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이었던 상마가산, 중마가산, 하마가산 및 송정리의 마가산의 ‘가’자와 송정리의 ‘송’ 자를 합하여 가송리(佳松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가송리의 개설 과정에서 가송리의 한자명 중 ‘가’의 본래 한자인 ‘가(駕)’가 좋지 않다고 하여 ‘가(佳)’로 고쳤다. 조선 시대에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가전리 상백 마을 앞에 있는 바위. 조선 명종(明宗) 때의 명신(名臣) 김충갑(金忠甲)과 아들 김시민(金時敏) 장군이 유년 시절에 살던 곳에 있는 바위이다. 천안시에는 거북 바위라는 이름을 가진 바위가 이곳 외에도 병천면 도원리, 수신면 발산리에 있다. 조선 시대에 상백 마을에 아호가 구암(龜岩)인 김충갑이 살았다 하여 마을 앞에...
-
충청남도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아산시 인주면 대응리에서 삽교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곡교천(曲橋川)은 삽교천 수계의 본류인 삽교천으로 유입되는 제1 지류로서 전체 구간이 국가 하천, 지방 1급 하천 및 지방 2급 하천으로 구성되어 있다. 천안 지역에 해당하는 구간은 지방 1급 하천과 지방 2급 하천으로 지정되었다. 지방 1급 하천인 곡교천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대평리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인 곡대천(谷大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 제2 지류 병천천에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 유역 면적은 미상이며, 길이는 768m이다. 곡대천의 시점은 대평리 66-1번지이고, 종점은 대평리 339-1번지이다. 곡대리를 흐르는 하천이라 하여 곡대천이라 부른다. 하천이 흐르는 마을이 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산성리를 연결하는 터널. 곡두(曲頭) 터널을 지나는 도로는 지방도 629호선이다. 지방도 629호선은 산성리에서 곡두 고개에 개설된 곡두 터널을 통해 광덕리로 연결되며, 광덕면과 풍세면의 중앙부를 남서~북동 방향으로 지나 풍세면의 북부에서 다른 도로에 연결된다. 곡두 고개를 관통하는 터널...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시민들의 보건·휴양·놀이 등을 위하여 설치한 시설이나 공공 녹지. 천안시에 분포하는 공원(公園)은 총 248개소이다. 이를 세부적으로 보면, 도시 자연 공원 구역 4개소, 근린공원 72개소, 어린이 공원 158개소, 주제 공원 4개소, 소공원 10개소로 구성되어 있다. 또한 천안시의 공원 총 248개 중 조성된 것은 140개소이고, 미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봉정리에서 발원하여 탄원리에서 탑원리 경계 병천천에 합류하는 지방 2급 하천. 광기천(廣基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41.15㎢이며, 하천 연장은 11.4㎞, 유로 연장은 10.1㎞이다. 광기천의 지류로는 소하천인 늑대골천, 여수골천, 돌묵이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수철리, 대거리, 내산리, 곡도치, 안심대, 목과동, 검단리, 어인동, 만복동 일대에 있는 광덕산의 이름을 따서 광덕리(廣德里)라고 하였다. 조선시대에 천안군 원일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천안군 원일면 수철리, 대거리, 내산리, 곡도치, 안심대, 목과동, 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법정면. 광덕면은 천안시의 남서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운당리·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유천리·원성리·영당리 등과,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수철리, 아산시 송악면 강당리 등과, 남쪽으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 공주시 정안면 산성리·문성리·태성리·인풍리·사현리 등과, 북쪽으로는 풍세면...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두 개 이상의 도로가 엇갈리는 곳. 천안시 도로 시설의 하나인 교차로는 시가지 내외의 주요 간선 도로들 간의 교차 지점마다 설치되어 있다. 그 중에서 동(洞) 지역 시가지 내의 주요 교차로에 한정해서 구·동별 분포와 거리수별 분류를 각각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동남구의 경우 신부동에 역말 오거리·천안로 사거리·터미널 사거리·방죽...
