서 삼청전을 지었으며, 1952년 2층 목조 묘각인 영대를 건립하였다.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에서 금산사로 들어가는 입구를...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청룡사에 있는 조선 후기 관음보살좌상. 청룡사는 금산사에서 심원암으로 가는 도중 부도전에 이르기 전 오른쪽으로 자리한 절로서 창건 연대는 분명하지 않으며, 금산사의 부속 암자였을 것으로 추정된다. 1079년(문종 33)에 금산사 주지로 부임한 혜덕왕사가 금산사를 중창할 당시 모악산 내에 40여 암가를 세웠는데, 이때 청룡사의 전신인 용장사를 창건하였다...
-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 김제동헌 내에 있는 조선 후기 정자. 피금각(披襟閣)은 김제동헌(金堤東軒)의 부속 건물로, ‘옷깃을 풀고 허심탄회하게 마음을 나눈다’라는 뜻을 담고 있다. 재판이나 행정을 기다리는 사람들이 옷을 걸어 놓을 수 있는 장소나 대기처의 용도로 사용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김제동헌 내 서쪽에 세워져 있다. 피금각의 건축 연대는 문헌이 없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호남우도농악의 한 지류로 분포되어 있는 농악. 김제우도농악은 일찍부터 각 마을에서 대동굿으로 오랫동안 전승되어 오다가 김도삼, 나도숙, 현판쇠, 백남윤 등에 의하여 좀 더 전문적인 예인 집단 형태로 발전한 농악이다. 이를 ‘김제농악’이라고도 부르며, 현재는 정읍농악과 밀접한 관계 속에서 전승 발전되고 있다. 김제우도농악의 특징은 농악대의 구성에 있어서 쇠와 장...
-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조선 전기 향교. 향교의 설립 목적은 성현에 대한 향사와 유생들에게 유학을 가르침에 있으며 아울러 지방 문화 향상 및 사기 진작 등 사회교육적 기능도 지니고 있다. 태조는 지방 재정에 의해 설치된 지방 향교의 흥패(興敗)를 수령들의 치적 평가 척도로 삼는 적극적인 정책을 취함으로써 향교 보급에 중점을 두었다. 이후 향교는 조선 중엽까지 성황을 이루었으나...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조선 전기 효자 김춘의 정려. 김춘(金春)의 본관은 안동이다. 김춘의 이름은 원래 참죽나무 ‘춘(椿)’자인데, 태조 이성계의 조부 이름이 이춘(李椿)이라 어휘(御諱)에 저촉된다 해서 비석을 세울 때는 봄 ‘춘(春)’자로 새겨 넣었다. 5세 때 모친상을 당했고 9세 때 부친상을 당했다. 모친상 때는 너무 어려서 상주 노릇을 못 했다. 부친상 때는...
-
전라북도 김제시 신월동에 있는 효자 나봉휘의 정려. 나봉휘(羅鳳徽)의 본관은 나주(羅州)이다. 나봉휘는 평소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병으로 몸져누워 죽을 지경에 이르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마시게 하는 효행으로 섬겼다. 1876년(고종 13) 정려(旌閭)를 받았다. 김제시 교동월촌동주민센터에서 동쪽으로 난 길을 따라 1.6㎞ 가면 월랑사거리가 나온다. 이곳에서 오른쪽...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 있는 조선시대 건물 터. 나시리 건물 터는 김제 금강2지구 내의 문화유적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발굴 조사된 유적으로서, 조선시대 건물 터 유적에 해당된다. 유적은 전체적으로 그리 넓은 편은 아니며, 6기의 도랑과 주공군(柱孔群), 건물지 퇴적층이 조사되었다. 건물이 조성되고 난 후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건물 터가 폐기되는 과정까지를 보여주는 유적이다...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에 있는 조선시대 나주나씨 종중 묘역.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에 있는 나주나씨 종중 묘역에는 의금부지사(義禁府知事)를 지낸 나득강(羅得康)의 묘를 중심으로 제단과 신도비, 문인석 등이 널따랗게 배치되어 있다. 익산~김제 간 산업도로에서 김제시 검산동으로 가다 보면 서흥교차로가 나오는데, 흥사동 나주나씨 종중 묘역은 이곳의 왼쪽 구릉 사면에 위치하고 있다. 흥사...
-
전라북도 김제시 옥산동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나한명의 정려. 나한명(羅漢明)의 본관은 나주(羅州), 자는 군탁(君倬)이다. 나한명은 성품이 온화하고 재주와 행실을 고루 갖추었으며 학문이 깊었다. 어려서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모든 예를 갖추어 장례를 치르고, 후에 계모의 상을 맞아서도 똑같이 지극 정성을 보였다. 아버지가 몸져눕자 변을 맛보고 입으로 고름을 빨아냈으며, 손가락을 베어...
-
전라북도 김제시 난봉동에 있는 백제시대 성터. 난산성(卵山城)은 난봉동에 있는 해발 121m의 황산(凰山)을 중심으로 하여 백제가 쌓은 원형의 석성(石城)으로 그 둘레가 2㎞에 달하였다고 한다. 김제의 주성인 성산성(城山)의 성을 보호하는 호익역(護翼域)이 월성(月城)과 난산성인데, 월성은 거의 사라져 마을이 되었고 현재는 난산성 터만 남아 있다. 도리봉성 터로도 불린다. 난봉동...
-
전라북도 김제시 난봉동에 있는 일제강점기 옹기가마터. 난봉동 옹기요지가 언제 생겼는지는 알 수 없지만 대략 일제강점기부터 옹기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마을 사람들에 의하면, 약 15년 전만 하더라도 옹기가마가 존재했고 옹기도 만들었다고 한다. 난봉동 옹기요지는 김제시 난봉동 황산평야의 서남쪽 끝자락 해발 7m의 평지에 자리 잡고 있다. 주변으로는 너른 황산평야가 펼쳐져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석동리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난와사(蘭瓦寺)는 백제 때 건립하여 1천여 년을 내려오다가 조선 후기에 없어졌다고 하는데, 그 때 절에는 비구 2명과 비구니 1명이 있었다고 한다. 난와사 터는 성덕면 면소재지인 석동리 성덕초등학교 교문에서 동남쪽으로 100m 정도 떨어진 산기슭에 자리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은 지금도 난와사 터 주변에 있는...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서원. 남산서원(南山書院)에서는 병자호란 당시 척화파였던 유지화(柳志和)[1599~1680]를 중심으로 동강 남궁제(南宮濟)를 제향하고 있다. 유지화는 1633년(인조 11) 효행으로 천거되어 창릉참봉(昌陵參奉)에 제수되었으며, 선공감봉사(繕工監奉事)·상의원주부(尙衣院主簿) 등을 역임하였다. 1636년 근친하는 일로 귀향하였다가, 병...
-
백제시대부터 757년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설치된 행정구역. 내리아(乃利阿)에서 ‘내리(乃利)’는 ‘곧다’라는 뜻이고, ‘아(阿)’는 읍이나 성을 말한다. 즉 곧은 성이라는 뜻이다. 바다의 조수가 이곳까지 밀려올 때 바다로 나갈 수 있었다는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백제 초기에는 지방 통치가 지역 부족 수장들의 자치적 기능에 맡겨져 왔다. 고이왕 이후에 5부 체제...
-
전라북도 김제시 양전동에 있는 조선시대 효부 달성서씨의 열녀비. 오병운의 처 달성서씨는 가난한 살림에도 시부모를 극진히 봉양하고 병으로 누워 있는 남편을 정성껏 간호하였다. 자기의 손가락을 잘라 지혈을 먹여 3일째 되던 날 남편의 병을 낫게 하였다. 이를 후세에 길이 전하기 위해 1938년 5월 열녀비를 세우고 정려각을 건립하였다. 봉황동사무소에서 양전동으로 가는 길을 따라 3㎞쯤...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봉월리에 있는 개항기 달성서씨 효자비. 1883년(고종 20) 정려되어 효자비를 세웠다. 김제시 황산면사무소에서 황산면 봉월리 두월마을로 향하여 가면 두월마을에 달성서씨 재각이 있으며, 그 안에 효자비가 자리하고 있다. 바로 옆에는 부령김씨 열녀비(扶寧金氏烈女碑)가 있다. 달성서씨 효자비는 갓석과 지대석을 갖추고 있다. 2기의 비석 전면에는각각 ‘효자증참의...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대화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옹기가마터. 금구면 대화리에서 옹기가마가 사라진 시기는 정확하게 알려지지 않았지만, 적어도 1950년 이전에 사라진 것으로 보고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옹기가마 근처에 살던 사람들이 보릿고개 시절 근방에 흩어져 있던 옹기를 내다 팔아 생계를 이어나갔다고 한다. 옹기가마가 있던 자리라고 전해지는 곳은 금구면 대화리 금천마을 뒤편...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에 있는 조선시대 동래정씨 종중 묘역. 월현리 동래정씨 종중 묘역은 김제시 청하면 월현리 상대마을 남쪽 일대에 조성되어 있다. 이조판서를 지낸 정극선(鄭克善) 부부의 묘가 묘역의 중심부에 비교적 크게 자리 잡고 있고, 사방으로 동래정씨 종중 사람들의 묘가 자리하고 있다. 정극선 부부의 묘 앞에는 140㎝ 정도 높이의 문인석이 좌우로 세워져 있다. 문인석...
-
전라북도 김제시 신월동에 있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시대 동복오씨 종중 묘역. 신월동 동복오씨 종중 묘역에는 고려 후기 문신인 오천(吳蕆) 등 3기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으며, 문인석이 한 쌍씩 세워져 있다. 『고려사(高麗史)』 오잠(吳潛)의 전기에 따르면, 오천은 승지를 지낸 오잠과 오연(吳演), 정랑 오형(吳珩), 소윤 오련(吳連)과 형제간이었으며, 아버지는 찬성사를 지낸 오선(吳璿...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에 있는 초기국가시대의 토성 터.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 척산마을 일대에 있는 소상산[26.8m] 정상에 위치한다. 앞으로는 만경강(萬頃江)이 흐르는데, 1907년 지도에 의하면 북측 일대가 바다로 표현되어 있다. 동지산리 토성 터는 소상산을 테뫼식으로 두른 성터로서, 소상산의 경사는 비교적 가파른 편이며 정상부 측에서는 편평한 지형이 확인되...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1920년 4월 8일 동방사로 창건되었다가 1949년 4월 5일 동화사로 이름을 바꿨다. 일명 소토리절이라고도 부른다....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두곡서원(杜谷書院)은 성리학자 강원기(康元紀)[1423~1498]의 거처가 있던 곳으로, 배향되어 있는 사람은 포은(圃隱) 정몽주(鄭夢周), 봉호당 문헌공 강원기, 난계 성전림(成傳霖) 등이다. 성리학자 강원기는 야은(冶隱) 길재(吉再), 정몽주와 더불어 경전을 읽어 유풍(儒風)을 크게 진작시켰다. 그가 경원과 은성 두 고을의...
-
백제시대부터 757년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청하면·진봉면·공덕면·성덕면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백제 초기에는 지방 통치가 지역 부족 수장들의 자치적 기능에 맡겨져 왔다. 고이왕 이후에 5부 체제가 갖추어지면서 그들이 점차 중앙 귀족화되어 부에 편입되었고, 지방 통치가 이들을 통한 간접적인 지배 형태로 행해지면서 두내산현(豆乃山縣)으로 개칭된 것으로 보인다. 『삼국사기(三國史...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죽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마지룡의 정려. 마지룡(馬之龍)의 본관은 장흥, 자는 비섭이다. 27세 정묘년에 무과에 급제하여 어영장이 되었다. 병자호란 후 효종을 모시고 심양에 있을 때 청나라의 협박으로 300여 군졸을 거느리고 금주 싸움의 선봉으로 출전하여 명나라와 싸우는 청나라를 도왔다. 그러나 임진왜란 당시 우리나라를 도와준 명나라 은혜를 생각하고 부...
