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의 근대 유학자 이경균의 문집. 이경균(李璟均)[1850~1922. 10. 9]의 자는 성오(星五), 호는 계헌(稽軒),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아버지는 이규성(李圭性)이고, 어머니는 야성 송씨(冶城宋氏) 송응도(宋應度)의 딸이다. 사미헌(四未軒) 장복추(張福樞), 고헌(顧軒) 정래석(鄭來錫)에게 수학하였다. 장석영(張錫英) 등...
-
경상남도 거창군 박유산 자락에 은거하였던 조선 초기 문신 이지활(李智活)의 시문집. 이지활(李智活)[1434~?]은 한양 출신으로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망기(忘紀), 호는 고은(孤隱)이다. 아버지는 이조 판서·대제학을 지낸 이비(李棐)이다. 성품이 단정하고, 총명하여 일찍이 학업에 뜻을 두어 14세에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18세에 문명으로 추천되어 운봉...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당동 일대에 살았던 조선 후기 유학자 서숙의 문집. 서숙(徐䎘)[1595~?]의 본관은 원주, 혹은 이천 두 가지 설이 있다. 호는 고정(古亭), 자는 홍거(鴻擧)이다. 1595년(선조 28)에 태어나 1616년(광해군 8)에 증광시(增廣試) 진사 3등(三等)으로 급제하였다. 출생지와 이력 및 사망 연도는 알려지지 않았다. 다만 미수 허...
-
경상남도 거창군에 살았던 조선 시대 학자 변벽의 시문집. 변벽(卞璧)[1483~1528]의 자는 헌지(獻之), 호는 구산(龜山). 본관은 초계(草溪)이다. 좌승지(左承旨) 춘당(春堂) 변중량(卞仲良)의 5세손이며, 증조할아버지는 변을명(卞乙明), 할아버지는 변효생(卞孝生)이고, 아버지는 변신보(卞申甫), 어머니는 동래 정씨(東萊 鄭氏)이다. 3세 때 아버지를...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출신 근대 유학자 정지선의 문집 정지선(鄭趾善)[1839.11.3~1897.11.15]의 자는 약중(若仲), 호는 긍재(兢齋)·입암(立巖), 본관은 동래(東萊)이다. 아버지는 운곡(篔谷) 정종덕(鄭宗悳)이고, 어머니는 선산 김씨(善山金氏) 김환(金瓛)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에서 태어났다. 성재(性齋) 허전(許傳)·고헌(顧軒)...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 유학자 최학렬의 문집. 최학렬(崔鶴烈)[1868.1.18~1917.4.30]의 자는 중건(仲健), 호는 눌헌(訥軒), 본관은 흥해(興海)이다. 할아버지는 최대기(崔大基), 아버지는 최장한(崔章漢)이고, 어머니는 거창 유씨(居昌劉氏) 유시묵(劉時黙)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장항리(獐項里)에서 태어났다. 8세에 계초(鷄樵)...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 유학자 최훈교의 문집. 최훈교(崔薰敎)[1882.10.18~1956.1.25]의 자는 치숭(致崇), 호는 동산(東山), 본관은 경주이다. 증조할아버지 최호(崔灝)는 통덕랑(通德郞)을 지냈다. 할아버지 강재(江齋) 최광술(崔光述)이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녹동(鹿洞)으로 이거하였다. 아버지는 최명신(崔命臣)이고, 어머니 진양 강씨(晉...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출신 조선 후기 유학자 이지유의 문집 이지유(李之裕)[1773~1840]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사후(士厚), 호는 동호(東湖)이고, 이안소(李安素)의 아들이다. 『숭정사기묘식 사마방목(崇禎四己卯式司馬榜目)』[국립 중앙 도서관, 일산古6024-35]에 1819년(순조 19)에 기묘(己卯) 식년시(式年試) 진사 3등 8위로...
-
경상남도 가북면 용산리 출신의 조선 시대 문신 문위의 시문집. 문위(文緯)[1554~1631]의 본관은 남평(南平)이며, 자는 순부(純夫), 호는 모계(茅溪)이다.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문산두(文山斗)이며, 어머니는 함양 선교랑(咸陽 宣敎郞) 오세평(吳世平)의 딸이다. 어려서는 아버지에게 배웠고 이후 조식(曺植), 오건(吳健), 정구(鄭逑)에게서 배웠다...