-
충청남도 천안시에 개설되어 있는 도로, 철도 및 교량 시설과 그의 활용. 천안시에 개설되어 있는 도로는 국도, 지방도, 시도, 시의 시도[도시 계획 도로] 및 농어촌 도로를 모두 합하여 1,835개 노선에 연장(延長)이 74만 9670.31m로 나타나고 있다. 이 중 포장도의 비율은 77.06%에 이른다. 천안시의 도로 가운데 노선 수 기준으로 가장...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운용리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인 군단천(軍丹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에 유입하는 지류 하천이다. 군단천의 유역 면적은 32,806㎡, 길이는 2,000m이다. 시점은 운용리 114번지이고, 종점은 운용리 399-3번지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군단리, 삼용리, 심곡리, 납안리 일부를 병...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행암리 시루개 마을에 있는 바위. 낙수암(落水巖)이 있는 시루개 마을은 행암리의 서부에 있는데, 마을의 서쪽에는 광덕산이 있고, 북쪽에는 행암 고개가 있다. 마을의 동쪽에서는 녹동천 상류부의 지류 하천들이 구릉성 산지의 곡간(谷間)을 흐르고 있다. 큰 바위가 누워 있는 사이로 개울물이 폭포처럼 흐른다 하여 낙수암이라 불렀다고 전해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소동면 난산리와 남관리 및 군남면 공사동을 병합하면서 남관리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남관(南館)’이라는 지명은 고려 태조 왕건이 천안에 도독부를 두고, 군사를 양성시키고 주둔시키는 군사 기지 기능의 관(館)을 둔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소정면 지역이었는...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서리에 있는 바위. 남산 바위는 군서리의 남산(南山)에 있다. 남산은 직산현 터[직산현 관아 터] 남동쪽에 있으며, 해발 고도는 108m 이다. 바위가 남산에 있어서 남산 바위라 불렸다. 남산 바위는 남산암(南山岩), 휴유암(鵂鶹岩) 또는 부엉 바위라고도 불린다. ‘휴유’는 부엉이의 한자어이다. 남산 바위의 명칭 유래와 관련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도촌과 납안리(納安里) 중 납안리의 명칭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도촌과 납안리를 통폐합하면서 납안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납안리로, 1991년에 충청남...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송연리에서 발원하여 병천면 송정리에서 병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녹동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의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18.71㎢이며, 하천 연장은 8.5㎞, 유역 연장은 8.53㎞이다. 녹동천으로 흘러드는 제4 지류로는 팔골천, 화계천, 삼한천, 방말1천이 있으며, 제5 지류로 화계천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원일면의 상덕암리, 하덕암리, 석실리, 이화동 및 원이면 대추원 중 대추원의 ‘대’ 자와 상하덕암의 ‘덕’ 자를 따서 대덕리(大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천안군 원일면 및 원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원일면의 상덕암리, 하덕암리, 석...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대티리, 초정리, 마산리 및 하대티리 중 대티리의 ‘대’ 자와 초정리의 ‘정’ 자를 따서 대정리(大井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남면 대티리, 초정리, 마산리 및 하대티리를 통폐합하여 대정리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에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조선 시대 행정 구역인 천안군 원이면 대평리가 천안군 광덕면 대평리로 변경되면서 ‘대평리’라는 명칭이 그대로 유지된 데서 유래한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이면 대평리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천안군 원이면 대평원, 피덕리, 취성리를 통폐합하여 대평리라 칭하고 충청남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대산리, 소평리, 대야리 및 곡간리 중 대야리의 ‘대’ 자와 소평리의 ‘평’ 자를 따서 대평리(大坪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북면 대산리, 소평리, 대야리 및 곡간리를 통폐합하여 대평리를 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화전리, 대초리, 수신면 현암리, 운곡리, 송정리 중 대초리의 ‘대’ 자와 화전리의 ‘화’ 자를 따서 대화리(大花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현 세성면과 청주군 수신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세성면 화전리 일부, 대초리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송평리, 신흥리, 대양리 및 세성면 화전리 중 대양리의 ‘대’ 자와 신흥리의 ‘흥’ 자를 따서 대흥리(大興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남면 송평리, 신흥리, 대양리의 일부, 화전리의 일부를 통...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인 도촌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64,747㎡이고, 길이는 2,500m이다. 시점은 납안리 523번지이고, 종점은 납안리 53번지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도촌과 납안리 일부를 병합하여 납안리라 하고 북면에 편...
