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임진왜란 때 초유사로 거창을 방문한 문신. 본관은 의성(義城)이며 자(字)는 사순(士純)이고 호는 학봉(鶴峯)이다.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고조할아버지는 부지승문원사(副知承文院事) 김한계(金漢啓)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성균 진사(成均進士) 김만근(金萬勤)이다. 할아버지는 김예범(金禮範)이며, 아버지는 성균 생원(成均生員) 김진(金璡)이다. 어머니 여흥 민씨(驪興閔氏)이다...
-
조선 전기 거창 출신의 문신. 김신옥(金信玉)[1534~1598]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공서(公瑞), 호는 쌍봉(雙峰)이다. 할아버지는 사헌부 집의(司憲府執義) 김적(金磧)이고, 아버지는 부호군(副護軍) 김세염(金世琰)이다. 어머니는 진사 전식(全軾)의 딸인 정선 전씨(旌善全氏)이다. 부인은 참봉 정사현(鄭師賢)의 딸인 진주 정씨(晉州鄭氏)와 참판에 추증된 신...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신. 김천일(金千鎰)[1622~1696]의 본관은 선산(善山)이며, 자는 백강(伯剛), 호는 송천(松川)이다. 고조할아버지는 김언평(金彦平)이고, 증조할아버지는 훈련원 부정(訓鍊院副正) 김응복(金應福)이다. 할아버지는 참봉(參奉) 김식(金湜)이고 아버지는 참봉(參奉) 김중기(金重器)이다. 어머니는 충의위(忠義衛) 이용(李蓉)의 딸인 연안 이씨(延...
-
1862년 거창 지역을 포함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난 농민 항쟁. 임술 농민 항쟁은 삼정의 문란과 지배층의 과도한 수탈로 인해 1862년 2월 진주와 이웃한 단성현에서 시작된 이후 경상도, 전라도, 충청도의 삼남 지방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일어났다. 거창에서도 삼정의 문란으로 불만을 품은 농민들이 거창 부사 황종석(黃鍾奭)이 진주 항쟁을 살피러 떠나 자리를 비운 사이에 봉기하였다. 1...
-
1728년(영조 4) 3월 20일 정희량이 거창 일대에서 일으킨 난. 1728년(영조 4)에 노론 정권에 불만을 품은 소론 과격파와 남인들이 연합하여 영조와 노론을 제거할 목적으로 전국적인 규모로 기병(起兵)을 한 사건이다. 무신년에 일어나 무신란(戊申亂)이라 하거나, 이인좌(李麟佐)의 난이라고도 한다. 정희량(鄭希亮)의 난은 1728년 3월 20일 안음현에서 난을 일으킨 정희량과...
-
1647년(인조 25) 거창 지역에서 발생한 노비의 주인 살해 사건. 1647년 8월 경상도 거창 사람 최후원(崔後遠)이 그의 노(奴) 명상(命詳) 등 4인에게 살해를 당한 사건이다. 이는 강상 윤리를 어긴 죄로 법에 따라 삼성추국(三省推鞫)이 이루어졌다. 삼성추국이란 의정부와 사간원 그리고 의금부 관원들이 참석하여 추국을 하는 것을 말한다. 노비가 주인을 살해한 사건은 『조선왕조...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신. 문위(文緯)[1554~1631]의 본관은 남평(南平), 자는 순보(順甫), 호는 모계(茅谿)이다. 할아버지는 현감(縣監)을 지낸 문웅(文雄)이고, 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문산두(文山斗)이다. 어머니는 선교랑(宣敎郞) 오세평(吳世平)의 딸 함양 오씨(咸陽吳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참봉(參奉) 이덕유(李德裕)의 딸 성산 이씨(星山李氏)이...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형제 문인. 박재혜(朴載惠)[1840~1907]와 박재필(朴載弼)[1846~1916]의 본관은 밀성(密城)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박치상(朴致尙)이며 할아버지는 박한식(朴漢植)이다. 아버지 박혁환(朴爀煥), 어머니는 오만선(吳萬善)의 딸 함양 오씨(咸陽吳氏)이다. 박재혜의 자는 성첨(聖瞻), 호는 유산(儒山)이다. 부인은 두 명으로 첫 번째 부인은 김...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초계(草溪)이고, 자는 명숙(明叔)이다. 아버지는 변희숙(卞希璹)이다. 부인은 일선 김씨(一善金氏)로 김익(金翼)의 딸이다. 변혼(卞渾)[1559~1626]은 1559년(명종 14)에 경상남도 거창군 주상면에서 태어났다. 9세에 학산(學山) 문산두(文山斗)에게서 학문을 배웠다. 20세 때에 책을 읽으면서 여가 시간에 무예를 익혔다....