-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의 조선 전기 문신 표빈의 유고집. 표빈(表贇)[1486~1563]의 본관은 신창(新昌)이고 자(字)는 수연(粹然), 호는 모재(茅齊)이다. 할아버지는 사복시 정(正) 표위산(表偉山)이고, 아버지는 참봉 표정명(表貞命)이며, 어머니는 사간(司諫) 배언도(裵彦道)의 딸이다. 일두 정여창과 한훤당 김굉필에게 수학하였다. 정여창과 김굉필은 표빈이...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 유학자 김석규의 문집. 김석규(金碩奎)[1884.3.12~1964.6.2]의 자는 한서(漢瑞), 호는 몽헌(蒙軒), 본관은 김해(金海)이다. 할아버지 김한주(金翰柱)가 경상남도 고성군에서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텃골[基里]로 이거하였다. 아버지는 김병우(金炳禹)이고, 어머니는 거창 신씨(居昌慎氏) 신기목(慎基穆)의 딸이다. 거창군...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출신의 조선 후기 유학자 이현복의 문집. 『미계유고(渼溪遺稿)』는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출신의 선비 이현복의 문집으로, 1969년 조카 이주영(李柱永)이 편집하여 석인본(石印本)으로 간행하였다. 이현복(李鉉馥)[1810.1.9~1865.6.10]의 자는 현부(見夫), 호는 미계(渼溪),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리에 고가를 둔 동래 정씨 판결사공 정응두, 산수정공 정형초, 수재공 정수연의 행적을 기록한 책. 『산수정연방록(山水亭聯芳錄)』은 개인 집안의 출판물로서 소재가 불분명하다. 집안의 사람들이 주로 나누어 가진 것으로 보이는데 현재는 그 원본을 찾을 수 없고 다만 거창 문화원에서 발간[2000]한 『향유집과 향토 사료』에 그 내용이 소개...
-
경상남도 거창군 일부리 부산 마을 출신 근현대 유학자 최진환의 문집. 최진환(崔震煥)[1886~1968]은 경상남도 거창군 일부리 부산 마을에서 아버지 최학동(崔鶴東)과 성산 이씨 사이에서 1886년에 태어났다. 호는 삼호당(三乎堂), 본관은 흥해(興海)다. 경술 국치 후 식음을 전폐하기도 하였으며, 거창 안의[지금의 경상남도 거창군 마리면·위천면·북상면 지역...
-
1804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이자 의병장인 성팽년의 문집. 성팽년(成彭年)[1540~1594]은 본관은 창녕(昌寧). 자는 이옹(頤翁), 호는 석곡(石谷)이다. 아버지는 교위(校尉) 성한량(成漢良)이다. 1564년(명종 19) 사마시에 합격하여 성균관 유생으로 있었다. 1569년(선조 2) 아버지의 상 이후 관직에 대한 뜻을 버리고 오...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 출신 유학자 박정래의 문집. 박정래(朴廷來)[1861.2.11~1907.6.23]의 자는 극첨(極瞻), 호는 성천(醒泉), 본관은 밀성(密城)이다. 아버지는 박영휘(朴永輝)이고, 어머니는 개성 왕씨(開城王氏) 왕일도(王馹道)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지산리에서 태어났다. 교우(膠宇) 윤주하(尹冑夏)에게 수학하였고, 유간(...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사병리 당동 마을 출신 유학자 오병권의 시문집. 『송포문집(松圃文集)』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사병리 당동(唐洞) 마을 출신 오병권의 시문집으로, 오병권이 죽은 후 둘째 아들 오환숙(吳煥淑)이 1990년 영일 인쇄사에서 영인 간행한 책이다. 거창 지역의 역사와 학문을 연구하는 데 중요한 자료다. 오병권(吳秉權)[1896.4....