-
충청남도 천안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동남구(東南區)는 천안시의 동남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충청북도 진천군 진천읍·문백면과 충청북도 청원군 오창면, 서쪽으로는 천안시 서북구 부성동, 성정동, 백석동, 쌍용동 및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송악면, 남쪽으로는 충청남도 공주시 유구읍·정안면,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소정면·전동면과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북쪽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인 죽계리, 두지동 및 석우리 중 두지동의 일부 자구를 따서 두남리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소동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천안군 소동면 죽계리, 두지동 및 석우리를 통폐합하여 두남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풍세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과 성환읍에 있는 평야. 마루들은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수헐리·삼은리·부송리·자은가리·상덕리 및 성환읍 매주리 일대의 평야이다. 마루들의 한복판을 성환천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관통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직산읍 수헐리의 시름새 마을 앞에 있는 큰 들로 인근에서 가장 큰 들이라 하여 마루들이라 불렸다고 한다. ‘마루’는 15세기에 ‘...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요방리에 있는 국립 묘원(國立墓園). 국립 망향의 동산은 해외에 이주해 살면서 연고지가 없거나 조국에 묻히기를 원하는 1백만 해외 동포를 위한 국립 묘원으로서 1976년에 개설되었다. 국립 망향의 동산 안에는 묘역 이외에도 위령탑과 대한 항공 희생자 위령탑, 재일 교포 조림지 등이 있다. 망향의 날로 정해져 있는 매년 10월 2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당하리, 자매곡, 대흥리, 상금곡, 중금곡 및 하금곡 중 자매곡의 ‘매’ 자와 당하리의 ‘당’ 자를 따서 매당리(梅堂里)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천안군 원일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매당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매당리, 송정리, 송현리, 운계리 및 구항리 중 매당리의 ‘매’ 자와 송정리와 송현리의 ‘송’ 자를 따서 매송리(梅松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매송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되었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내명덕리, 외명덕리, 구동 및 사창리 중 내명덕리와 외명덕리의 ‘명덕’을 따서 명덕리(命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내명덕리와 외명덕리라는 지명은 동네 앞에 있는 명덕 바위에서 따온 것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명덕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명덕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인 명덕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38,777㎡, 길이는 2,450m이다. 시점은 명덕리 471번지이고, 종점은 명덕리 715번지이다. 명덕리를 흐르는 하천이어서 명덕천이라 했다. 명덕리는 동네 앞에 명덕 바위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자오곡, 하쌍령리 및 야동을 병합하면서 무학산의 이름을 따서 무학리(舞鶴里)라 하였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무학리를 개설하여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광덕면 무학리로, 1991년에 충청남도 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 지역인 토정리와 웅리에 고운 대나무가 있다고 하여 미죽리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소동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토정리와 웅리가 병합되어 미죽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풍세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풍세면 미죽리로, 1...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부피가 매우 큰 돌. 천안시에는 곳곳에 바위가 분포해 있는데, 3개의 장군(將軍) 바위, 낙수암(落水岩), 거북 바위, 남산(南山) 바위, 행암(杏岩) 바위 등이 대표적이다. 3개의 장군 바위는 모두 동남구 광덕면에 있는데, 구체적으로 광덕리 안산 마을 북쪽 광덕산 동측 사면, 광덕리 안산 마을 서남쪽 광덕산 남측 사면 및 매당리 북서쪽...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발산리, 중발산리, 하발산리의 이름을 따라 발산리(鉢山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 지역으로, 1906년 칙령 제49호로 지방 행정 구역 편제 변경 때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수신면 상발산리, 중발산리, 하발산리, 상...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백인동의 ‘백’ 자와 증자동의 ‘자’ 자를 따서 백자리(百子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 지역으로, 1906년 행정 구역 변경 때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수신면 백인동, 전촌, 증자동, 한신리, 상발리 일부를 통폐합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대평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청원군 강내면 석화리와 강외면 궁평리 경계에서 미호천에 합류하는 하천. 병천천(竝川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366.63㎢이며, 하천 연장은 47.30㎞, 유로 연장은 46.75㎞이다. 병천천은 소하천인 곡대천, 군단천, 도촌천, 전곡천, 양곡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성주리, 개천동, 세곡리, 양지리, 능산리, 보산원, 광티, 원이면 용정리를 병합하여 보산원리(寶山院里)라고 한 데서 유래한다. 보산원은 조선 시대에 이곳에 설치된 원(院) 이름인데, ‘보산’은 세조 때 사람 오자경(吳子慶)의 군호인 보산군(寶山君)에서 유래한 것이다. 조선시대에 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보성리, 신기리, 원서면 점촌, 용문리 중 보성리(寶城里)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본래 보성리라는 지명은 들에 있는 보뜸이 큰 장마로 인하여 영성 북쪽에 새 터를 잡고 옮겨, 붓들과 영성의 이름을 딴 데서 유래했다고 한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대동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시 통폐합 대상인 조양리, 봉학리, 봉유리, 대사동, 율리, 수신면 봉서리 일부를 통폐합 할 당시 ‘봉’ 자가 있는 마을의 ‘봉’ 자와 조양리의 ‘양’ 자를 따서 봉양리(鳳陽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봉양리를 개설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법정면. 