-
경상남도 거창군 가북면 중촌리에 있는 바위. 임진왜란 당시 거창의 피난민들과 그들을 도와주는 이현계의 전설이 내려오고 있는 바위이다.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가조·가북에 살던 하빈 이씨(河濱李氏), 선산 김씨(善山金氏), 상산 김씨(商山金氏), 흥해 최씨(興海崔氏), 죽산 전씨(竹山全氏), 밀양 변씨(密陽卞氏), 함종 어씨(咸從魚氏), 남평 문씨(...
-
조선 전기 거창 출신의 문인.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이옹(頤翁), 호는 석곡(石谷)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통정대부(通政大夫) 영해 도호부사(寧海都護府使) 성이건(成以乾)이며, 할아버지는 중훈대부(中訓大夫) 위원 군수(渭原郡守) 성윤동(成允仝)이고, 아버지는 병절교위(秉節校尉) 성한량(成漢良)이다. 어머니는 팔계 정씨(八溪 鄭氏)로 장사랑(將仕郞) 정형(鄭浻)의 딸이다. 부인...
-
경상남도 거창군 남상면 전척리에 있는 자연 마을.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이 발생하였다. 이때 왜적들이 마을로 침입을 하려는 것을 알고 마을 사람들이 마을 앞 냇가 버들숲에 많은 짚신을 걸어 놓고 위장하여 왜적의 침입을 막았다고 한다. 왜적들이 많은 짚신을 보고 마을에 군사들이 많이 주둔하였다고 생각하여 마을로 들어오지 못하였다는 이야기가 전해지고 있다. 이러한...
-
조선 전기 경상남도 거창 출신의 문인. 안빈낙도하며 학문과 교육에 힘썼으며 구연 서원(龜淵書院)에 배향된 거창 출신의 선비이다.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자는 언중(彦中)이며, 호는 요수(樂水)이다. 할아버지는 진사(進士) 신영수(愼榮壽)이며 아버지는 승훈랑(承訓郞) 신우맹(愼友孟)이다. 어머니는 팔계 정씨(八溪鄭氏)로, 통정대부(通政大夫) 창원 부사(昌原府使) 정옥형(鄭玉衡)의...
-
조선 전기 거창 출신의 문신.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호는 경재(景齋)이다. 할아버지는 한성 부윤(漢城府尹) 증이조판서(贈吏曹判書) 신인도(愼仁道)이고 아버지는 우찬성(右贊成) 아림 부원군(娥林府院君) 양열공(襄烈公) 신이충(愼以衷)이다. 어머니는 정경부인(貞敬夫人) 순창 설씨(淳昌薛氏)로 설회(薛懷)의 딸이다. 부인은 정경부인 남양 홍씨(南陽洪氏)로 공조 전서(工曹典書) 홍사원...
-
조선 후기 무신란 때에 공을 세운 경상남도 거창 출신의 의병.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자는 남거(南擧), 호는 남강(南岡)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제용감 직장(濟用監直長) 신선명(愼善明)이고 할아버지는 신경기(愼慶祺)이다. 아버지는 신시중(愼時中)이며, 어머니는 팔거 도씨(八莒都氏)로 도진국(都鎭國)의 딸이다. 부인은 두 명으로 첫 번째 부인은 하빈 이씨(河濱李氏)로 이보(李普)의 딸...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신복진(愼復振)[1536~1619]의 본관은 거창(居昌), 호는 야천(夜川)이다. 할아버지는 승훈랑(承訓郞) 신우맹(愼友孟)이며, 아버지는 요수(樂水) 신권(愼權)이다. 어머니는 진사(進士) 임득번(林得蕃)의 딸 은진 임씨(恩津林氏)이다. 부인은 이소백(李小白)의 딸 연안 이씨(延安李氏)이다. 신복진은 1536년(중종 31)에 경...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신복행(愼復行)[1533~1624]의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성지(盛之), 호는 청송당(聽松堂) 또는 청송(聽松)이다. 할아버지는 승훈랑(承訓郞) 신우맹(愼友孟)이며, 아버지는 요수(樂水) 신권(愼權)이다. 어머니는 진사(進士) 임득번(林得蕃)의 딸 은진 임씨(恩津林氏)이다. 부인은 홍순(洪純)의 딸 남양 홍씨(南陽洪氏)이다....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신수이(慎守彛)[1688~1768]의 본관은 거창(居昌), 자는 군서(君敍), 호는 취한당(就閑堂)이다. 황고(黃皐) 선생이라고도 한다. 할아버지는 신경호(慎景昈)이며, 아버지는 신부(慎桴)이다. 어머니는 통정대부(通政大夫) 문송(文頌)의 딸 남평 문씨(南平文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이광익(李光益)의 딸 증숙부인(贈叔夫人) 경주 이씨(慶州...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자는 회숙(晦叔)이며 호는 운호(雲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신수검(愼守儉)이다. 신수검에게는 아들이 없어, 신수이(慎守彛)의 둘째 아들인 노산(老山) 신도명(愼道明)을 양자로 삼았으며, 신도명이 신필희의 할아버지가 된다. 아버지는 통덕랑(通德郞) 신성중(愼性中)이며, 어머니는 탐진 안씨(耽津 安氏)로 안세언(安世彦)의 딸이다....