-
개항기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 유학자 변효석(卞孝錫)의 문집. 변효석[1851.1.2.~1906.11.7.]의 자는 사영(士永), 호는 수가재(守可齋),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고조할아버지 변사룡(卞師龍)은 황고(黃皐) 신수이(愼守彝)에게 수학하고, 역천(櫟泉) 송명흠(宋明欽)을 종유(從遊)[학식이나 덕행이 높은 사람을 좇아 함께 지냄]하였다. 아버지는 쌍가(雙可...
-
조선 전기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연안 이씨 입향조 이계준의 문집. 이계준(李繼俊)[1490~1558])은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자영(子英), 호는 쌍청당(雙淸堂)이다. 이구령(李九齡)의 아들로 문장이 뛰어나고 효행이 있었다. 1522년(중종 17) 임오(壬午) 식년시(式年試)에 생원 3등으로 급제하였으나, 당시 사화가 자주 일어나자 대과 응시를 포기하고...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신복명의 시문집. 신복명(愼復明)[1734~1815]의 본관은 거창이며 할아버지는 신제(愼梯), 아버지는 신수침(愼守沉)이다. 어려서부터 영특하며 효도와 우애의 도리를 알았고, 재종숙인 황고(黃皐) 신수이(愼守彛)의 각별한 사랑을 받았다. 위기지학에 열중하였으며 칠서 주해(七書註解)를 모두 스스로 초록하여...
-
1908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리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이자 의병장 유중룡의 시문집. 유중룡(柳仲龍)[1558~1635]은 본관은 문화(文化)이며, 자는 여견(汝見), 호는 어적산인(漁適散人)이다. 아버지는 승지(承旨)에 추증된 유유춘(柳有春)이며, 어머니는 청주 경씨(淸州慶氏) 경지(慶祉)의 딸이다. 어려서는 가학으로 배우다가 자라서는 오건(吳健)에게...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강천리 출신의 조선 전기 학자 정유명의 문집. 정유명(鄭惟明)[1539~1596]은 본관은 초계(草溪). 자는 극윤(克允), 호는 역양(嶧陽)이다. 할아버지는 확계(蠖溪) 정옥견(鄭玉堅)이고, 아버지는 진용교위(進勇校尉)·증 좌승지(贈左承旨) 정숙(鄭淑)이다. 갈천(葛川) 임훈(林薰) 문하에 유학하였으며, 옥계(玉溪) 노진(盧禛)을 종유...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의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출신 유학자 추교면의 문집. 추교면(秋敎勉)[1879.5.~1940.10.21.]의 자는 희백(希伯), 호는 오천(吾川), 본관은 추계(秋溪)이다. 아버지는 추성엽(秋成燁)이고, 어머니는 경주 이씨(慶州李氏)이다. 부인은 진양 강씨(晉陽姜氏)이다. 교유(膠宇) 윤주하(尹冑夏), 면우(俛宇) 곽종석(郭鍾錫) 등에게...
-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의 조선 후기와 개항기 유학자 표응기, 표상규, 표동화 3대의 유고집. 표응기(表應基)[1783.12.23~1865.윤5.26]의 자는 평수(平叟), 호는 계은(溪隱), 본관은 신창(新昌)이다. 증조할아버지 표징태(表徵泰)는 1738년에 송시열(宋時烈)과 송준길(宋浚吉)의 문묘 배향을 소청했다. 아버지는 모암(茅菴) 표이문(表以文)이고, 어...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에서 살았던 근대의 유학자 강우영의 문집. 강우영(姜友永)[1862.2.27~1939.12.16]의 자는 신천(信千)·경익(景益), 호는 온재(溫齋)이고, 본관은 진양(晉陽)이다. 7세조 강성룡(姜成龍)이 경상남도 진주에서 경상남도 고성군 거류면 용산리로 이거하였다. 증조할아버지 강계주(姜啓周)는 용양위 부호군(龍驤衛副護軍)을 지냈다. 아...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대산리 출신 근대 유학자 김진채의 문집. 『외암유고(畏庵遺稿)』는 김진채(金鎭采)[1871.3.7~1950.12.25]의 문집으로, 1968년 조카 김창식(金昌埴)이 발문을 붙여 석인본으로 간행하였다. 김진채의 자는 성범(聖範), 호는 외암(畏庵), 본관은 일선(一善)이다. 강호산인(江湖散人) 김숙자(金叔滋)[1389~1456...