-
1895년부터 1914년까지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고종은 동학 농민 운동이 모두 진압되고 난 후 지방 행정구역 제도에 문제의식을 느끼고 1895년 행정구역 개편을 단행하였다. 이때 만경현과 금구현이 군으로 되었으며, 그와 동시에 만경군·금구군은 김제군과 함께 전주부[관찰사]에 속하게 되었다. 1896년 23부제가 폐지되고 13도제가 실시됨에 따라 3개 군은 전라북...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삼국시대 읍성 터.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후록산(後麓山)은 백제시대 두내산(豆內山) 또는 두릉(杜陵)이라 칭했다. 이런 이유로 후록산을 두산이라고도 부르고 있다. 『세종실록지리지(世宗實錄地理志)』 만경편의 기록에 따르면, 이곳에는 조선 전기 어느 시기인가는 분명하지 않지만, 둘레가 겨우 1백 보에 불과한 작은 토성(土城)이 있었으나, 퇴폐된 채...
-
1950년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우익 인사 등이 인민군과 지역 좌익에 의해 학살된 사건. 1950년 한국전쟁이 발발한 뒤 우리나라 다른 지역과 마찬가지로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도 좌우익의 대립이 격렬했고, 일제강점기 이후 탄압을 받았던 지역 좌익 및 지역 주민들은 북한군이 들어오자 우익 인사들을 공격하기 시작하였다. 1950년 9월 27일 당시 김제군 만경면의 지주 정판석 일가...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만경리에 있는 조선 전기의 향교. 만경향교의 위치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 만경현 향교조에 의하면 당시 동헌으로부터 서쪽으로 약 2리쯤 떨어진 곳이었다. 1620년(광해군 12)에 화재로 인해 건물 전부가 소실된 뒤 17년이 지난 1637년(인조 15) 현재의 위치인 만경읍 만경리 183-1번지[두내산1길 25-10]에 중건되었다. 만경향교는...
-
통일신라와 고려·조선 때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설치된 행정구역. 현재 김제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 당시 이곳에는 당시 벽골·두내산·무근촌(武斤村)·수동산(首冬山)·내리아(乃利阿)·구지지산(仇知只山)·야서이(也西伊) 등의 고을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언제부터 백제 영토였는지, 지방 행정 체제가 어떠하였는지는 잘 알 수 없다. 통일신라는 757년(경덕왕 16) 당의 방식을...
-
전라북도 김제시 신곡동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만복사(萬福寺)는 고려시대에 세워졌다고 전하며 창건자는 정확하게 전하지 않는다. 고려 때에는 사찰의 모습을 갖추었으나 조선시대에 이르러 유교를 숭상하고 불교를 탄압하는 숭유억불정책으로 말미암아 부처만 남아 있다가 1928년 10월 3일 무너진 당우를 다시 지었다. 그 후 1931년 5월 26일 새로 법당을 세우면서 예전 법...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의 망해사 악서전에 봉안되어 있는 일제강점기 불화. 망해사 신중도는 일제강점기인 1924년 승려 봉주(奉珠)가 제작한 불화로,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28호로 지정된 낙서전(樂西殿)에 봉안되어 있다. 망해사에는 망해사 신중도 외에 대웅전 안에 근래에 봉안된 「영산후불탱화(靈山後佛幀畵)」, 「지장탱화(地藏幀畵)」, 「칠성탱화(七星幀畵)」 등의 불화가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조선 전기 망해사의 불전. 망해사는 754년(경덕왕 13) 통장법사(通藏法師)가 창건한 후 성쇠를 거듭하다가 1609년(광해군 1) 진묵대사(震默大師)가 중창하였다. 1933년부터 다시 본전을 개수하였고, 1977년에는 보광명전(普光明殿)·칠성각(七星閣)·낙서전을 복원·중수하였다. 1984년에는 보광명전과 칠성각을 헐고 그 자리에 대웅전을 새로...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두리에 있는 백제시대 토성 터. 명금산 토성은 백제시대에 테머리식으로 축조된 성으로, 거의 평탄한 산상 둘레에 토루를 쌓아 내황(內隍)을 만들었다. 벽골제(碧骨堤)의 남단에 위치하여 벽골제를 수호하고 동진강(東津江) 하구를 따라 내륙으로 들어오는 적을 차단하는 방어 진지로서, 『조선보물고적조사자료(朝鮮寶物古蹟調査資料)』에 따르면 “정읍과 김제의 양쪽 군 경...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고분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지칭한다. 삼국시대 백제 고분의 경우, 완전히 백제의 지배하에 들어가서는 횡구식 석실분과 횡혈식 석실분 등의 양식으로 조성하였지만, 마한의 묘제가 남아 있을 때에는 옹관묘(甕棺墓)와 분구묘(墳丘墓)의 모습을 띠었다. 국도 29호선을 따라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 두무동마을을 지나면 사거리가 보이는데,...
-
백제시대부터 757년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현재 김제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 당시 이곳에는 당시 무근촌현(武斤村縣) 이외에 벽골·두내산·수동산(首冬山)·내리아(乃利阿)·구지지산(仇知只山)·야서이(也西伊) 등의 고을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언제부터 백제 영토였는지, 지방 행정 체제가 어떠하였는지는 정확히 알...
-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현재 김제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 당시 이곳에는 무근촌현(武斤村縣) 이외에 벽골·두내산·수동산(首冬山)·내리아(乃利阿)·구지지산(仇知只山)·야서이(也西伊) 등의 고을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언제부터 백제 영토였는지, 지방 행정 체제가 어떠하였는지는 잘 알 수 없다. 무근...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에 있는 조계종 제17교구 본사인 금산사의 말사.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지평선이 보인다는 김제 들판에 우뚝 솟은 황산[162m]에 자리한 문수사(文殊寺)는 현재 비구니 선원으로 잘 알려져 있다. 또한 이 산 기슭에 까막샘 혹은 황산약수라고 불리는 유명한 약수터가 있어 단오와 백중, 그리고 한가위에 김제 일대에서 모여든 사람들이 한바탕 춤을 춘 뒤 샘물을 마시며...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의 문수사 삼성각에 봉안되어 있는 일제강점기 불화. 문수사 삼성각 현왕도는 화승인 관하당(觀河堂) 종인(宗仁)이 일제강점기에 조성한 불화이다. 현왕도는 일반적으로 사찰 법당 안의 현왕단(現王壇)에 모시기도 하고 약사전(藥師殿) 등에 모시기도 한다. 문수사 삼성각 현왕도가 봉안된 삼성각은 맞배지붕에 정면 2칸, 측면 1칸 규모로 1974년에 중수되었다. 종인은...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 문수사에 있는 고려시대 마애불. 문수사는 624년(백제 무왕 25) 혜덕선사가 문수보살의 현몽으로 문수곡에 창건하였는데 950년에 소실되자, 957년(광종 8)에 왕사 혜림(慧林)이 350m 떨어진 지금의 장소에 중창하였다. 중창 당시에 ‘문수암’이라는 현판이 이곳에 날아와서 떨어졌다고 하며, 현판은 신필(神筆)이라 하여 지금도 보관하고 있다. 지금의 사찰...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 문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 석가여래좌상. 문수사는 624년(백제 무왕 25) 혜덕선사가 문수보살의 현몽으로 문수곡에 창건하였는데 950년에 소실되자, 957년(광종 8)에 왕사 혜림(慧林)이 350m 떨어진 지금의 장소에 중창하였다. 중창 당시에 ‘문수암’이라는 현판이 이곳에 날아와서 떨어졌다고 하며, 현판은 신필(神筆)이라 하여 지금도 보관하고 있다. 지금의...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 문수사에 있는 조선 후기 아미타여래좌상. 문수사는 624년(백제 무왕 25) 혜덕선사가 문수보살의 현몽으로 문수곡에 창건하였는데 950년에 소실되자, 957년(광종 8)에 왕사 혜림(慧林)이 350m 떨어진 지금의 장소에 중창하였다. 중창 당시에 ‘문수암’이라는 현판이 이곳에 날아와서 떨어졌다고 하며, 현판은 신필(神筆)이라 하여 지금도 보관하고 있다. 지금...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 하사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절부 문화유씨의 정려. 열녀 문화유씨는 열아홉 살에 선비 송호와 결혼하였는데, 불행히도 그 해 6월에 남편이 죽었다. 해묵이도 끝나지도 않은 상태였다. 해묵이란 신부집에서 혼례를 올리고 거기서 해를 넘긴 후 시댁으로 돌아오는 풍속이다. 사실 문화유씨는 복중에 아기도 없던 상태였다. 유씨 부인은 슬픔을 이기지 못하여 80여 일...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화유씨 종중 묘역. 상정리 문화유씨 종중 묘역은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의 야트막한 야산 구릉 지역 서편에 자리 잡고 있다. 주변으로는 전답과 야산이 펼쳐져 있으며, 서편으로는 상리 유물산포지2가 위치하고 있다. 동편에는 옹제라고 불리는 방죽이 묘역이 분포되어 있는 야산 하단부와 연결되고 있다. 비교적 큰 규모의 무덤이 상하로 한 쌍씩...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황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화유씨 종중 묘역. 황산리 문화유씨 종중 묘역은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에 있는 벽성대학으로 들어가는 도로 우측 황산리의 구릉 사면 일대에 자리 잡고 있다. 바로 옆으로 황산리 전주최씨 종중 묘역이 자리하고 있다. 정상부에 자리 잡은 묘들을 중심으로 둘레에 한 쌍의 문인석과 망부석, 안내석이 설치되어 있다. 문인석의 높이는 140㎝ 정도...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민간에서 전승되고 있는 생활 풍속. 민속은 한 문화권 내에서 다수가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문화로서 민중들이 자연적·역사적·사회적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지혜와 믿음으로 엮어낸 생활양식이다. 민속이란 민속학에서 포괄적인 용어로 광범위하게 쓰이고 있다. 김제 지역의 민속도 다양한 형태로 존재하고 있는데, 신앙·전설·풍속·생활양식·관습·종교의례·민요·...