-
일제 강점기 거창에서 활동한 문인. 신희성(慎熙晟)[1874~1945]의 본관은 거창(居昌)이고, 자는 문여(文汝), 호는 초헌(蕉軒)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신유성(愼惟誠), 증조할아버지는 신수행(愼脩行)이다. 할아버지는 신영채(愼永采)이며, 아버지는 신종장(愼宗璋)이다. 어머니는 하택동(河宅東)의 딸 진양 하씨(晉陽河氏)이다. 부인은 서해규(徐海奎)의 딸 달성 서씨(達城...
-
조선 초까지 합천에 존재했던 거창의 월경지. 월경지(越境地)는 비입지(飛入地) 또는 비지(飛地)라고도 하였다. 『대동여지도』에 섬처럼 보이는 각 읍의 월경지는 소속 읍의 구역 안에 있거나 붙어 있지 않고, 중간에 끼여 있는 다른 읍의 영역을 넘어 따로 위치하였다. 그리하여 가까운 읍의 통치를 받지 않고 멀리 떨어진 소속 읍의 지배를 받았다. 940년(태조 23)을 전후하여 9주 5...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오정민(吳貞敏)[1785~1840]의 본관은 함양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오찬식(吳燦寔), 증조할아버지는 오윤(吳潤)이다. 할아버지는 가남재(伽南齋) 오대인(吳大仁)이다. 아버지는 오명상(吳命祥)이며, 어머니는 이수남(李壽南)의 딸 사천 이씨(泗川李氏)이다. 부인은 김억안(金億安)의 딸 김해 김씨(金海金氏)이다. 오정민은 1785년(...
-
고려 시대 거창 지역에 설치된 특수 행정 구역. 우거향(亏居鄕)은 고려 시대에 거창 지역의 임내(任內) 중 한 곳이었다. 임내란 속현(屬縣)과 향(鄕)·소(所)·부곡(部曲) 등을 말한다. 고려 시대에 임내가 분포되어 있는 지역은 대동강에서 원산만을 잇는 이남 지방, 즉 과거 통일 신라의 영역에 한정되어 있었다. 양계 지방은 고려의 북진책에 의해 확장된 지역인데다가 국방...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의병장. 윤경남(尹景男)[1556~1614]의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자는 여술(汝述), 호는 영호(瀯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사간(司諫) 윤경(尹耕)이고 할아버지는 회령 판관(會寧判官) 윤삼빙(尹三聘)이다. 아버지는 윤은신(尹殷臣), 어머니는 호군(護軍) 이효원(李孝元)의 딸 숙부인(淑夫人) 완산 이씨(完山李氏)이다. 부인은 이몽룡(李夢龍)의 딸...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윤동야(尹東野)[1757~1827]의 본관은 파평(坡平)이고 자는 성교(聖郊)이다. 호는 처음에는 소심(小心)이었으나 후에 현와(弦窩)로 바꾸었다. 아버지는 윤석로(尹碩老)이며, 어머니는 최형석(崔衡錫)의 딸 월성 최씨(月城崔氏)이다. 첫 번째 부인은 류인로(柳仁老)의 딸 문화 류씨(文化柳氏)이며, 두 번째 부인은 정시형(鄭始亨)의 딸 동래...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윤주하(尹胄夏)[1846~1906]의 본관은 파평(坡平)이며 자는 충여(忠汝)이고, 호는 교우(膠宇)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윤목(尹楘)이고 할아버지는 윤진옥(尹振玉)이다. 아버지는 윤흠도(尹欽道)이며, 생부는 윤흠도의 동생인 윤문도(尹文道)이다. 어머니는 상산 김씨(商山金氏)이다. 윤주하는 1846년(헌종 12) 4월 8일에 경상남...