북면은 천안시의 중동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병천면 봉정리·매성리·병천리·가전리,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갈월리·대문리 등과, 서쪽으로는 입장면 호당리, 성거읍 천흥리, 목천읍 석천리·서흥리·동리·동평리 등과, 남쪽으로는 병천면 가전리, 성남면 화성리, 목천읍 운전리·동평리 등과, 북쪽으로는 입장면 도림리·양대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상사리와 사담리(沙潭里) 중 사담리의 이름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사담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사담리로, 1991년에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사담리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송전리에서 발원하여 운전리와 북면 연춘리 경계에서 병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산방천(山方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31.67㎢이며, 하천 연장은 8.8㎞, 유로 연장은 11.61㎞이다. 산방천의 지류로는 소하천인 원석천·마검천·상역골천·천성천·동...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삼태리, 학계리, 원당리 중 삼태리의 이름을 따서 삼태리(三台里)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는 들인데 고려 시대의 삼태사가 태어난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삼태사는 전성안(全成安), 이숭인(李崇仁), 전윤장(全允藏)의 세 명을 일컫는다 한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서면 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합 대상인 상량리, 만지리, 동곡리 및 문현리 중 상량리의 ‘상’ 자와 동곡리의 ‘동’ 자를 따서 상동리(上東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상동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
충청남도 천안시에 속하는 행정 구역. 서북구(西北區)는 천안시의 북서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경기도 안성시 서운면, 충청북도 진천군 백곡면,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아산시 탕정면·음봉면·둔포면, 남쪽으로는 천안시 동남구 신안동·문성동·중앙동·봉명동·일봉동·신방동, 아산시 배방읍, 북쪽으로는 경기도 평택시 팽성읍·가천동, 안성시 공도읍·미양면 등과 각각 접하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병천리에서 발원하여 병천리와 탑원리의 경계에서 광기천에 합류하는 하천. 서원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광기천의 지류 하천으로, 유역 면적은 5.57㎢이며, 하천 연장은 3.9㎞, 유로 연장은 9.95㎞이다. 서원천으로 유입하는 지류로는 선발천이 있다. 서원천의 시점은 병천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정곡리, 석천리, 도모리, 평리, 대양리, 세성면 용산리, 봉명리 중 석천리의 ‘석’ 자와 정곡리의 ‘곡’ 자를 따서 석곡리(石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남면 정곡리, 석천리, 도모리, 평...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법정면. 성남면은 천안시의 남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수신면 장산리·신풍리·해정리·백자리 등과, 서쪽으로는 목천읍 천정리·도장리·소임리,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고등리 등과,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의면 관정리·신정리·노곡리,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일리 등과, 북쪽으로는 목천읍 신계리·운전리, 북면 상동리, 병천면 거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업성동에서 발원하여 성환읍에서 안성천에 합류하는 하천. 성환천은 안성천 수계의 본류인 안성천의 제1 지류로서 유역 면적은 83.24㎢이며, 하천 연장과 유로 연장은 모두 16㎞이다. 성환천으로 흘러드는 제2 지류로는 소하천인 부대천, 업성천, 신당천, 역전천, 신월천, 송기천, 수헐천, 광주천, 송곡천, 개방천, 신용천, 지방 2급 하천...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작은 저수지. 천안시에 축조되어 있는 농업 기반 시설은 2012년 현재 20개의 저수지와 54개의 소류지(沼溜池)로 구성되어 있다. 천안시의 소류지는 1종과 2종 중에서 전부 2종에 해당된다. 천안시 소류지의 개요를 보면, 준공 수혜 면적 6.929㎢, 2012년 현재 수혜 면적 5.69㎢, 유역 면적 43.22㎢, 총저수량...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과 경기도 평택시 및 경기도 안성시 일대에 있는 평야. 소사들은 천안시 서북쪽 경계부인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신가리·와룡리·안궁리와 경기도 평택시 가림동 및 팽성읍 평궁리, 경기도 안성시 공도읍 중복리 일대의 연접 지역에 형성된 평야이다. 소사들의 한복판을 북서~남동 방향으로 성환천이 관통하고 있다. 들이 있는 곳이 조선 시대에 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속계리의 ‘속’ 자와 사창리의 ‘창’ 자를 따서 속창리(涑創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이었는데, 1906년 지방 행정 구역 편제 때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속창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수신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 있는 평야 쇠머리 논이 있는 매당리는 광덕면 북서쪽 경계부에 있는 지역으로서 매당 1리, 매당 2리, 매당 3리 및 매당 4리로 구성되어 있다. 쇠머리 논은 매당 3리의 당하(堂下) 마을 일대에 형성된 평야로, 쇠머리 들 아래쪽을 북동~남서 방향으로 풍세천이 지나고 있다. 논이 쇠골 마을 입구에 있어서 ‘쇠머리 논’이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면. 수신면은 천안시의 남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는 병천면 탐원리·용두리·송정리,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사정리 등과, 서쪽으로는 성남면 대화리·봉양리 등과, 남쪽으로는 세종특별자치시 전동면 봉일리,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장동리 등과, 북쪽으로는 성남면 화성리, 병천면 가전리·병천리·탑원리 등과 각각 접하고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지산리 교천리계에서 발원하여 수신면 발산리에서 병천천에 유입하는 하천. 승천천(昇天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60.44㎢이며, 하천 연장은 13.98㎞㎞, 유로 연장은 18.18㎞이다. 승천천의 지류로는 소하천인 남산천·중지천·초막골천·봉명천·한...