-
조선 전기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출신 유학자 신권의 문집. 신권(愼權)[1501~1573]의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언중(彦仲), 호는 요수(樂水)이다. 선교랑(宣敎郞) 훈도(訓導)를 지냈다. 아버지는 승훈랑 신우맹(愼友孟)이며, 어머니는 팔계 정씨이다. 부인은 은진 임씨(恩津 林氏)로 지평에 증직된 진사 석천(石泉) 임득번(林得蕃)의 딸인데 갈천 임훈과 첨...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임석형의 시문집. 임석형(林碩馨)[1751~1816]의 본관은 은진(恩津), 자는 원경(遠卿), 호는 용암(龍巖)이다. 선대에 임득번, 갈천 임훈, 첨모당 임운 등이 있으며 매헌(梅軒) 임상권(林尙權)의 아들이다. 지기(志氣)가 굳었고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남을 돕기를 좋아하였다. 수승대에 퇴계 명명 지대,...
-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의 조선 시대 문신 조경의 시문집. 『용주선생유고(龍洲先生遺稿)』는 총23권이며, 8책 본과 12책 본으로 된 것이 전해진다. 서문과 발문이 없고, 각 권의 목록만 존재한다. 현재 서울 대학교 규장각 한국학 연구원과 국립 중앙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조경(趙絅)[1586~1669]의 본관은 한양(漢陽)이며, 자는 일장(日章)...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최해두의 시문집. 최해두(崔海斗)[1668~1740]의 자는 두남(斗南), 호는 우계(愚溪)이다. 본관은 경주(慶州)이며, 아버지는 종모당 최윤정(崔胤貞)이다. 어려서는 가정에서 배웠고 자라서는 김천일과 이백매에게서 배웠으며 이대재, 김방경, 이현원, 이사응, 문천한 등과 교유하였다. 1721년(경종 1) 신축(辛...
-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출신의 근대 유학자 도재균의 문집 필사본. 도재균(都宰均)[1863.11.21~1942.10.28]은 자가 응규(應奎), 호는 우천(尤川),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아버지는 도병석(都炳奭)이고, 어머니는 파평 윤씨(坡平 尹氏) 윤장옥(尹章玉)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구사리에서 태어났다. 항재(恒齋) 송호곤(宋鎬坤)...
-
근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 유학자 김회석의 문집. 김회석(金會錫)[1856.8.29~1934.4.27]의 자는 봉언(奉彦), 호는 우천(愚川), 본관은 일선(一善)이다. 할아버지는 도와(道窩) 김병의(金秉義), 아버지는 오우재(五友齋) 김시후(金時煦)이고, 어머니는 한양 조씨(漢陽 趙氏) 조성태(趙性泰)의 딸이다. 외가인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면호(綿湖)에서 태...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의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 출신 유학자 성태영의 문집. 성태영(成台榮)[1879.3.22~1951.6.7]의 자는 이상(而尙), 호는 우포(愚圃),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16세조 성삼귀(成三龜) 때부터 거창 지역에 살았다. 할아버지 덕암(德菴) 성필진(成必鎭)은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올랐고, 아버지는 서정(西亭) 성인팔(成麟八)이고, 어머니 밀양...
-
경상남도 거창군 위천면 황산리 출신 조선 후기 학자 신필희의 문집. 신필희(愼必嬉)[1771~1835]는 어려서는 집안에서 가학(家學)으로 학문을 배웠고, 나이가 들어서는 오촌(鰲村) 송치규(宋穉圭)에게서 학문을 배워 이이, 김장생의 학문을 계승하였다. 성격이 소탈하고 분방하여 음식이나 의복에 구애받지 않았고 일생 동안 학문 탐구에 힘썼다. 특히 예서(禮書)에...
-
경상남도 거창군 웅양면 동호리 출신 관료·학자 이현구의 문집. 이현구(李鉉九)[1856.2.18~1944.4.4]의 자는 우건(禹建), 호는 웅계(熊溪), 본관은 연안(延安)이다. 아버지는 경회당(景晦堂) 이준형(李浚馨)이고, 어머니는 남평 문씨(南平文氏) 문경목(文敬穆)의 딸이다. 친아버지는 이준옥(李浚玉)이고, 친어머니는 합천 이씨(陜川李氏) 이재동(李再東...