-
조선 전기 거창에서 활동한 문인. 이계준(李繼俊)[1490~1558]의 본관은 연안(延安)이며, 자는 자영(子英), 호는 쌍청당(雙淸堂)이다. 할아버지는 좌리공신(佐理功臣) 연안군(延原君) 이숭원(李崇元)이고, 아버지는 현감 이구령(李九齡)이다. 어머니는 첨절제사(僉節制史) 한숙신(韓淑臣)의 딸이다. 부인은 김신흠(金愼欽)의 딸이다. 이계준은 1490년(성종...
-
조선 후기 거창 지역에서 활동한 문인. 이동승(李東昇)[1786~1863]의 본관은 완산(完山)이다. 조선 태종(太宗)의 아들 양녕 대군(讓寧大君)의 후손이다. 을사사화(乙巳士禍)를 피해 집안 전체가 거창부(居昌府) 양항리(梁項里) 양촌(陽村)으로 이주하였다. 고조할아버지는 이기상(李基祥), 증조할아버지는 이석지(李碩枝), 할아버지는 이홍(李泓), 아버지는 이양도(李陽肇...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이일협(李逸協)[1750~1808]은 『주역』을 공부하며, 집안 선현들의 이야기를 편찬, 저술하는 데 평생을 보낸 거창 출신의 문인이다. 이일협의 본관은 하빈(河濱), 자는 이택(而宅), 호는 이와(螭窩)이다. 증조할아버지는 백회공(百悔公) 이개(李蓋)이며, 아버지는 이광하(李光河)이다. 어머니는 이기현(李基玄)의 딸 연안 이씨(...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이지유(李之裕)[1773~1840]의 본관은 연안(延安)이고, 자는 사후(士厚)이며, 호는 동호(東湖)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춘원(李春原)이고, 할아버지는 이우성(李遇成)이다. 아버지는 이안소(李安素), 어머니는 성산 이씨(星山李氏)이다. 부인은 정경(鄭儆)의 딸 팔계 정씨(八溪鄭氏)이다. 이지유는 1773년(영조 49) 12월...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이헌(李巘)[1607~1684]의 본관은 성주(星州)이며, 자는 이앙(而仰), 호는 운산(雲山)이다. 이지활(李智活)의 6세손이다. 이지활은 수양 대군(首陽大君)이 단종의 왕위를 찬탈하였다는 소식을 듣고 즉시 벼슬을 사직하고 거창에 있는 박유산(朴儒山) 속에 은거하였다. 그 이후로 후손들이 거창에서 살게 되었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의안(李義安...
-
조선 전기 거창을 방문했던 학자. 조선 전기 유학자 퇴계 이황은 거창을 방문해 여러 일화를 남겼다. 이황(李滉)[1501~1570]의 본관은 진보(眞寶)이고, 자는 경호(景浩), 호는 퇴계(退溪)·퇴도(退陶)·도수(陶叟)이다. 시호는 문순(文純)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이정(李禎)이고 할아버지는 이계양(李繼陽)이다. 아버지는 이식(李埴), 어머니는 박치(朴緇)의 딸이다. 첫...
-
조선 후기 거창에 우거하였던 문인. 장복추(張福樞)[1815~1900]의 본관은 인동(仁同)이고 자는 경하(景遐), 호는 사미헌(四未軒)이다. 여헌(旅軒) 장현광(張顯光)의 8대손이다. 아버지는 사인(士人) 장굉(張浤)이며, 3세 때 할아버지인 각헌(覺軒) 장주(張儔)의 명으로 큰아버지 장관(張寬)에게 입양되었다. 1831년(순조 31)에 황호선(黃浩善)의 딸 장수 황씨...
-
조선 전기 거창 출신 의병. 장응린(張應獜)[?~1592] 가계에 대한 기록은 현재 남아 있지 않아 확인할 수 없다. 하지만 정경운(鄭慶雲)이 쓴 『고대일록(孤臺日錄)』에서는 송암(松庵) 김면(金沔)이 의병을 모집할 때, 동생인 장응사(張應獅)와 함께 의병에 참가하였다는 기록과 모계(茅谿) 문위(文緯)의 『모계집(茅谿集)』에서 장응사가 정유(丁酉)년에 일어난 전투에서 전...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전팔고(全八顧)[1540~1612]의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경필(景弼), 호는 원천(原泉)이다. 할아버지는 생원(生員) 전맹언(全孟彦)이다. 아버지는 선무랑 용궁 훈도(宣武郞龍宮訓導) 전확(全擴)이고, 어머니는 여우문(呂遇文)의 딸 성산 여씨(星山呂氏)이다. 부인은 참봉(參奉) 최삼(崔滲)의 딸 양천 최씨(楊川崔氏)이다. 전팔고는 자식...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전팔급(全八及)[1542~1613]의 본관은 죽산(竹山), 자는 경추(景追), 호는 원계(原溪)이다. 전팔고(全八顧)의 종제(從弟)이다. 상세한 가계는 알 수 없다. 전팔급은 1542년(중종 37)에 경상남도 거창군 가조면에서 태어났다. 벼슬을 단념하고 성리학에 몰두하여 그 학문이 깊었다. 남명(南冥) 조식(曺植), 덕계(德溪)...