-
충청남도 천안시에 개설되어 있는 천안시장이 노선을 인정하고, 시비로 건설·관리·유지하는 시내 도로. 천안시에 개설되어 있는 도로는 국도, 지방도, 시도, 시의시도[도시 계획 도로] 및 농어촌 도로를 모두 합하여 1,835개 노선에 연장(延長)은 74만 9670.31m이다. 이 중 포장도의 비율은 77.06%에 이르고 있다. 천안시의 도로 가운데 노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인 모동(牟洞), 상신덕리와 하신덕리의 ‘신덕’을 따서 신덕리(新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신덕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광덕면 신덕리로, 1991년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페합 대상인 중곡리, 가덕리, 산양리 및 신촌리 중에서 신촌리의 ‘신’ 자와 가덕리의 ‘덕’ 자를 따서 신덕리(新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신덕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성남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시 통폐합 대상인 일신기리, 이신기리, 일검사리, 이검사리, 강당리, 일각리 및 남면 평리의 일부인 신기리의 ‘신’ 자와 검사리의 ‘사’ 자를 따서 신사리(新沙里)라 부른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세성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신사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신평리의 ‘신’ 자와 풍정리의 ‘풍’ 자를 따서 신풍리(新豊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 지역으로, 1906년 지방 행정 구역 편제 때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수신면 신평리, 풍정리, 현암리를 통폐합하여 신풍리를 개설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한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일원면의 용문리, 입석리, 원이면의 칠전리 및 성산리를 병합하여 ‘새로 만든 마을’이라는 의미로 신흥리(新興里)라고 이름을 붙였다. 조선 시대에는 천안군 원일면 및 원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신흥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변정리와 양곡리(陽谷里) 중 양곡리의 명칭을 따서 붙인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양곡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양곡리로, 1991년에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양곡리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양곡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양곡천(陽谷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지류 소하천으로 유역 면적은 미상이며, 길이는 3,300m이다. 양곡천의 지천으로 양곡1천이 있다. 양곡천의 시점은 양곡리 산58번지이고, 종점은 양곡리 519번지이다. 양곡1천의 기점은 양곡리 145-1이고,...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에 천안군 동리 명칭 개정을 통해 천안군 북면 역촌리를 연춘리(延春里)로 명칭을 변경한 데서 유래한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목천군 북면 내룡리, 역촌, 장항리를 통폐합하여 연춘리로 행정 구역 명칭이 변경하여 천안군 북면 연춘리가 되었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오동리와 와곡리 중 오동리의 ‘오’ 자와 와곡리의 ‘곡’ 자를 따서 오곡리(梧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오곡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오곡...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오곡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오동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33,624㎡, 길이는 2,000m이다. 시점은 오곡리 16번지이고, 종점은 오곡리 342번지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오동리와 와곡리를 병합하여 오동리의 ‘오’ 자와 와곡리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덕성리에서 발원하여 충청북도 청원군 옥산면 장남리에서 병천천에 합류하는 하천. 용두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67.41㎢, 하천 연장과 유로 연장은 21.4㎞이다. 용두천으로 흘러드는 제4 지류로는 소하천인 배성천, 동산천, 구계천, 하장천, 산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에 있는 못.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용두리의 만마루 강신대 위에 있다. 조선 숙종 때 참판 유광익이 꿈에 이 못에서 말이 나와 용이 되는 것을 보았으므로 용마지(龍馬池)라 했다. 그 후 자손의 이름을 짓는데 용마를 사용했는데, 그 자손들이 크게 번창했다고 한다. 