-
1842년에 간행된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의 조선 후기 문신 전팔고의 시문집. 전팔고(全八顧)[1540~1612]의 본관은 죽산(竹山)이며, 자는 경필(景弼), 호는 원천(原泉)이다. 할아버지는 전맹언(全孟彦), 아버지는 전확(全擴)이다. 어려서는 할아버지에게 가학(家學)으로 배웠고 자라서는 덕계 오건(吳健), 내암 정인홍(鄭仁弘)에게 배웠다. 문인으로는 문위(文緯...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출신 조선 후기 유학자 박희전의 문집 박희전(朴熙典)[1803.2.1~1888.4.10]의 자는 문칙(文則), 호는 유간(酉澗),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5대조 박태웅(朴泰雄) 때부터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양항(梁項)에서 살기 시작했다. 고조할아버지 박정(朴貞)은 무신란 때 창의했고, 할아버지 박경대(朴慶大)는 성담(性譚) 송환기(宋...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출신 유학자 박종필의 문집. 박종필(朴鍾弼)[1849.6.7~1898.8.6]의 자는 치량(致良), 호는 율재(栗齋), 본관은 밀양(密陽)이다. 할아버지는 진사에 합격한 유간(酉澗) 박희전(朴熙典)이고, 아버지는 박두재(朴斗在)이다. 어머니는 반남 박씨(潘南朴氏) 박희순(朴熙純)의 딸이다. 부인은 상산 김씨(商山金氏) 김기하(金琪河)의...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출신 유학자 최원근의 문집. 최원근(崔元根)[1850.5.24.~1923.5.1.]의 초명은 상근(尙根), 자는 달선(達善), 호는 이산(二山)이며, 본관은 화순(和順)이다. 할아버지 최진대(崔鎭大)는 동몽 교관(童蒙敎官)에 추증되었고, 아버지 최규순(崔奎淳)은 선공감 감역(繕工監監役)을 지냈다. 어머니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홍재서(洪...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기리 출신 조선 후기 학자 이일협의 시문집. 이일협(李逸協)[1750~1808]은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기리에서 태어나서 선비로서 살다가 58세의 일기로 세상을 떠났다. 이일협은 수양(修養)된 사람, 군자다운 사람, 부끄러움을 아는 사람, 지나친 욕심이 없는 사람이 되고자 하였다. 또한 의리를 아는 사람을 특히 존중하는 선비였다. 이일...
-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박명직의 문집. 박명직(朴命稷)[1781~1852]의 본관은 밀성(密城)이며, 자는 명여(命汝), 호는 전호(箭湖)이다. 고조할아버지인 박태웅(朴泰雄) 때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로 이거하였다. 할아버지는 박윤복(朴胤福), 아버지는 박경대(朴慶大)이다. 일찍이 아버지를 여의고 홀어머니 슬하에서 자랐다....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의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출신 유학자 최효근의 문집. 최효근(崔孝根)[1872.3.24~1948.5.24]의 자는 공선(孔善), 호는 정강(靜岡), 본관은 화순(和順)이다. 할아버지 최진대(崔鎭大)는 효성으로 동몽교관(童蒙敎官)에 추증되었고, 아버지 최규순(崔奎淳)은 선공감 역(繕工監 役)을 지냈다. 어머니 남양 홍씨(南陽洪氏)는 홍재서(洪在瑞)의...
-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 출신의 조선 후기 학자 최윤정의 시문집. 최윤정(崔胤貞)[1630~1684]의 본관은 흥해이며 자는 복원(復元), 호는 종모당(終慕堂)이다. 원래 최산랑(崔山蓈)의 아들로 태어났으나 단양 군수를 지낸 최후원(崔後遠)의 양자가 되었다. 1663년(현종 4) 계묘(癸卯) 식년시(式年試)에 생원 3등으로 급제하였으며 하겸진, 배계헌, 송존양,...