-
전라북도 김제시 순동에 있는 효자 박명종의 정려. 박명종(朴命鍾)의 본관은 밀양(密陽)이고, 자는 무칠(武七)이며, 호는 만오(晩悟)이다. 널리 알려진 집안에서 태어난 박명종은 어려서부터 한 번도 부모 말을 어긴 일이 없고, 비록 작은 것이라도 맛있는 것을 얻으면 꼭 부모에게 먼저 올리는 등 효성이 극진하였다. 또한 매일 달고 연한 음식을 마련해 드리고자 힘썼으며, 부모가 병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서원. 백산서원(白山書院)에는 조선 선조 때의 문신 청곡(靑谷) 윤찬(尹瓚)을 비롯하여 구봉(九峰) 윤여임(尹汝任), 죽계(竹溪) 백선남(白善男), 죽음(竹陰) 윤자선(尹滋善), 담재(澹齋) 윤자민(尹滋民) 등의 위패를 모시고 있다. 윤찬은 영흥군(鈴興君) 윤지효(尹之孝)의 아들로 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선조의 어가(御駕)를...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있던 마한 54소국의 하나. 벽비리국의 ‘비리’라는 말은 비리국(卑離國)·고비리국(古卑離國)·감해비리국(監奚卑離國)·모로비리국(牟盧卑離國)·여래비리국(如來卑離國)·초산도비리국(楚山塗卑離國)·내비리국(內卑離國) 등 마한의 소국에서 많이 볼 수 있다. 이는 백제의 부리(夫里)와 신라의 벌(伐)·불(弗)·불[火]처럼 평야, 읍락, 나라 등의 뜻을 지니는 말이다. 『...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있는 대한불교 법화종 소속 사찰. 전설에는 조선 말기에 성명 미상의 사람이 창건하고 승려 김태상이 중건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러나 좀 더 신빙성 있는 것은 1930년에 창건하고 1969년에 승려 최규상이 중건하였다는 설이다. 2002년 수해로 인해 사찰 입구 축대가 무너져 다시 정비했다. 보현사의 법당은 정면 3칸, 측면 2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행촌리 동령마을에서 음력 1월 3일에 마을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봉남면 동령 당산제는 매년 음력 1월 3일 오시(午時)에 행촌리 동령마을의 북쪽 끝에 서 있는 당산나무에서 마을 사람들이 공동으로 올리는 부락제이다. 당산제는 각 마을마다 지내는 형식과 기원의 대상에 따라 산신제, 산천제, 산제, 천제, 성황제, 수신제 등 제각각의 이름으...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에 있는 조선시대 봉산이씨 종중 묘역. 선암리 봉산이씨 종중 묘역은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의 재넘어마을에서 영천마을로 지나가는 도로로 접어들면 나오는 오른쪽 산 사면에 자리하고 있다. 묘역의 남쪽으로는 안동권씨 열녀비와 온덕기 효자비가 자리하고 있으며, 북쪽으로는 서도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하고 있다. 선암리 봉산이씨 종중 묘역에는 4기의 무덤이 산재해 있으...
-
조선시대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있었던 불과 연기를 이용한 통신 수단. 봉수는 국경 변방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 또는 다른 지역의 변경에 알리기 위해 설치한 통신 수단으로, 군사적 목적으로 사용하였다. 외부로부터 적이 침입하였을 때에는 외적과의 격전지 역할을 하였다. 봉수대는 수십 리마다 눈에 잘 띄는 산꼭대기에 설치하여 밤에는 횃불로, 낮에는 연기로 신호를 보냈는데, 평상시에는 1개...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성계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김관을 모신 영당. 김관(金瓘)[1425~1485]의 본관은 언양(彦陽)으로, 초명은 종동(終同). 자는 영중(瑩中), 호는 묵재(默齋)이다. 1467년(세조 13) 이시애(李施愛)의 난을 토평한 공으로 정충출기적개공신(精忠出氣敵愾功臣) 2등에 녹훈되었다. 1479년 동지중추부사로 천추사(千秋使)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으며, 이...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봉월리에 있는 통일신라시대 기와 가마터. 봉월리 기와요지는 가마터에서 출토되는 암키와와 수키와 등의 기와와 토기편 등 유물 현황으로 미루어,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되어 인근 지역에 기와를 공급해 왔던 것으로 추정된다. 봉월리 기와요지는 해발 40m 정도의 구릉성 야산이 대체로 동서로 뻗어 있는 동측 사면 말단부에 위치하고 있다. 주변으로는 저평한 구릉성 야산과...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부거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옹기가마터. 옹기는 삼국시대 이후 우리 조상들이 일상생활에서 사용하던 용구로서, 음식을 저장하는 용기로 널리 쓰였다. 옹기는 특히 우리나라 전통시대의 서민문화를 알 수 있는 독특한 자료이면서, 우리나라 문화의 우수성을 알게 해 주는 자산이기도 하다. 부거리 옹기요지는 일반 서민들의 일상생활에 소용되는 옹기를 만들었던 곳으로, 1920...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부용사(芙蓉寺)의 미륵부처가 영험한 것으로 알려져 약사여래불상(藥師如來佛像) 앞에 엎드려 불공을 드리면 반드시 효과를 본다는 신기한 전설이 전한다. 단청기능보유자인 국가무형문화재 제48호 승려 김일섭(金日燮)이 1936년에 창건하였다. 당시 지금의 요사채인 초가 8칸을 구입하여 불상을 봉안해 오다가 1961년 대웅전...
-
통일신라시대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현재의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 고현마을과 부서울마을 일대가 과거 부윤현의 위치이다. 성덕리의 중심이 되는 마을로 신비한 전설을 간직한 ‘부설각시’가 태어난 곳이라 하여 ‘부서울’이라 부르는 마을이 있는데, 『동국여지승람』에 만경면 남쪽 13리에 위치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지명이 지금도 고현과 부윤으로 부르는 점 등 여러 가...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석가모니와 그의 가르침을 따르는 종교. 우리나라에 불교가 공식적으로 전래된 것은 4세기 말로서, 당시 고구려·백제·신라는 부족 연맹체를 벗어나 강력한 중앙집권적 군주 국가로 도약할 차비를 하고 있었다. 이러한 때에 불교라는 새로운 종교가 들어와 종래의 씨족 중심적 세계관과 종교관을 대체하는 보편적 윤리와 이념을 제공하였다. 고구려의 불교는 372년(소수림왕 2)...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부처를 숭상하고 불법을 익히는 장소. 한국에서 불교를 받아들인 시기는 삼국시대이다. 당시 고구려가 받아들인 불교는 주로 전진(前秦)을 비롯한 북방 중국의 불교였으며, 백제가 받아들인 불교는 동진(東晉)을 비롯한 남방 중국의 불교였다. 신라의 경우는 처음에는 고구려에서, 그 이후로는 백제와 중국의 남조·수나라·당나라 등지에서 전래되었다. 삼국의 불교는 왕실과 귀족...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에 있는 삼국시대 분묘 유적. 산치리 유적은 구와 수혈(竪穴), 토광묘 등의 유구가 발굴된 유적으로서, 다량의 토기 출토와 삼국시대 것으로 보이는 벼루가 출토되었다. 이를 통해 삼국시대에 벼루를 사용하였던 계층에 의하여 조성되었을 것으로 여겨진다. 산치리 유적은 김제시 백산면 수록리 검북골에 자리하고 있다. 청하농장에 인접한 남쪽 일대로 해발 15~20...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월봉리에 있는 개항기 김제조씨의 삼강문. 삼강문(三綱門)은 김제조씨(金堤趙氏) 집안의 효를 기린 정려문으로, 김제조씨 종친회에서 소유 및 관리하고 있다. 대표적인 인물로 조득양, 아들 조창현과 조기형·조기현, 그리고 그들 처 등의 정려가 있다. 조득양의 자는 화진(花震)이요, 호는 고암(高庵)으로 본관은 김제이며, 벼슬이 동지중추부사에 이르렀다. 어려서부터...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서포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오래전부터 김제시 죽산면 서포리 불당마을에는 석불상이 있었다고 한다. 마을 사람들이 고기를 잡으러 나갈 때 항상 이 석불상에 공양을 드리고 나가는 것이 하나의 풍습이었다. 그러던 어느 날 큰 해일이 일어 이 불상이 어디론가 묻혀버렸다. 그 후 어느 해 방목리에 사는 정진섭(鄭進燮)이라는 사람이 술에 취한 채 마을 앞...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장산리에 있는 효자 정려. 삼효문은 도강김씨(道康金氏)인 김광현과 김노현, 그리고 김노현의 아들 김영기의 효행 사실을 기록한 석정려이다. 『만경향교지』에 김광현·김노현·김영기의 효행 사실이 자세히 기록되어 있다. 김광현과 김노현은 형제로 어려서부터 효심이 지극하였으며, 부모를 받들어 모심에 정성을 다하고, 형제간에 우애가 돈독하여 항상 집안이 화목하였다. 부...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서도리에 있는 애국지사 장태수의 사당. 서강사(西岡祠)는 금구면사무소에서 김제시 금산면 원평리 방향으로 1㎞ 떨어진 곳에 위치해 있다. 1935년 일제강점기에 인동장씨가 중심이 되어 대한제국 말기 일제 침략에 반대하여 단식으로 항거하다가 세상을 떠난 일유재 장태수(張泰秀)[1841~1910]를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이다. 당시 일제가 장태수를 으뜸 위패로...
-
진봉면 심포리 심포항(深浦港)과 망해사(望海寺)는 드넓은 서해의 풍광과 아름다운 낙조를 볼 수 있는 곳으로 유명하다. 김제시의 중요한 문화적·역사적 자원으로 일망무제한 김제 지평선의 일단을 장식하는 중요한 문화 관광지로 꼽힌다. 옛 문헌에서 심포라는 지명을 찾아볼 수 없지만, 조선시대 지방 지도 등에는 이 지역이 하일도(下一道)로 표기되어 있다. 심포라는 지명이 처음 등장하는 문헌...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돌로 도구를 만들어 사용한 시대의 역사.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는 이미 선사시대부터 사람들이 거주하며 생활의 터전을 닦아왔다. 그러나 백제 중엽 이전의 구체적인 연혁은 아직까지 전혀 알려지지 않고 있다. 마한시대에는 54개국 중 벽비리국에 해당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현재까지 전라북도 김제시에 구석기와 신석기 유적이 확인된 예가 없어 그때부터 이곳에 사람이...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석담리에 있는 청동기시대에서 조선시대 고분 유적. 석담리 유적은 김제 공덕~전주 간 도로 확장 및 포장 공사로 인한 문화재 조사의 일환으로 발굴·조사되었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와 구상 유구(遺構), 삼국시대의 원형 유구와 석곽묘(石槨墓), 고려시대부터 조선시대에 걸친 토광묘(土壙墓) 등이 발굴되었으며, 각종 토기와 석촉·분청사기호 등이 출토되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석담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화강암 돌 틈에서 나오는 물이 좋아 석담사(石潭寺)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약 200년 전부터 석담사 자리에 절터가 있었다고 전해오다가, 1921년 장경화 화주가 샘 옆에 움막을 치고 기거하면서 초가집 3칸을 신축하여 석담사라 부르게 되었다. 1957년에 보월이 석담사 주지가 되면서 1959년에 대웅전 3칸을 건축하...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유학자 이정직의 글과 그림. 이정직(李定稷)[1840~1910]은 뛰어난 유학자로 27세 때인 1869년(고종 6)에 중국으로 가는 사신을 수행하게 되었다. 베이징[北京]에 머무르는 동안 중국의 시문학에 대한 고증과 논편, 성리학에 있어서의 정주학과 양명학에 대한 변해와 논편, 칸트 등 서양 철학에 대한 연구와 동서 철학의 절충론 등 여러 방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에 있는 삼국시대 석축 산성. 선동리 상두산성의 정확한 축조 연대는 알려지지 않지만, 삼국시대에 쌓았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후백제 왕 견훤(甄萱)[867~935]이 쌓았다고 주장하는 사람도 있다. 동서로의 교통 요지이자 군사적 요충지라는 지역적 특성에서 축조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선동리 상두산성은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선동리의 상두산(象頭...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 봉두산 정상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봉수는 변방의 긴급한 상황을 중앙 또는 타 지역의 변경에 알리는 통신 수단이다. 또한 외부로부터 적이 침입하였을 때에는 외적과의 전투를 치르던 격전지이기도 하였다. 『금구읍지(金溝邑誌)』에 남아 있는 “남산에 불을 피웠다.”는 내용으로 미루어 ‘남산봉수’와 선암리 봉두산 봉수대와의 관계를 해명할 필요가 있다. 일설...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두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선희주의 정려. 선희주(宣禧周)의 본관은 보성(寶城)으로, 수사 선약해(宣若海)의 후손이다. 부모님 병환이 위급해지자 두 차례나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였고, 3년간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정성껏 돌본 지극한 효자로 벼슬과 이름이 적힌 정려를 받았다. 김제시 부량면 신두리 438-1번지로, 부량면사무소 옆으로 난 길을 따라 약 1.5㎞...