-
조선 전기 거창 출신의 의병장. 정응두(鄭應斗)[?~1592]의 본관은 동래(東萊), 호는 추경(樞卿)이다. 아버지는 정붕(鄭鵬)이다. 정응두는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리에서 태어났다.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거창에서 의병을 일으켰다. 1592년(선조 25)에 구로다 나가마사[黑田長政]가 이끄는 왜군이 김해성을 함락하고 경상 우병사(慶尙右兵使) 유숭인(柳崇仁)...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신. 정필달(鄭必達)[1611~1694]의 본관은 진주(晉州), 자는 사겸(士兼), 호는 팔송(八松)이다. 증조할아버지 정방(鄭房)이 창녕조씨(昌寧曺氏) 조언명(曺彦明)의 딸에게 장가 들었는데, 처가에 대를 이를 자손이 없자 외손 봉사를 위해 거창에 정착하게 되었다. 할아버지는 헌릉 참봉(獻陵參奉) 정대하(鄭大夏)이며, 아버지는 정준(鄭浚), 어...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정형진(鄭滎振)[1673~1728]의 본관은 동래(東萊)이고, 자는 여기(汝起), 호는 평암(平巖)이다. 아버지는 정시좌(鄭時佐)이며, 어머니는 별제(別提) 김연(金延)의 딸 의성김씨(義城金氏)이다. 부인은 신석문(辛碩文)의 딸 영산신씨(靈山辛氏)이다. 정형진은 1673년(현종 14)에 경상남도 거창군 남하면 무릉리에서 태어났다....
-
조선 전기 거창에서 강학 활동을 했던 학자. 조식(曺植)[1501~1572]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건중(楗中), 호는 남명(南冥), 시호는 문정(文貞)이다. 아버지는 승문원 판교(承文院判校) 조언형(曺彦亨)이며, 어머니는 이국(李菊)의 딸 인주 이씨(仁州李氏)이다. 조식은 1501년(연산군 7)에 경상남도 합천군 삼가면에서 태어났다. 조식은 51세...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최윤정(崔胤貞)[1630~1684]의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복원(復元), 호는 종모당(終慕堂)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장사랑(將仕郞) 군자감 참봉(軍資監參奉) 최의(崔漪)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최응참(崔應參)이다. 할아버지는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최유성(崔有聲)이며, 아버지는 군수(郡守) 최후원(崔後遠)이다. 생부는 통정(通...
-
조선 후기 거창 출신의 문인. 최해두(崔海斗)[1668~1740]의 본관은 흥해(興海), 자는 두남(斗南), 호는 우계(愚溪)이다. 고조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최응참(崔應參)이며, 증조할아버지는 사재감 첨정(司宰監僉正) 최유성(崔有聲)이다. 할아버지는 군수(郡守) 최후원(崔後遠)이며, 아버지는 종모당(終慕堂) 최윤정(崔胤貞)이다. 어머니는 처사(處士) 김보(金堡)의 딸...
-
조선 전기 거창 출신의 역관. 표헌(表憲)[1545~?]의 본관은 신창(新昌)이고, 자는 숙도(叔度)이다. 증조할아버지는 표위산(表偉山), 할아버지는 표정명(表貞命)이다. 아버지는 모재(茅齋) 표빈(表贇)이며, 어머니는 진주 강씨(晉州姜氏)이다. 부인은 임춘(林春)의 딸 회진 임씨(會津林氏)이다. 표헌은 1545년(인종 1)에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서변리 모...
-
경상남도 거창군 거창읍 송정리에 있는 승강기 대학교. 승강기 수요자 중심의 맞춤형 교육 실천, 학생 친화적 교육 환경 조성으로 글로벌 인재 양성, 전문 직업인으로 육성하는 것과 소질 개발로 국가 산업 발전에 이바지, 창의롭고 책임감 있는 인재 양성으로 승강기 미래 선도를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2009년 8월 21일 교육 과학 기술부로부터 한국 승강기 대학교로 설립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