-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 조선 전기 문신인 조숙의 문집. 조숙(曺淑)[1504~1582]은 조선 전기 문신으로 휘는 숙(淑), 자는 선경(善卿), 호는 죽헌(竹軒)이며, 본관은 창녕(昌寧)이다. 아버지는 현신 교위(顯信 校尉) 조승노(曺承老)이며 문행(文行)으로 훈도(訓導)가 되었다. 어머니는 강양(江陽) 이계보(李季寶)의 딸이다. 석천(石泉) 임득번(林得蕃)에게...
-
경상남도 거창군 북상면 갈계리 출신 유학자 임운의 시문집. 임운(林芸)[1517~1602]의 자(字)는 언성(彦成), 호(號)는 첨모당(瞻慕堂), 본관은 은진(恩津)이다. 아버지는 임득번(林得蕃)으로 경상북도 안동에 거주했다. 임운은 사서와 『근사록(近思錄)』, 『심경(心經)』, 『역경(易經)』 등을 공부하였는데 특히 『역경』에 능하였다. 또한 천문, 지리,...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용산리 출신의 조선 후기 문인이자 학자 정필달의 시문집. 정필달(鄭必達)[1611~1693]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겸(士兼), 호는 팔송(八松)이며. 아버지는 정준(鄭浚)이다. 어려서는 전여이(全汝怡)에게 배웠고, 이후 문경진·박능허·조정립·정온(鄭蘊)·조경(趙絅) 등의 문하에서 수학하였다. 1633년(인조 11) 생원이 되었고...
-
경상남도 거창군 신원면 출신 유학자 도진기의 문집. 도진기(都鎭基)[1877.10.2~1933.윤5.17]의 자는 사겸(士謙), 호는 해거(海居), 본관은 성주(星州)이다. 조식(曺植)의 문인인 도희령(都希齡)[1539~1566]의 후손으로, 할아버지는 연와(蓮窩) 도병석(都炳奭)이고, 아버지는 뇌산(雷山) 도석균(都碩均)이며, 어머니는 의성 김씨(義城金氏)...
-
경상남도 거창군 출신 조선 후기의 학자 윤동야의 문집. 윤동야(尹東野)[1757~1827]는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양항리 살목 마을 출신의 학자다.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성교(聖郊), 호는 소심(小心)·현와(弦窩)이며, 부친은 윤석로(尹碩老)이다. 최흥원(崔興遠), 정종로(鄭宗魯), 이만운(李萬運) 등에게 학문을 배워 학문과 문장으로 이름을 떨쳤으나,...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출신 전병식의 문집. 전병식(全秉湜)[1883~1966.1.21.]의 자는 도일(道一), 호는 회산(晦汕), 본관은 죽산(竹山)이다. 아버지는 전동철(全東喆)이고, 어머니는 광주 노씨(光州盧氏) 노롱(盧瀧)의 딸이다.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월전에서 태어났다. 젊은 시절에 가북면 면장을 지냈으나 곧 사임하고 두문불출하며 벗들과 학문을 토...
-
개항기와 일제 강점기에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에서 활약한 유학자 강인수의 문집. 강인수(姜寅洙)[1875.6.15.~1943.6.14.]의 자는 경부(敬夫), 호는 후남(后南), 본관은 진양(晉陽)이다. 할아버지 청은(聽隱) 강세순(姜世淳) 때부터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에서 살았다. 아버지는 강기찬(姜琦鑽)이고, 어머니는 전주 이씨(全州李氏) 이혁규(李爀圭)의 딸이다....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이지유(李之裕)[1773~1840]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자는 사후(士厚)이며, 호는 동호(東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춘원(李春原)이고, 할아버지는 이우성(李遇成)이다. 아버지는 이안소(李安素),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李氏)이다. 부인은 정경(鄭儆)의 딸 팔계 정씨(八溪鄭氏)이다. 이지유는 1773년(영조 49) 12월...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최해두(崔海斗)[1668~1740]의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두남(斗南), 호는 우계(愚溪)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최응참(崔應參)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최유성(崔有聲)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 최후원(崔後遠)이며, 아버지는 종모당(終慕堂) 최윤정(崔胤貞)이다. 어머니는 처사(處士) 김보(金堡)의 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