-
전라북도 김제시에서 천주교의 종교 의식이 행해지는 회당. 김제 지역에서는 1866년에 일어난 병인교란 때 순교자가 다수 발생한 것으로 보인다. 1879년에는 드게트(Deguette) 신부가 금구의 배재에서 잡혀 추방되었다가 1881년 뭬렐 신부와 함께 다시 우리나라에 들어온 뒤 한때 금구에 피신했다고 전한다. 1894년 동학혁명 이후 가톨릭 선교가 용인되자 말세로구 신부가 전주 이...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 성덕산 일대에 있는 백제시대 토성 터. 전라북도 김제는 해안 지역에 속해 있기 때문에 백제시대부터 각 국경 지대 및 각 요지에 이르는 지역과 군현의 치소(治所)에 군사적 방어를 위하여 성을 쌓았다. 대체로 산 정상을 중심으로 사면에 외곽을 두르는 테뫼식 산성을 많이 쌓았는데, 김제 성산성·사창산성(社倉山城)·만경리 만경읍성(萬頃里萬頃邑城)·성덕리 성덕...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유양산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성모암(聖母庵)은 일제강점기에 무자손천년향화지지(無子孫千年香華之地)로 전해오는 전라북도 지역의 고승 진묵대사(震默大師) 모친의 묘소에 세워진 암자이다. 1927년 5월에 이순덕(李順德) 화부인(華夫人)이 계룡산 신도안에 있다가 고향인 임실로 가는 도중 지금의 성모암 인근 마을에 유숙하게 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
김제시 교동 일대에 자리 잡은 성산(城山)은 김제시의 주산으로 해발 고도 30~41m의 야트막한 구릉 산지이다. 전망대에 오르면 사방 약 40㎞를 관망할 수 있다. 성산 주위에는 사적 제482호인 김제군 관아와 향교, 벽성서원(碧城書院), 용암서원(龍巖書院), 홍심정(紅心亭) 등 김제의 전통을 고스란히 간직한 전통문화 유교 자산이 잘 남아 있어 김제시의 정체성을 말해 주고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하동에 있는 개항기 나주나씨 효자 8명의 정려. 나주나씨 효자 8명인 나익열·나승열·나희순·나처의·나형열·나처인·나처일·나처대(羅處大)는 지극한 효성과 우애로 나라로부터 정문(旌門)을 받았다. 특히 나형열은 부모상을 당하여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돌보는데 호랑이가 옆에서 지켜 주었으며, 이웃 마을 사람들이 물과 땔나무를 날라다 줄 정도로 효성이 지극하였다...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송상리에 있는 초기국가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면 홍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송저의 묘역. 홍정리 석성현감 송저 묘역은 김제시 황산면 홍정리 신흥마을 동측 구릉에 있는 여산송씨 종중 묘역에 자리하고 있다. 이 때문에 홍정리 석성현감 송저 묘역에는 송저(宋儲)의 묘만 있는 것이 아니라, 누구인지 알 수 없는 민묘도 여러 기가 자리하고 있다. 송저의 묘 남쪽 바로 아래에 여산송씨 재각이 자리하고 있어, 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청운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송정기의 정려. 금구면 청운리 불로마을에 있는 낙양사(洛陽祠)는 여산송씨 소윤공파 석성공파 재실(齋室)로, 효자인 죽계(竹溪) 송정기(宋廷耆), 백재(柏齋) 송정구(宋廷耈), 송정(松亭) 송정모(宋廷模) 3형제를 모시는 사당이다. 송정기는 부모가 병으로 눕게 되자 정성껏 병간호를 하였다. 그러나 끝내 부모가 돌아가자, 3년 동안...
-
백제시대부터 757년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현재 김제 지역은 삼국시대에 백제의 영토로 당시 이곳에는 당시 무근촌현(武斤村縣) 이외에 벽골·두내산·수동산(首冬山)·내리아(乃利阿)·구지지산(仇知只山)·야서이(也西伊) 등의 고을이 있었다고 한다. 수동산현은 본래 백제 영토였는데, 구체적으로 언제부터 백제 소속이었는지, 지방...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에 있는 고려와 조선시대 순흥안씨 종중 묘역. 하서리 순흥안씨 종중 묘역은 김제시 백산면 하서리 생건마을 입구 학당서원 뒤편의 구릉 일대에 조성되어 있다. 하서리 순흥안씨 종중 묘역에는 안천서(安千瑞), 안원기(安原起), 안극성(安克誠) 등 고려와 조선시대에 활동했던 순흥안씨 20여 인의 묘들이 자리하고 있다. 그 중 규모가 가장 큰 묘가 상·중·하로...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용성리에 있는 조선 전기 벽골제 제방 공사에 투입된 인부들의 수를 세던 곳. 1415년(태종 15) 벽골제(碧骨堤)를 대대적으로 보수할 당시, 하루에 1만여 명이나 동원되는 인부들의 현황을 매일같이 파악하는 데 어려움이 따르자, 임시방편으로 일정한 크기의 논에 사람들을 빽빽이 세워서 곡물(穀物)을 되질하듯 인원수를 헤아려 냈다고 한다. 이를 승답(升畓) 혹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신경은의 정려비. 신경은 정려비는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 84번지에 있다. 금산면 낙수동 삼거리에서 금구 방면으로 가는 길을 따라 1.75㎞ 더 가면 길 오른쪽에 큰 돌에다 반곡[서릿골]이라 새겨놓은 표지석이 있다. 이 표지석을 보고 오른쪽으로 꺾어 500m 들어가면 반곡마을회관이 나오는데, 더 직진하여 은적사를 거쳐 반곡제 옆에...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두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정평구의 묘. 정평구(鄭平九)는 지금의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제월리에서 1566년 3월 3일 출생하여 1624년 9월 죽었다. 무관 말단직으로 관직생활을 시작했는데, 전라우수사 이억기(李億祺)에 의해 진주병영 별군관(別軍官)이 되었다. 정평구는 임진왜란 당시 김시민(金時敏)의 휘하에서 화약을 다루는 임무를 맡았다. 이때 일본의...
-
전라북도 김제시 신월동에 있는 동복오씨 종중 묘역의 문인석. 문인석(文人石)은 봉분 곁을 지키는 문관 모습의 석상을 말하며, 두 손을 공손히 모아 올려 홀을 들고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정3품 이상의 관직을 지낸 사람의 무덤 앞에만 설치할 수 있다. 신월동 신월마을 문인석은 전라북도 김제시 신월동 신월마을 내 동복오씨 종중 묘역에 있으며, 인근에 경모재라는 재각이 있다. 신월동...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금산사의 산내 암자. 창건 연대는 정확하지 않으나 766년(혜공왕 2)에 금산사(金山寺)를 창건한 진표율사(眞表律師)가 수도처로 창건했다고 전한다. 그 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소실된 것을 1636년(인조 14)에 수문대사(守文大師)가 중건하였으며, 1849년(헌종 15)에 금산사 심원암 북강삼층석탑(金...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 봉화산 정상에 있는 조선시대 봉수대 터.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길곶 봉수대는 황해를 한눈에 내려다볼 수 있는 군사적 요충지에 세워져 있어 만경강과 동진강의 하구로 들어오는 적선을 곧바로 탐지할 수 있었다. 조선시대에 이곳에 봉수대가 있었다는 사실은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권34 만경봉수조에 “길곶 봉수는 현 서쪽 29리에 있다. 남...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심포리에 있는 고려시대 목장 터. 조선 후기 대동법이 시행되기 전에는 고을마다 집집마다 일정한 양의 특산물을 조정에 납부하는 공납제가 시행되었다. 이러한 공납제는 지역적인 환경과 여건을 고려하여 조정과 왕실이 필요로 하는 물품을 조달한다는 목적 아래 시행되었으나, 이를 납부해야 하는 백성들의 입장에서는 토지세나 인력세보다 부담이 커서 고향을 떠나는 경우까지...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안정익의 정려. 안정익(安廷益)의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충효의 가정에 태어나 어릴 때부터 총명하였으며, 효성이 남다르게 지극하였다. 불행하게도 어머니가 일찍 돌아가시고 아버지만을 봉양하게 되었다. 집안 살림이 넉넉하지 못함에도 지성으로 모셨으나 아버지가 병으로 몸져눕자, 간호하기 위하여 아버지의 대변을 맛보기도 하고 손가락을 잘...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안지의 묘. 안지(安止)[1387~1445]는 1414년(태종 14) 알성문과에 급제하였다. 이후 이조참판과 공조참판, 공조판서를 역임하고 문형(文衡)을 관장하였으며, 영중추부사를 지냈다. 시호는 문정(文靖)이다. 예촌리 안지공 묘는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 한절미마을에 있다. 좌우로 문인석 2개가 세워져 있는데, 세월의 풍화 작용...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조선시대 순흥안씨 안충남(安忠男)의 묘역. 상정리 순흥안씨 묘역은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의 해발 고도 30m 정도 되는 야트막한 야산에 자리하고 있다. 주변으로 전답과 마을이 조성되어 있는데, 묘역의 하단부 동남편으로는 상정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하고 있으며, 묘역의 서편으로는 남북으로 길게 옥정마을이 가로놓여 있다. 구릉의 사면에 9기의 무덤이 분...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효자 안취선의 정려. 안취선(安就善)의 본관은 순흥(順興)이다. 조선 효종 때 출생하여 남다른 효성으로 부모를 극진히 봉양하였다. 부모가 병으로 몸져눕게 되자 하늘에 대신 죽기를 빌었으나, 부모가 끝내 세상을 떠나자 예절을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3년간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정성껏 돌보니 보통사람으로서는 따를 수 없는 효성으로서 많은...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에 있는 조선시대 어모장군 황공의 묘역. 예촌리 어모장군 황공 묘역은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 한절미마을 북쪽에 논을 사이에 두고 맞은편 구릉 사면에 있다. 이곳은 예촌리 우주황씨(紆州黃氏) 종중 묘역이 자리 잡은 곳으로, 묘역의 북쪽과 서쪽으로 송산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해 있다. 묘 앞 좌우에 높이 2m 정도의 문인석이 세워져 있다. 문인석은 관을 쓰고 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삼봉리에 있는 조선시대 여산송씨 종중 묘역. 삼봉리 여산송씨 종중 묘역은 해발 고도 489m의 구성산(九城山) 서남편 하단부 끝 해발 고도 90m의 산자락에 위치하고 있다. 동남편으로는 구성산이 이어지고 있으며, 서편으로는 전답이 펼쳐져 있다. 전답 너머로는 상당한 규모의 반곡마을이 위치하고 있다. 서편으로 펼쳐진 전답 안에 삼봉리 유물산포지가 위치하고 있고...
-
조선시대 김제 지역에서 남편에 대한 정절을 지켜 포상이나 칭송을 받은 여자. 조선 왕조에서 충·효·열은 유교 정치의 실현을 위해서 가장 기본이 되는 실천궁행(實踐躬行)이었다. 그 중 열은 시집온 여자들에게 해당하는 것으로, 한번 남편과 인연을 맺으면 일부종사해야 된다는 유교의 기본 이념을 강하게 표현하고 있었다. 그러기 위해서는 남편이 살아 있을 때는 병간호부터 집안 살림까지 모든...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 봉황산에 있는 암자.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약 200여 년 전에 봉황산 기슭에 까마귀 떼가 날아들어 부리로 바위를 쪼았는데 신기하게도 거기에서 약수가 솟아올랐다고 한다. 이 이야기가 전해지자 마을 사람들이 모여들기 시작했고, 특히 5월 단오와 8월 추석날에는 발 디딜 틈이 없을 정도로 붐볐다고 한다. 그러자 서상월(徐上月)이라는 불교 신자가 그 약수터 위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청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배택수를 모신 영당. 배택수의 본관은 달성(達成)이고, 자는 인술(仁述), 호는 송권(松卷)이다. 아버지는 배석범이며 1899년(고종 36)에 태어났다. 아버지의 뜻을 받들어 주경야독하며 재산을 모은 뒤 숙사를 짓고 좋은 스승을 초빙하여 후진 양성에 힘썼다. 향리 사람들이 그 공을 기리기 위해 영당을 지어 모시고 있다. 오산영당(鰲山...
