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800669 |
---|---|
한자 | 曺尙治 |
영어공식명칭 | Cho Sangchi |
이칭/별칭 | 자경(子景),정재(靜齋),단고(丹皐),충정(忠貞)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강원도 철원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한성주 |
출생 시기/일시 | 미상 - 조상치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419년 - 조상치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재감주부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424년(세종6) - 조상치 좌정언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455년(단종3) - 조상치 집현전부제학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455년(세조원년) - 조상치 예조참판을 사직하고 철원 초막동에 은거 |
추모 시기/일시 | 1791년 - 조상치 단종의 무던인 장릉에 안장 |
출생지 | 영천 - 경상북도 영천시 |
묘소|단소 | 어방리 -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어방리 |
사당|배향지 | 구은사 - 강원도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대표 관직 | 예조참판|집현전부제학 |
[정의]
조선 전기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하자 강원도 철원 지역에 은거하였던 문신.
[가계]
조상치(曺尙治)[?~?]의 본관은 창녕(昌寧)이고 자는 자경(子景), 호는 정재(靜齋)·단고(丹皐),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전객령 조수(曺隨)이고, 할아버지는 좌정승 조익청(曺益淸)이다. 아버지는 강계병마사 조신충(曺信忠)이며, 어머니는 판서 최중연(崔仲淵)의 딸 영천최씨(永川崔氏)이다. 부인은 목사 김천일(金千鎰)의 딸 의성김씨(義城金氏)이고, 아들은 조변흥(曺變興)·조변륭(趙變隆)·조변안(趙變安)·조변강(曺變康)·조변정(曺變正)·조변옹(曺變雍)이다.
[활동 사항]
조상치는 야은(冶隱) 길재(吉再)의 문하에서 학문을 배웠고, 1419년(세종1) 증광문과에 장원급제하여 사재감주부가 되었다. 1424년 좌정언에 임명되어 집현전에서 지냈고, 세종·문종·단종 3대를 섬겨 성삼문(成三問)·박팽년(朴彭年)과 더불어 총애를 받았다.
1455년(단종 3) 집현전부제학에 발탁되었고, 수양대군이 왕위를 찬탈한 뒤 예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사직하고 김시습(金時習)·박제(朴濟)·박도(朴渡)·박규손(朴奎孫)·박효손(朴孝孫)·박천손(朴千孫)·박인손(朴璘孫)·박계손(朴季孫)과 함께 철원에 은거하였다. 조상치 등은 김화의 초막동에 숨어 「자규사(子規詞)」를 지어 부르며 세조의 왕위 찬탈을 규탄하고 단종의 죽음을 애도하였다. 조상치는 이후 고향인 영천으로 돌아가 은거하며 후학을 양성하였다.
[학문과 저술]
조상치의 저서는 사망하기 전 모두 불태워 전하지 않는다. 관련 저서로는 후손인 조석우(曺錫雨)가 1854년(철종 5) 간행한 『정재실기(靜齋實記)』가 있다.
[묘소]
조상치의 묘소는 경상북도 영천시 대창면 어방리에 있다.
[상훈과 추모]
조상치는 1791년(정조 15) 단종의 무덤인 장릉(莊陵)에 안장되었다. 조상치의 묘비에는 “노산조 부제학 조상치의 묘[魯山朝副提學曺尙治之墓]”라고 새겨 세조의 신하가 아님을 밝히며 충절을 기렸다. 조상치는 철원군 근남면 사곡리에 있는 구은사(九隱祠)에 배향되었고, 구은사에서는 매년 조상치 등 구의사(九義士)의 충절을 기리는 제례를 올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