용마지가 있는 용두리(龍頭里)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회촌, 운암리, 호덕리 및 비룡리 중 비룡리의 ‘용’ 자와 운암리의 ‘암’ 자를 따서 용암리(龍岩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용암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산직리, 노원리, 용산리 및 봉명리 중 용산리의 ‘용’ 자와 노원리의 ‘원’ 자를 따서 용원리(龍院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세성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용원리를 개설하여 목천면에 편입하였다. 1917년 천안군 목천면에서 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용두리, 대정리, 상도종 및 하도종 중 용두리의 ‘용’ 자와 대정리의 ‘정’ 자를 따서 용정리(龍井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서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용정리라 하고 충청남도 천안군 풍세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매송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인 운계천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7,870㎡, 길이는 800m이다. 시점은 매송리 583번지이며, 종점은 매송리 851번지이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매당리, 송정리, 송현리, 운계리 및 구항리를 병합하여 매당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삼용리, 군단리, 심곡리 및 납안리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운용리(雲龍里)라고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운용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운용리로, 19...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상쌍령리, 원대리와 연기군 전의군의 가덕리, 내삼천리, 외삼천리 중 원대리의 ‘원’ 자와 가덕리의 ‘덕’ 자를 따서 원덕리(院德里)라 부른 데서 유래한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원덕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하였다....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호당리와 동남구 북면 운용리의 접경부에 있는 산. 위례산(慰禮山)[523m] 정상부에 위례성(慰禮城)이 있다. 하지만 이 성이 백제 온조왕이 세웠다는 위례성 또는 하남 위례성(河南慰禮城)에 해당하는 것인지에 대해서는 이론(異論)이 있다. 『삼국사기(三國史記)』 기록에 따르면, 온조왕 13년(BC 6년)에 왕이 신하들에게...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은지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인 은석천(銀石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인 미호천으로 흘러드는 제2 지류 병천천의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27,877㎡이며, 길이는 1,600m이다. 은석천의 시점은 북면 은지리 32번지이고, 종점은 은지리 34-1번지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동지동, 채동 및 은석리를 통...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합 대상인 동지동, 채동 및 은석리 중 은석리의 ‘은’ 자와 동지동의 ‘지’ 자를 따서 은지리(銀芝里)라고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은지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
충청남도 천안시에 거주하는 내·외국인의 수, 또는 시민 집단의 계수. 1. 충청남도의 세대 분포에서 천안시의 위상 1996년에 충청남도의 세대는 57만 5236호였는데, 천안시는 충청남도의 16개 시·군 중 가장 많은 11만 604세대[19.23%]를 차지하고 있었다. 2010년에 충청남도의 세대는 85만 4432호였는데, 천안시는 충청남도의 16개 시·군중 가장 많은...
-
충청남도 천안시의 인문 지리적 특성. 천안시의 인구는 1962년에는 191,544명 이었고, 2011년에는 585,587명으로 나타나서 지난 49년동안 무려 394,043명이 증가했다. 이는 1962년에 비해 2011년에는 205.7%가 증가한 것이고, 연평균 4.2%씩 증가한 것이다. 천안시의 인구는 지난 49년간에 걸쳐 전체적으로는 증가 추세를 유지했지만,...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기로리에서 발원하여 성환읍 안궁리에서 안성천에 합류하는 하천. 입장천(笠場川)은 안성천 수계의 본류인 안성천에 유입하는 제1 지류로, 유역 면적은 80.08㎢이며, 하천 연장과 유역 연장은 16.1㎞이다. 입장천으로 유입하는 하천으로는 소하천인 양대천, 산정천, 연곡천과 지방 2급 하천인 시장천, 한천이 있다. 한편 홍천천이 시장...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자연 발생적 마을. 우리나라 자연 마을의 입지는 대체로 산을 뒤로 등지고 앞으로 냇물과 들을 바라보는, 이른바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입지가 대부분이다. 이러한 점은 천안시의 농촌 마을도 예외가 아니다. 자연 마을의 분포를 지형에 따라 분류하면, 크게 산지 입지, 하곡 입지, 해안 입지, 충적 평야 입지, 대지 입지, 선상지 입지 등으로 구분할 수...