-
전라북도 김제시 양전동에 있는 효자 오세탁과 효부 진주강씨의 정려. 오세탁(吳世鐸)의 본관은 함양(咸陽)이고, 자는 군흥(君興)이며, 영조시대 임진년에 태어났다. 오세탁은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어려서부터 어른이 되기까지 부모 곁을 떠나지 않고 모든 말씀을 정성으로 따르며 섬겼다. 그러나 집안이 몹시 가난하여 낮에는 나무를 하고 물고기를 잡아 어려운 살림을 꾸려 나가고, 밤에는...
-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오영순 가옥은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 죽절마을에 있는 초가집으로 왕개산 아래에 동남향으로 자리 잡고 있다. 19세기 중엽에 지은 것으로 추정된다. 건립 당시에는 3칸 정도였으나 20세기 초에 와서 정지[부엌] 아래쪽을 증축·개축한 것으로 보인다. 오영순 가옥은 정면 7칸, 측면 2칸의 규모로 전체적인 구조는 안채·헛간채·문간채로...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봉의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용봉사(龍鳳寺)는 1927년 김응삼(金應三)과 박대창(朴大昌)이 창건한 개인 사찰이다. 그 후 1958년에 승려 김기춘과 최보현화 보살이 미타전(彌陀殿)을 기와로 중수하고 약 49.59㎡의 대웅전을 목조 팔작지붕으로 지었다. 또한 산신각과 요사를 개축하고 종각을 건립하여 범종을 달았다. 대웅전 안에 모셔진 삼존불에...
-
전라북도 김제시 교동에 있는 조선 전기 서원. 용암서원(龍巖書院)은 조간(趙簡)을 주벽으로 하여 이계맹(李繼孟)[1458~1523]·나안세(羅安世)[1475~1527]·윤추(尹推)[1632~1707]·이세필(李世弼)[1642~1718]·나응삼(羅應參)[1505~1568]·조윤침(趙潤琛) 등을 배향하고 있는 서원이다. 조간의 호는 열헌(悅軒), 본관은 김제(金堤)이다. 1279년(충...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에 있는 백제시대 절터. 용호사 터는 원래 확실한 기록이 남아 있지 않고 기와조각만 발견되어 절터가 있었던 곳이라고 구전되어 오던 곳으로, 기와 파편과 불상이 출토되면서 삼국시대 절터로 확인되었다. 용호사 터는 김제시 성덕면 대목리의 온호절마을에 있다. 전하는 말에 따르면 삼국시대에 용호사라는 절이 마을에 있었다고 한다. 1980년 3월 7일 마을 사람...
-
전라북도 김제시 요촌동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사찰의 창건 및 연혁에 관하여 1984년에 기록된 ‘원각사사적비(圓覺寺事蹟碑)’에 따르면 일제강점기인 1927년 일본인 승려 아오키 타로가 일본 동본원사(東本願寺) 계통의 작은 규모의 사찰을 창건했으며, 창건 당시 이름은 진조사였다고 한다. 1945년 8월 해방 직후에 지금의 주지인 춘명 창석이 진조사를 인수하여 원각사(圓...
-
전라북도 김제시 월성동에 있는 초기국가시대에서 삼국시대 토성 터. 전라북도 김제시 월성동 성동마을 뒤에 자리한 해발 약 20여 m의 낮은 언덕에 위치한다. 월성토성이 있던 곳은 원평천(院坪川)과 금구천(金溝川)이 합류되는 동쪽에 자리하였는데, 월성평야 즉 옛 금구천 유역 가운데에서 가장 좁은 곳이기도 하였다. 이곳 구릉지대에 월성토성이 자리잡고 있었다. 월성동 월성토성 터에서는 초...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시 입석동에 있는 삼국시대 선돌. 선돌[立石]은 신석기시대와 청동기시대에 길쭉한 자연석이나 그 일부를 가공한 큰 돌을 어떤 믿음의 대상물이나 특수 목적을 가지고 세운 것으로 삿갓바위, 입석, 입암(立岩)이라고도 한다. 마을의 입석은 제사 신앙이 수반되어 마을 신앙의 대상으로 신격화되기도 하고 풍요를 기원하는 대상이 되기도 한다. 월촌입석은 예부터 마을의 경계를 표시하...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조선시대 유종숙의 묘역. 유종숙(柳宗淑)은 신녕현감을 지낸 것으로 알려져 있을 뿐 정확한 관력은 알 수 없다. 『문과방목(文科榜目)』에 나오지 않는 것으로 미루어 볼 때 문과에 급제하지는 않은 것으로 보인다.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진주유씨의 종중 묘역에는 현재 수기의 무덤이 자리하고 있다.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의 남산서원 옆으로 진주유씨...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묘라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유지화의 정려. 유지화(柳志和)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준성(俊聖), 호는 반구당(泮鷗堂)이다. 일찍이 아버지가 돌아가자 3년 동안 무덤 곁에서 움막을 짓고 정성껏 모신 다음 계모를 효로써 봉양하였다. 인조 때에 이르러 효성이 지극하다 하여 참봉 벼슬을 받았고 다시 주부에 올랐다. 이때 병자호란이 일어나 인조가 남한산성으로...
-
전라북도 김제시 월봉동에 있는 효자 윤복룡의 정려. 파평 사람인 윤복룡(尹福龍)은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모가 병을 얻어 누웠을 때 방방곡곡에 수소문하여 약을 구하는 것은 말할 것도 없고,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하는 등 병을 치료하기에 온 힘을 쏟았다. 그러나 끝내 부모가 돌아가시자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고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모셨다. 그 후로도 3년...
-
757년부터 조선시대 말까지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에 설치된 행정구역. 통일신라는 757년(경덕왕 16) 당의 방식을 따라 주·군·현 간의 영속 체계를 강화하면서 전국에 걸쳐 행정 지명을 모두 중국식 한자 지명으로 고쳤는데, 그때 내리아현(乃利阿縣)은 이성현(利城縣)으로 개칭되어 김제군의 영현(領縣)이 되었다. 『삼국사기(三國史記)』에 이성현에 대한 기록이 있으며, 김제시 공덕면...
-
전라북도 김제시 입석동에 있는 조선시대 이양묵 처 효열녀 박씨의 정려. 이양묵(李良默)은 전주 사람으로 의안대군 이화의 16세손이다. 효열녀 박씨(孝烈女朴氏)는 이양묵의 아내로서 시부모를 극진히 모셔 이웃의 칭찬이 자자하였다. 그러던 중 남편 이양묵이 죽자 박씨도 남편을 따라 죽으려 하였으나, 칠순이 넘은 시어머니와 4살밖에 안 된 아들을 생각하여 죽지 않고 부지런히 일하여 어려운...
-
전라북도 김제시 제월동에 있는 개항기 이윤기 처 효부 나주나씨의 정려. 나주나씨(羅州羅氏)는 사헌부감찰 이윤기(李潤基)의 아내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는데, 시집을 가서도 남다른 효성으로 시부모를 모셔 마을에서 많은 칭송을 받게 되었다. 부덕(婦德)을 몸소 실천하여 집안의 평안을 위하여 자신의 몸을 희생한 나주나씨의 효행을 고을 선비들이 임금께 아뢰어 정문(旌門)을 세우게 되었...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가실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효열 이천서씨의 정려. 이천서씨(利川徐氏)는 서종환의 딸로, 남편 최승국(崔乘國)이 병을 얻자 병간호를 극진히 하고 모든 정성을 다하였다. 또 시아버지가 병을 얻자 단지 수혈하였으며, 의원이 말하길 비둘기를 약으로 쓰라 하니 하늘에 축원하여 비둘기를 얻었다는 이야기가 전한다. 지극 정성이면 하늘도 감동한다는 예를 잘 보여 주고 있으며...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대석리에 있는 이천서씨 가문의 효열을 기리는 정려. 서택진의 본관은 이천(利川), 자는 덕유이다. 절효공의 후예로서 증호조판서(贈戶曹判書) 서봉정(徐鳳廷)의 아들이다. 서택진은 12세 때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예절을 다하여 장례를 치렀다. 더 자라서는 어머니가 병으로 몸져눕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마시게 하였다. 어머니 또한 세상을 떠나자 장례를 치르고 3년...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장산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장신리에 있는 고려시대 고분 유적. 장신리 유적은 금강2지구 김제1-1공구 토목 공사로 인한 문화재 조사의 일환으로 조사되었다. 유적에서는 고려시대의 토광묘(土壙墓)로 추정되는 여러 기의 장방형 유구(遺構)가 발굴되었다. 발굴된 유적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건립되었을 것으로 추정되지만, 건립 경위는 구체적으로 밝혀진 것이 없다.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장...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상신리에 소장되어 있는 한말의 문신 장태수의 유품. 장태수(張泰秀)[1841~1910]는 본관은 인동(仁同), 자는 성안(聖安), 호는 일유재(一逌齋)이다.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상신리 출신으로, 1861년(철종 12) 식년문과에 급제하고 1867년(고종 4) 양산군수를 시작으로 병조참의(兵曹參議),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동부승지(同副承旨), 경연참찬관...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고대 고분군. 고분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지칭한다. 삼국시대 백제 고분의 경우, 완전히 백제의 지배하에 들어가서는 횡구식 석실분과 횡혈식 석실분 등의 양식으로 조성하였지만, 마한의 묘제가 남아 있을 때에는 옹관묘(甕棺墓)와 분구묘(墳丘墓)의 모습을 띠었다. 장화동 고분군의 경우 현재 규모를 알 수 있는 1기는 분구묘로 추정이 되지만, 유물 등이 수습...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의 뒤주. 뒤주는 곡식을 저장하기 위한 주방용 가구이다. 크기는 쌀뒤주가 1~2가마들이로서 큰 반면, 잡곡 뒤주는 훨씬 작다. 김제시 장화동 후장마을 정종수 집 마당에 있는 쌀뒤주는 고종 임금이 즉위한 후에 제작된 것이다. 이 고장 출신인 정준섭은 조부 때부터 만석꾼 집안으로 불렸다. 당시 과객이나 식객들이 매일 수백 명씩 찾아들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장흥리에 있는 삼국시대 고분군.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장흥리에 있는 조선시대 분묘군. 조선시대의 매장 방식은 이전의 돌을 다듬어서 돌방을 만들거나 작은 할석들을 이용하던 방식과는 달리, 석회를 재료로 하여 묘곽을 만들고 나무 관에 시신을 넣어 매장하는 회곽묘(灰槨墓)를 주로 이용하였다. 장흥리 분묘군 역시 일반적인 조선시대의 매장 방식을 보여주는 회곽묘로 이루어져 있다. 장흥리 분묘군은 김제시 금산면 장흥리 은...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회룡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서원. 저산서원(楮山書院)은 김제시 공덕면 회룡리 동촌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1577년(선조 16)에 창건되었으며, 1869년(고종 6) 철폐되었다가 1904년에 다시 건립되었다. 서원의 강당은 정면 4칸, 측면 3칸의 팔작지붕 건물이다. 사당인 저산사(楮山祠)는 정면 3칸, 측면 1칸의 맞배지붕 건물이다. 저산서원에는 본관이 남평(...
-
전라북도 김제시 난봉동에 있는 효자 전기봉의 정려. 전기봉(全琪鳳)은 병조참판 전사민(全思敏)의 8세손이며, 이조참의겸동경연 전춘의(全春儀)의 아들이다. 평소 부모를 정성으로 봉양하였고, 부모가 병을 얻어 누워 있을 때는 대소변을 받아냈다. 뿐만 아니라 얼음을 깨고 잉어를 잡아 달여 드리고, 눈 속에서 죽순을 찾아 올리는가 하면, 손가락을 잘라 수혈하는 정성으로 부모를 일어나게 하...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정리에 있는 개항기 열녀 전주이씨의 정려. 전주이씨(全州李氏)는 정존혁의 아내로 집이 가난하여도 길쌈을 밤낮으로 하여 시부모를 봉양하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시아버지가 죽은 후 3년간 머리도 빗지 않고 고기를 먹지 않았으며, 아침저녁으로 상식(上食)을 빠짐없이 공손히 하였다. 또한 남편 섬기기를 하늘 같이 하였는데, 남편 정존혁이 병으로 몸져눕자 더위와 추위...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산동리에 있는 전주최씨 종중 묘역. 산동리 전주최씨 종중 묘역은 전주최씨 집성촌인 김제시 금구면 산동리 둔산마을 뒤편 구릉상의 대나무 숲에 위치하고 있다. 산동리 전주최씨 종중 묘역에는 2기의 무덤이 자리 잡고 있다. 문인석은 1기만 존재하는데 그마저도 기울어져 있다. 문인석은 얼굴이 몸에 비해 크고, 입술과 눈이 두텁게 표현되었다. 손가락은 세밀하게 표현되...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황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전주최씨 종중 묘역. 황산리 전주최씨 종중 묘역은 김제시 공덕면 황산리 산 구릉에 있다. 묘역 바로 아래에 재각이 있으며, 옆에는 황산리 문화유씨 종중 묘역이 자리하고 있다. 황산리 전주최씨 종중 묘역에는 10여 기 정도의 묘가 있는데, 그 가운데 3기의 묘 앞에 문인석이 각 한 쌍씩 세워져 있다. 문인석이 서 있는 무덤 중 2기는 나...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조선 후기 전통 가옥. 정구례 고가는 한때 구례군수를 지냈던 정준섭이 살았기 때문에 ‘정구례집’으로 널리 알려졌다. 지금은 기와로 되어 있는데 본래는 모든 건물에 초가지붕을 올렸다고 한다. 이것은 풍수지리설을 따른 것으로 조선시대 정구례 고가를 지은 사람의 꿈에 이 자리가 돼지 터였다고 하여 마치 돼지우리처럼 초가지붕을 올렸다고 한다. 정구례 고가는...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정방섭 처 열녀 광주이씨의 정려. 광주이씨(廣州李氏)는 정지형(鄭志亨)의 증손자며느리로 통덕랑 정방섭(鄭邦燮)의 아내이다. 광주이씨는 시어머니가 병으로 몸져눕자 손가락을 찢어 피를 올리는 지극한 효성을 보였다. 또한 남편이 오랫동안 병으로 고생하자 축대를 쌓아 단을 만들고 그곳에서 8년 동안 하루도 거르지 않고 하늘에게 빌었으며, 열 번이나 손가락을...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정윤교의 정려. 정윤교(鄭允喬)[1733~1821]의 본관은 동래(東萊)이고 호는 외암(畏庵)이다. 정윤교는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느 날 정윤교의 아버지가 윤씨라는 여자가 거짓말을 하여 관가에 불려가 매를 맞고 죽음을 당하였다. 윤씨는 자신의 음탕한 행실이 탄로 날까 두려워 정윤교의 아버지를 이 일에 끌어들여 모면하려는 계산...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예촌리에 있는 정국공신 황탄의 부조묘. 정의공(貞毅公) 황탄(黃坦)은 1462년(세조 8) 지금의 서울특별시 석정동에서 출생하였다. 증조부는 황희 정승이고, 조부는 경기 감사와 호조판서를 역임한 황치전으로 불의와 야합하지 않은 명문 사대부 출신이다. 조선 성종 때 등과하여 가선대부(嘉善大夫), 형조참판(刑曹參判)으로 재직하다가 연산군 때 종사가 위태로운 지경...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리에 있는 효자 정존후의 정려. 정존후(鄭存厚)의 자는 중직(重職), 호는 고암(顧庵)이다. 겨울에 아버지가 병으로 몸져눕자 정존후는 여러 방면으로 약을 구하여 지성으로 돌보았으나 별 효과를 보지 못하였다. 그러던 중 매일 천지신명께 빌었더니 하루는 우연히 한 의원이 와서 “부친의 병환에는 다른 약보다는 소의 생간을 끓여 드려야 효험이 있을 것이오.”라고...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효자 정지형의 정려. 정지형(鄭志亨)의 본관은 동래(東萊)이고, 호는 벽계(碧溪)이다. 정지형은 어려서부터 성품이 효성스럽고 남달리 총명하였는데 아버지가 병으로 몸져눕자 여러 방면으로 약을 구하고 밤에는 마당에 서서 아버지가 낫기를 하늘에 간절히 빌었다. 그러다가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모든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른 후, 3년 동안이나 곡하는 소리를 끊지...
-
전라북도 김제시 장화동에 있는 개항기 정환석 처 열녀 김제조씨의 정려. 김제조씨(金堤趙氏)는 정지형(鄭志亨)의 손자며느리로 타고난 성품이 지극히 정숙하여 규범을 잘 지켰다. 남편 진사 정환석(鄭桓奭)이 오랫동안 병으로 누워 모든 약이 소용없게 되자 손가락을 셋이나 잘라 그 피로 목숨을 이어 가게 하고, 허벅다리의 살을 베어 약을 달이니 그 정성이 하늘에 닿아 남편 정환석은 7년 동...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 조앙산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조앙사(祖仰寺)는 진묵조사(震默祖師)를 흠앙(欽仰)하는 뜻에서 진묵조사의 ‘조(祖)’자와 흠앙의 ‘앙(仰)’자를 따서 이름 지었다. 이곳 불거촌(佛居村)에서 훤당(萱堂) 조의씨(調意氏)가 진묵조사를 잉태하였을 때 인근의 산천초목이 시들어가더니 진묵조사가 출생하였다고 하여 산천의 정기를 뽑아 태어났다고 전한다....
-
전라북도 김제시 복죽동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조영립의 정려. 조영립(趙英立)의 본관은 김제, 자는 사수(士秀)이다. 선조 때 인물로 충과 효를 함께 행한 사람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효성이 지극했던 조영립은 정유년에 과거에 오르고, 무오년에 아이만호(阿耳萬戶)라는 벼슬에 올랐다. 북쪽 오랑캐들이 창칼을 앞세우고 쳐들어오자 조영립은 자원하여 군에 들어가 좌영장 김응하와 더불어 오...
-
전라북도 김제시 상동동에 있는 효자 조지식과 열부 조양임씨의 정려. 조지식(趙之植)은 본관이 함안(咸安)으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였다. 조지식은 아버지가 병을 얻어 세상을 떠나자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정성껏 돌보았는데, 매일 밤 호랑이가 나와 그를 지키니 이는 하늘이 보살피는 것이라고 사람들이 입을 모았다. 조양임씨(兆陽林氏)는 남편 조원식이 병을 얻어 위독하게...
-
전라북도 김제시 부량면 신용리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조필달의 유물. 조필달(趙必達)[1600~1664]은 본관이 김제이며 문양공(文良公) 조간(趙簡)의 11세손이다. 무과에 급제한 후 1630년(인조 8) 충좌위우부장(忠佐衛右部將)에 처음 제수되었다. 그 후 순안현령, 보성군수, 양주목사, 포도대장(捕盜大將), 전라병마절도사(全羅兵馬節度使), 삼도통제사(三道統制使) 등...
-
전라북도 김제시 옥산동에 있는 효자 조항진의 정려. 조항진(趙亢晋)의 본관은 김제이고, 자는 후재(厚齋)이며, 호는 눌헌(訥軒)이다. 어려서부터 학문이 깊고 효성이 지극했던 조항진은 부친상을 당하여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을 짓고 정성껏 돌보았다. 상복을 벗고 나서도 다시 3년 동안 매월 초하루와 보름에 거르지 않고 산소를 찾아 제사를 극진히 모셔 1892년(고종 29) 11월에...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종덕리에 있는 고대 고분. 고분이란 성토를 한 옛 무덤을 통칭하는 것이지만, 고고학 상으로 볼 때 일정한 형식을 갖추고 있는 고대 사회의 분묘 양식을 말한다. 고분의 축조 방식은 불교의 전래 이전과 이후가 많은 차이를 보인다. 불교 전래 이전에는 분묘를 축조하면서 피장자의 곁에 껴묻거리[副葬品]를 많이 묻는 반면, 전래 이후에는 불교의 화장법이 성행함에 따라...
-
전라북도 김제시 죽산면 종신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인석. 문인석(文人石)은 봉분 곁을 지키는 문관 모습의 석상을 말하며, 두 손을 공손히 모아 올려 홀을 들고 있는 자세를 취하고 있다. 정3품 이상의 관직을 지낸 사람의 무덤 앞에만 설치할 수 있다. 종신리 죽동마을 문인석의 축조 시기는 문인석의 구조와 형태로 미루어 볼 때 조선시대로 추정되지만 구체적인 경위는 밝혀진 것이 없다. 전...
-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주택과 주거지에서의 삶. 김제 지역에는 손효성 가옥, 김제 신풍동 일본식 가옥, 오영순 가옥, 최희성 가옥, 함태영 가옥, 황병주 가옥 등의 전통 가옥과 근대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가옥이 많이 남아 있다. 여기에서는 전통 가옥의 형태가 비교적 온전하게 남아 있는 김제시 장화동 후장마을의 가옥을 중심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후장마을 가옥의 평면 구성과 규모 등을 보...
-
전라북도 김제시 하동 지음마을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지음서원은 충정공 이귀(李貴)[1557~1633]·나협[1546~1632]·나수눌(羅守訥)·고봉익(高鳳翼)·나처대(羅處大)[1714~1791]·나희후(羅喜厚) 등의 위패를 배향하는 서원이다. 이귀의 호는 묵재(墨齋), 자는 옥여(玉汝),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이이(李珥)[1536~1584]와 성혼(成渾)[1535~1598]...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효자 강순기와 강준기의 쌍효각. 진주강씨 쌍효각에는 은열공(殷烈公) 강민첨(姜民瞻)의 후손인 효자 강순기(姜舜基)와 강준기(姜峻基)의 비석이 세워져 있다. 강순기의 자는 중기(重基)이며 강우문(姜遇文)의 아들이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극진하고 어버이가 병이 들자 정성으로 간호하였으나 천명이 다하여 운명하자 모든 것을 예법에 따라 장례를...