-
충청남도 천안시에 개설된 자전거가 다닐 수 있도록 만든 도로. 천안시에 개설된 자전거 도로 구간은 총 62개이며, 연장은 11만 3564m이다. 천안시에서 처음 개설된 저전거 도로는 천안로 사거리~TG[망향로] 구간인데, 이 자전거도로가 개설된 해는 1991년이었다. 당시 천안로 사거리~TG 구간은 연장 590m 폭 5.0m, 차로 수 8개였고, 포장 재료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안산 마을에 있는 바위. 장군 바위가 부근에 있는 안산 마을은 광덕리의 북부에 있다. 안산 마을은 광덕리 서쪽 경계부에 있는 광덕산(廣德山)[699.3m]과 광덕리 위쪽 보산원리의 북쪽 경계부에 있는 망경산(望京山)[600.1m] 사이에 있어, 해발 고도 300여m의 비교적 높은 곳에 입지해 있는 고산(高山) 마을이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장명리의 ‘장’ 자와 남산리의 ‘산’ 자를 장산리(長山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 지역으로, 1906년 지방 행정 구역 편제 때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장명리, 남산리, 상리의 일부, 사창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장산리를 개설하...
-
충청남도 천안시에 있는 인공 저수 시설. 천안시에 축조되어 있는 농업 기반 시설은 2012년 현재 20개의 저수지와 54개의 소류지로 구성되어 있다. 천안시에 분포하는 20개 저수지들의 수혜 면적은 2012년 현재 기준으로 23.55㎢이고, 유역 면적은 82.81㎢, 총 저수량은 1149만 3000톤, 유효 저수량은 1035만 9000톤이다. 천안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대 통폐합 대상인 전곡리(典谷里)의 이름을 그대로 썼다. 조선 시대에는 목천군 북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전곡리 단일리를 그대로 존속시켜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에 편입시켰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북면 전곡리로, 1991년에 충청남도 천안군 북면 전곡리로, 1995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전곡리 일대를 흐르는 하천. 소하천 전곡천(典谷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인 병천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7,398㎡, 길이는 900m이다. 시점은 전곡리 160번지이고, 종점은 전곡리 61-1번지이다. 전곡리를 흐르는 하천이어서 전곡천이라 불렀다. 전곡천은 전곡리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봉양리를 흐르는 하천. 조양천(朝陽川)은 금강 수계의 본류인 금강의 제1 지류 미호천의 제2 지류 병천천으로 흘러드는 제3 지류 병천천의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5.3㎢이며, 하천 연장은 1.6㎞, 유로 연장은 4.2㎞이다. 조양천의 시점은 성남면 봉양리 489번지이고 종점은 성남면과 수신면 경계지역에 승천천에 합류허는 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상지인 석지동, 사기동, 동산리, 대곡리, 장구동 및 왕승리 중 석지동의 ‘지’ 자와 장구동의 ‘장’ 자를 따서 지장리(芝長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일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지장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하였다. 1...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원덕리와 충청남도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를 연결하는 터널. 차령(車嶺) 터널은 23번 국도의 차령(車嶺)과 봉수산(烽燧山)[323.2m] 우측 비탈 일대에 개설되어 있으며, 천안시 광덕면 원덕리와 공주시 정안면 인풍리에 각각 절반 정도씩 걸쳐 있다. 쌍굴식 터널로 길이는 상행선이 490m, 하생선이 445m이다. 상행선과 하행선 모...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와 수신면 장산리에 있는 평야. 창들은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탑원리와 수신면 장산리가 연접 지역에 형성된 평야로, 창들의 한복판을 남북 방향으로 병천천이 관통하고 있다. 창들(倉들)은 창평(倉坪)이라고도 부른다. 본래 충청북도 청주군 수신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병천면에 편입된 곳이다. ‘창평’이라는 한문 표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용동에 있는 공원. 천안 삼거리 공원은 민요 흥타령(興打令)으로 유명한 천안 삼거리를 기념하여 조성되었다. 천안 삼거리는 조선 시대 삼남 대로(三南大路)의 분기점이다. 이 길은 서울에서 내려오는 대로로 천안에 이르면 두 갈래로 갈라진다. 