-
전라북도 김제시 봉남면 회성리에 있는 조선 후기 참봉 임공의 묘역. 회성리 참봉 임공 묘역에는 참봉 임공의 묘와 그 부인의 것으로 추정되는 묘가 나란히 자리 잡고 있다. 참봉 임공은 묘비에 홍문관교리(弘文館校理)를 지냈다고 적혀 있을 뿐 그 외 구체적인 인적 사항은 알 수 없다. 김제시 봉남면 회성리 제내마을 맞은편 구릉에 자리하고 있는데, 주변으로 과수원과 숲이 잘 어우러져 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공덕면 황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화유씨 인물 묘역. 황산리 창평현령 유공 묘역은 조선시대 창편현령과 시강원 벼슬을 지낸 두 인물과 관련한 묘를 말한다. 묘는 2기씩 쌍을 이루어 50m 간격으로 떨어져 있는데, 두 사람에 대해서는 구체적으로 알려진 것이 없다. 김제시 공덕면 공덕리에 있는 벽성대학으로 들어가는 도로 우측, 황산리의 구릉 사면 일대에 자리 잡고 있는 황...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철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한 시대의 역사. 철기시대는 대체적으로 원삼국시대 이후이다. 원삼국시대의 김제 지역에 대한 기록은 존재하지 않지만, 마한의 벽비리국(辟卑離國)으로 추정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익산 지역 일대를 포함한 건마국(乾馬國)일 가능성도 있다고 본다. 1981년 국립중앙박물관에 의해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동지산리 일대에 대한 긴급 수습조사를 하...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석교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청곡사(靑谷祠)에 모셔져 있는 주벽은 윤찬(尹燦)이고 배향인물은 박정영(朴廷榮)·백선남(白善男)·윤여임(尹汝任)이다. 윤찬은 원종공신에 파릉군(坡陵君)으로 봉해지고 사당을 세웠다. 박정영은 재종숙인 굴지당 박석정에게서 글을 배워 11세에 주역을 알고 경전과 술수에 밝았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굴지당 박석정, 김제군수 정담(鄭湛...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동곡마을 일대에 있는 조선시대 가마터. 청도리 동곡 도요지는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648번지 일대와 산256번지, 그리고 산341번지 일대에 있는 세 곳의 백자 가마터로 분산되어 있다. 시기적으로 볼 때 대체로 15세기 말에서 19세기까지 걸쳐 있는 조선시대 백자 가마터이다. 지금은 모두 형태가 파괴되어 대량의 백자편이 더미를 이루고 있다. 김제시 금...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조선시대 가마터. 청도리 백운동 도요지는 15~16세기에는 상감청자와 회청사기·분청사기 등을 생산하였으며, 이후에는 주로 백자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청도리 백운동 도요지는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백오동마을의 끝자락 남향의 산기슭에 자리 잡고 있다. 1996년 국립전주박물관에서 전라북도 지역의 조선시대 분청사기·백자 유적 현황과 관련한 사료와...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마터. 청도리 청도마을 도요지에서는 16~17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백자편과 도지미 등이 출토되었다. 또한 여러 기가 포개어져 있는 자기를 비롯하여, 자기를 구울 때 사용하는 도지미 등 다양한 유물 등이 나오고 있으며, 일부가 훼손된 상태이지만 가마의 모습도 확인되고 있다. 조선 후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 자기편의 경...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조선 후기 가마터. 청도리 청도원 도요지에서 출토되는 유물로 미루어 조선 후기인 16세기부터 17세기까지 주로 백자를 생산한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이후의 유물은 출토되지 않고 있어 18세기경에 이미 생산을 멈춘 것으로 보인다. 청도리 청도원 도요지는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화운동마을에서 시앙골[下谷]로 1㎞ 정도 들어가면 나오는데, 마을...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고려시대와 조선시대 가마터. 출토된 유물로 미루어 청도리 하운동 도요지에서는 고려 후기인 11~14세기에는 주로 청자가 생산되었으며, 18~19세기에는 백자가 생산되었을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그러나 가마터가 아니라, 생활 용기나 특수한 용도의 그릇을 사용했던 주거지로 보는 견해도 있다.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백오동 맞은편의 새로 지은 재실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에 있는 고려시대 삼층석탑.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청도리 귀신사와 가까운 밭 가운데에 있는데, 밭은 나주나씨 종중의 소유이다. 청도리 삼층석탑은 화강암으로 만들어졌으며 높이는 3.1m이다. 2층 기단(基壇) 위에 3층의 탑신(塔身)을 올린 모습이다. 아래층 기단은 전체가 4매석으로 되어 있으며 면석 부분 각 면에 2구씩의 안상(眼象) 무늬가 조각되어...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청동기를 도구로 만들어 사용한 시대의 역사. 전라북도 김제 지역의 청동기시대 역사는 관내 각지에서 청동기 유적과 유물산포지가 확인됨으로써 알 수 있다. 1974년에 전라북도 김제시 백구면 부용리 성자동에서 이형의 마제석검이 1점 수습되어, 김제시 최초로 청동기시대 유물이 확인되었다. 이후 김제시 백구면 반월리 유적에서는 청동기시대 주거지 4기와 토기요지 11...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금산리 모악산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17교구 금산사의 말사. 청룡사(靑龍寺)의 창건은 고려시대인 1079년(문종 33) 금산사 주지로 부임한 혜덕왕사(慧德王師)가 금산사를 크게 중창할 당시로 거슬러 올라간다. 당시 혜덕왕사는 금산사 중창과 더불어 모악산 내에 40여 개의 암자를 세웠는데, 이 때 청룡사의 전신인 용장사를 창건하였다고 한다. 그 뒤의 연혁은...
-
전라북도 김제시 청하면 대청리에 있는 대한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청운사(靑雲寺)는 19세기에 승려 보천이 단칸의 초가집을 짓고 주석한 것에서 시작된 이후 이곳의 샘물이 좋아서 많은 사람들이 찾게 되었다고 한다. 지금은 청운사 하소백련으로 유명하다. 전하는 말에 의하면 조선 말기 한 고승이 충청도에 있는 계룡산에서 바라보니 서광이 비치는 곳이 있어 보니, 김제평야의 모서리였다고 한...
-
전라북도 문화재자료 제136호로 지정된 금산교회(金山敎會)는 1905년 미국 선교사 테이트(Lewis Boyd Tate)가 처음 세운 뒤, 1908년 새 건물을 마련하여 지금의 자리로 옮겨 왔다. 교회 건물은 한옥으로 ㄱ자형인데 이러한 건축 구조는 남녀 신도의 자리를 분리하기 위한 것으로, 당시 남녀유별이라는 전통 사회의 관습을 해치지 않으려는 방안이었다. 1882년 조미 수호 통...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금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광두의 정려. 최광두(崔光斗)의 본관은 전주(全州)로,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다. 최광두는 아버지가 병으로 눕자 여러 방면으로 약을 구하여 봉양하였으나 위급해지자 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마시게 했다. 그러나 아버지가 세상을 떠나자, 3일간 물 한 모금도 마시지 않고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렀다. 또한 3년 동안 무덤 곁에 움막...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용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광악의 정려. 최광악(崔光岳)의 본관은 전주(全州), 호는 용와(龍窩)이다. 만육 최양(崔瀁)의 13세손이다. 최광악은 효심이 지극하여 아버지의 병이 위급하자 손가락을 잘라 피를 흘려 넣어 깨어나게 하였을 뿐만 아니라 백 리 밖에 있을 때 어머님이 위중하다는 소식을 듣고 밤길을 마다 않고 달려와 의원에게 약을 지어 회복하게 하...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성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사당. 사당은 신주를 모셔 놓은 집으로 가묘(家廟)·사우(祠宇)라고도 한다. 사당에는 아버지를 비롯하여 할아버지 그리고 증조부와 고조부의 신주를 모시는데, 신주는 보통 4대에 걸쳐 모시는 것이 관례이다. 사당을 짓는 것이 조선 중기 이후에는 사대부나 양반층에 일반화되었고, 서인(庶人)들도 이에 따랐으나 재정적인 것이 뒷받침되지 않기...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용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달호의 정려. 최달호(崔達昊)의 본관은 전주(全州)이다. 만육 최양(崔瀁)의 후손으로 어려서부터 천성이 어질고 효성이 지극하였다. 최달호의 아버지가 병으로 몸져눕자 변을 맛보아 가며 약을 쓰고 정성을 다하니, 1851년(철종 2) 3월 19일 도승지(都承旨) 김병기(金炳冀)가 왕에게 아뢰고 같은 달 27일에 예조판서(禮曹判書)...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소토리에 있는 효자 최대성의 정려. 최대성(崔大成)의 본관은 탐진(耽津)이고, 호는 상애(尙愛)이다. 최대성은 천성이 온화하고 밝고 슬기가 있었으며,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인근에 소문이 자자하였다. 집안이 가난하였으나 부모가 원하는 것은 무엇이고 다 구해다 드렸다. 그런 효심에 천지가 감동하였음인지 그의 일생에는 신기한 일이 많이 일어났다. 아버지의 병...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용지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명서의 정려. 최명서(崔命瑞)는 전주최씨 최군옥을 시조로 하고 만육 최양을 중시조로 하는 최여정 도사공파의 후손이다. 호는 낙촌으로 참봉 최응삼(崔應三)의 7세손이다. 전주최씨 도사공파는 금구면 둔산, 신흥, 광현, 용사, 용전 등지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다. 최명서는 어려서부터 남달리 총명하여 누가 가르치지 않아도 부모님을 섬...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장산리에 있는 효자 최봉의의 정려. 최봉의(崔鳳儀)는 온갖 어려움을 물리치고 바른 마음과 행동으로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여 모범이 되었다. 이러한 최봉의의 행실과 사적이 당시 여러 선비들의 글에 기록되어 있다. 이에 1892년(고종 29) 12월 조정에서는 증직 벼슬과 이름을 적은 기를 내렸다. 만경읍사무소에서 남쪽으로 난 길을 따라 우체국과 만경여...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산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식의 정려. 매촌 최식(崔湜)은 충익공 최만육의 증손이다. 부모를 기쁘게 하고자 글공부를 열심히 하여 생원·진사 시험에 급제하는 등 정성을 다하였으며, 부모가 위독하자 자신의 손끝을 잘라 피를 먹여서 수개월 동안 연명하게 하였다. 주위 사람들이 최식의 효행을 칭찬하며 조정에 알리자, 이에 조정에서는 증직 3품의 벼슬을 내리며...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산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응삼의 정려. 최응삼(崔應三)의 자는 춘향, 호는 애일당으로, 아버지는 역시 효자로 정려를 받은 최식(崔湜)이다. 최응삼은 부모님의 생일과 연중 좋은 철이나 명절이 되면 동네 사람들과 각지의 선비들을 불러 잔치를 베풀고 부모님을 위로하며 오래오래 살기를 빌었다. 행여나 부모님이 병을 걸리면 겨울에도 죽순과 잉어를 구해다 드리는...
-
전라북도 김제시 황산동에 있는 효자 최직량과 최창학의 정려. 최직량(崔直良)은 어릴 때부터 효성이 지극했는데, 중년에 아버지가 병으로 눕게 되자 정성을 다하여 약초를 구하고 한겨울에도 잉어를 원하면 얼음을 깨고 잉어를 구해 봉양하였다. 그러나 그런 보람도 없이 아버지의 숨이 넘어가자 새끼손가락을 깨물어 피를 입에 흘려 넣으니 깨어나 3일간을 더 살았다. 최직량은 아버지가 돌아가시자...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산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최화의 정려. 학은(學隱) 최화(崔和)는 어려서부터 모든 일을 어른같이 하면서 부모님 섬기기를 게을리 하지 않았고, 공부도 열심히 하였다. 어느 날 최화는 아버지가 병으로 눕게 되자 한밤중에 10리나 떨어진 깊고 깊은 산중에 있는 의원에게 약을 구하러 가게 되었다. 때는 겨울이라 눈과 바람까지 세차게 불어와 눈앞을 가리는데, 도...
-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 연고를 두고 국가나 왕을 위해 충성을 다한 인물. 유교를 국시를 삼은 조선시대에서는 행동 강령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삼강(三剛), 특히 군신과 부자와 부부 관계의 도리를 역설하였다. 그리하여 조정에서는 충(忠)·효(孝)·열(烈)을 장려하고 두드러진 행적이 있는 사람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올려 백성들의 사표로 삼았으며, 또 정려를 내려서 마을 입구에 정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월전리에 있는 조선시대 태인경씨 종중 묘역. 월전리 태인경씨 종중 묘역에는 태인경씨의 13세조 경극중(景克中)의 묘를 중심으로 그 후손들이 묘가 들어서 있다. 경극중의 호는 성재(誠齋)로, 효행으로 천거되어 청안현감을 역임하였다. 경극중의 아들 경거윤(景居倫) 역시 천거되어 낭천현감을 지냈다. 경거윤의 아들 경세성(景世誠)은 맹산현감을 지냈고, 경세성의 손자...
-
전라북도 김제시 신풍동에 있는 조선 후기 나주나씨 가문의 사당. 나주나씨(羅州羅氏)는 문중 3세대에 걸쳐 8명의 효자가 나왔다. 팔효사(八孝祠) 안에 있는 은행나무는 팔효사의 주벽 나안세(羅安世)의 부친 나보증이 어려서 심었다 하며, 나씨 문중에서 장원 급제 등 경사가 있을 때 이 은행나무에 큰 북을 달아놓고 쳤다고 한다. 또한 팔효자가 날 때는 잎만 피고 3년이 지난 뒤에야 열매...
-
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일대에 설치된 행정구역. 『삼국사기(三國史記)』에 따르면 현재 김제 지역은 삼국시대에는 백제의 영토로 당시 이곳에는 무근촌현(武斤村縣) 이외에 벽골·두내산·수동산(首冬山)·내리아(乃利阿)·구지지산(仇知只山)·야서이(也西伊) 등의 고을이 있었다고 한다. 하지만 언제부터 백제 영토였는지, 지방 행정 체제가 어떠하였는지는 잘 알 수 없다. 그중...
-
전라북도 김제시 만경읍 화포리에 있는 조선 후기 평산신씨의 충효열 정려. 평산신씨(平山申氏)는 만경의 하일도 진관포 어부의 딸[신성녀]로 태어나 농촌 출신인 경주이씨(慶州李氏) 이독금(李禿金)의 처가 되었는데, 시아버지는 맹인이었고 시어머니는 앉은뱅이였다. 또한 평산신씨는 팔자가 기구하여 남편마저 일찍 여읜 10대의 청상과부로서 시부모를 봉양하게 되었다. 그 딱한 처지를 보다 못한...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하정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원. 학당서원(學堂書院)은 임진왜란 때 순절한 인물들을 모신 서원으로, 배향 인물들은 대개 웅치전투에서 순절했거나 임진왜란에 큰 공적을 세웠다. 매년 정기적으로 제향을 올리는 사당과 유생들의 교육장소로 강당을 모두 갖추고 있는 서원이다. 사당에는 원군(原君) 안처를 비롯하여 정담(鄭湛)[1548~1592] 등 9명의 신위를 모시고...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에 있는 개항기 효자 한인열의 정려. 한인열(韓仁烈)은 집안이 무척 가난하였으나 어려서부터 부모님을 극진히 봉양하였다. 부모님이 몸져누워 약이 듣지 않을 때마다 자신이 대신 아프기를 하늘에 빌었는데, 어느 해인가 한겨울 눈 내리는 밤에 엎드려 빌며 날을 새우니 눈과 사람을 분간할 수 없었다고 한다. 또 어느 때는 손가락을 끊어 피를 드렸으나 상을 당하여...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선암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효자 한재갑과 효부 분성배씨의 정려. 한재갑(韓在甲)은 본관이 청주로,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를 잘 봉양하였다. 어느 해 어머니가 병으로 몸져누워 모든 약이 소용없자 손가락을 끊어 피를 드렸으나 어머니의 명이 다하여 세상을 떴다. 한재갑이 슬픔을 누르고 예를 다하여 장례를 치르는데, 꿈에 도사가 나타나 묏자리를 점쳐 주었다....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에 있는 조선시대 숙부인 해주오씨의 묘역. 낙성리 숙부인 해주오씨 묘역은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 신흥마을에 위치하고 있다. 김제시 금구면 낙성리 신흥마을의 보호수 바로 아래에 있는 2기의 무덤 앞에 ‘숙부인해주오씨지묘(淑夫人海州吳氏之墓)’라고 쓰인 작은 비석이 세워져 있다. 양쪽에 서로 다른 형태의 문인석이 있는데, 높이는 80㎝ 정도이다. 문인석은 전체...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고사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열녀 해주오씨의 정려. 이희섭의 처 해주오씨(海州吳氏)는 시부모 병환에 정성을 다하고, 남편 이희섭이 병들어 눕자 백방으로 약을 구해 병간호를 다하였다. 남편이 건강해야 집안이 지탱할 수 있고 자식의 교육도 바르게 할 수 있기 때문에 본인의 몸보다 남편을 위해 헌신한 것이 여러 유림들에게 감동을 주었다고 본다. 아들 이기호도 효성이...
-
전라북도 김제시 성덕면 대석리에 있는 해학 이기의 생가. 이기(李沂)[1848~1909]는 황현(黃玹)·이정직(李定稷)과 함께 호남 3절로 불렸으며, 유형원(柳馨遠)[1622~1673]·정약용(丁若鏞)[1762~1836]의 학풍을 이어받은 조선 말 실학자이자 항일 독립투사이다. 1894년(고종 31) 동학 농민 운동이 일어나자 전봉준(全琫準)[1855~1895]을 찾아가 동학군을...
-
전라북도 김제시 금구면 서도리에 있는 한국불교 태고종 소속 사찰. 1936년 3월 20일에 청신녀 전주이씨 청정월(본명 이화월)이 자손 창생을 위해 작은 불당을 지은 것이 혜봉사(慧峰寺) 창건의 효시가 되었다. 그 후 청정화의 수녀인 비구니 유정(有情)이 1967년에 유업을 받들어 어머니 차일심과 함께 중창불사를 시작하여 10여 년 만에 현재의 큰 가람으로 이룩해냈다. 1987년에...
-
전라북도 김제시 진봉면 가실리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홍간의 정려. 홍간(洪簡)의 본관은 남양(南陽)으로, 남양군 홍은열(洪殷悅)의 22세손이다. 어머니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므로 지방 유림들의 천거에 의하여 정려(旌閭)가 내려졌다. 김제향교지 정려효행편에 홍간은 “남양인으로 어머니가 병이 나자 살을 발라도 얼굴을 부드럽게 하며 병을 쾌유케 하여 정려를 받았다.”고 기록되어 있다. 김...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리에 있는 효자 홍관효의 정려. 홍관효(洪寬孝)의 자는 내옥, 호는 태모재이다. 아버지는 효자로 정려를 받은 홍수벽(洪壽壁)이다. 13세 때 어머니가 몸져누워 급히 약을 구해 돌아오는데 갑자기 천둥이 치고 폭우가 쏟아져서 다리가 무너지고 냇물이 불어났다. 도저히 건널 수가 없게 되자 홍관효는 마침 근처에 있던 소의 꼬리를 잡고 냇물을 건넜다. 그 후 아버지...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리에 있는 조선 후기 효자 홍수벽의 정려. 김제시 백산면 상리 두동은 1,100여 년 전 남양홍씨가 터를 잡고 살기 시작하여 형성된 마을로, 평소 덕을 베풀고 부모를 극진히 모셔 효성으로 나라에서 벼슬과 정문을 받은 홍수벽(洪壽壁)과 홍관효(洪寬孝), 홍재우(洪在禹) 등이 살았다. 그래서 그 후손들이 웃어른이 사는 곳이라는 뜻으로 머리 ‘두(頭)’자를 써...
-
전라북도 김제시 백산면 상리에 있는 효자 홍재우의 정려. 홍재우(洪在禹)의 자는 성규, 호는 술예이다. 할아버지 홍수벽(洪壽壁), 아버지 홍관효(洪寬孝)의 뜻을 받들어 언제나 조금의 흐트러짐이 없이 정성을 다해 부모님을 섬기어 근동 사람들로부터 큰 효자라고 찬사를 받았다. 이에 유교를 공부하는 학자들이 추천하고 관찰사가 임금에게 아뢰어, 1870년(고종 7) 조정에서 벼슬과 이름이...
-
전라북도 김제시 금산면 화율리에 있는 조선시대 백자 가마터. 화율리 상화 백자요지에서는 현재 백자편 무더기나 가마의 흔적은 찾아볼 수 없지만 밭 주변에 상당히 많은 자기편과 분청사기편들이 산재하고 있다. 마을 사람들에 따르면, 예전부터 밭에서 많은 자기와 소토들이 나왔다고 하는데, 이는 시기는 정확하지 않으나 조선 전기부터 오랫동안 자기와 관련한 시설이 있었음을 추정케 한다. 화율...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조선시대 효자 황극형의 정려. 황극형(黃克亨)의 본관은 우주(紆州), 아버지는 황여식(黃汝湜)이며, 백석(白石) 유집(柳楫)의 문인이다. 유집은 전라북도 김제시 신곡동 수곡마을에서 출생하여 처음에는 최명룡(崔命龍)에게 수학하고 이어 김장생(金長生)을 사사하여 고제가 되었다. 이후 김집·송준길·조속·송시열 등과 같이 경연관으로 강론하였고, 성리에...
-
전라북도 김제시 용지면 구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충신 황박의 정려. 황박(黃璞)의 본관은 우주(紆州), 호는 죽봉(竹峰)으로 문숙공 황거중(黃居中)의 후손이다. 황거중은 우주황씨(紆州黃氏)를 중흥시킨 인물로, 고려 말 우왕 때 이성계(李成桂)[1335~1408]와 남원 운봉 전투에서 아지발도(阿只拔都)를 무찌를 때 종사관으로 참전하여 개국 공신이 되었으며 정당문학에 발탁되었다. 충...
-
전라북도 김제 지역 출신이거나 김제에 연고가 있는 사람으로서 부모를 효성으로 극진하게 봉양한 인물. 유교(儒敎)를 국시를 삼은 조선시대에서는 행동 강령의 가장 기본이 되는 삼강(三剛), 특히 군신과 부자와 부부 관계의 도리를 역설하였다. 그리하여 조정에서는 충(忠)·효(孝)·열(烈)을 장려하고 두드러진 행적이 있는 사람은 『삼강행실도(三綱行實圖)』에 올려 백성들의 사표로 삼았으며,...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에 있는 대한불교 조계종 제17교구 본사 금산사의 말사. 흥복사(興福寺)는 1954년 불교 정화 운동 때 임시 조계종 전북종무원으로 약 1년간 교단의 행정본부가 되었으며, 1961년에는 승려 월주(月珠)가 금산사와 흥복사의 주지를 겸임하면서 전라북도 지역 불교 정화 운동의 핵심 구실을 담당하였다. 650년(의자왕 10) 고구려에서 온 보덕(普德)이 창건하여 처...
-
전라북도 김제시 흥사동 흥복사에 있는 조선 후기 삼존불상. 흥복사는 650년(의자왕 10)에 고구려에서 온 보덕(普德)이 창건한 사찰로 승가사라고도 불렸다. 여러 차례 중건과 중수를 거듭하다가 정유재란 때 불타 없어진 것을 1625년(인조 3) 김제에 살던 흥복처사(興福處士)가 기원도량으로 삼아 극락전을 중건하고 흥복사라 개칭하였다고 한다. 대웅전에는 목조삼존불좌상이 있고, 관음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