한 길은 병천을 거쳐 청주로 들어가 문경 새재를 넘어 상주로 통해 영동, 김천을 지나 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신부동에 있는 버스 터미널. 천안 종합 버스 터미널은 주식회사 아라리오가 1989년부터 현재의 신부동 부지에서 운영하고 있으며, 시외버스와 고속버스가 모두 출입하고 있다. 천안 종합 버스 터미널에는 신세계 백화점 충청점과 이마트 천안 터미널점과 같은 유통업체가 있다. 또한 야우리 시네마, 아라리오 갤러리, 푸른 조각 광장과 같...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천호지에서 발원하여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에서 곡교천에 합류하는 하천. 천안천은 삽교천 수계의 본류인 삽교천의 제1 지류인 곡교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74.17㎢이며, 하천 연장은 12.3㎞, 유로 연장은 16㎞이다. 천안천으로 흘러드는 제3 지류로는 소하천인 안서천·상암천·성정천·불당천과 지방 2급...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두정동과 동남구 신부동을 연결하는 터널. 천안 터널은 제4 지방 산업 단지 진입 도로인 삼성대로 상에 있는 터널로서, 천안시 동(洞) 지역 중 북부에 해당되는 서북구 두정동과 동 지역의 북동부에 해당되는 동남구 신부동을 연결한다. 제4 지방 산업 단지 진입 도로의 시점은 천안시 서북구 부대동[북부 대로]이고, 종점은 천안시 동남구 안서동...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모전리에 있는 평야. 천흥 바다가 있는 모전리는 성거읍의 가장 북쪽에 있는 지역으로서 아래쪽의 모전 1리와 위쪽의 모전 2리로 구성되어 있다. 천흥 바다는 모전 1리와 모전 2리 서쪽에 전개되어 있다. 천흥 바다의 서쪽으로는 한천이 남북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한천은 모전리 위쪽의 입장면에서 북서~남동 방향으로 흐르는 입장천의 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과 목천읍 교천리를 연결하는 터널. 취암산(鷲巖山) 터널을 국도 21호선에 개설되어 있다. 국도 21호선은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일대에서 우측의 천안시 신방동으로 유입하여 시가지 삼룡동 일대를 거쳐 목천읍 남부와 병천면·수신면 경계부를 북동~남서 방향으로 지나고 있다. 취암산 터널은 1997년에 착공되어, 2004년에 완공되었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에 있는 공원. 태조산 공원(太祖山公園)은 태조산[421.5m]의 북서쪽 비탈에 위치해 있다. 태조산은 천안시 동남구 유량동과 목천읍 덕전리 사이에 있는 산으로 유량천과 산방천의 분수계(分水界)를 이루고 있다. 1987년에 조성되었으며, 전체 면적이 35만 8785㎡에 이른다. 공원의 이름은 공원이 자리 잡고 있는 태조산의 이름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 있는 자연 휴양림. 태학산 자연 휴양림(泰鶴山自然休養林)은 해발 고도 455.5m에 이르는 태학산의 북측 비탈 해발 고도 100~200여m에 위치해 있다. 태학산은 천안시의 남서부에 위치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와 풍세면 삼태리 및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수철리의 경계부에 위치한 비교적 높은 구릉성 산지이다. 태...
-
충청남도 천안의 도로·철도·수로(水路) 등을 통하게 하기 위해 땅속을 뚫은 통로. 천안 터널은 동(洞) 지역의 북부에 해당되는 서북구 부성동과 동 지역의 북동부에 해당되는 동남구 신안동을 연결하는 삼성대로에 있다. 서북구 부성동은 두정동, 성성동, 차암동, 업성동, 신당동 및 부대동을 관할하고 있고, 동남구 신안동은 안서동과 신부동을 관할하고 있다....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에 있는 평야. 톨미 앞들은 입장면 동북부에 위치한 흑암리·용정리·가산리·신두리 일대의 평야를 지칭한다. 톨미 앞들의 한복판을 입장천이 북서~남동 방향으로 흐르며, 하부에서는 한천이 입장천에 합류하고 있다. 가산리의 톨미 마을 앞에 있는 들이라 하여 톨미 앞들이라 불렸다고 한다. 톨미라는 마을 이름은 마을 뒷산인 토산(兎...
-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에 있는 기복이 거의 없는 낮고 평평한 지형. 천안시의 전체 토지 면적 중에서 농업적 토지 이용에 해당되는 논과 밭의 비율은 2010년의 경우 25.11%이다. 그 중 평야에 해당하는 논의 비율은 16.19%이고, 밭의 비율은 8.9%이다. 한편 가구당 경지 면적을 보면, 논과 밭을 합한 경우 119.9a이고, 논은 65.6a, 밭은 54....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수성리, 관음리, 주양리, 호정리, 상정자리, 중정자리, 하정자리 및 궁리를 아울러 풍서리(豊西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대동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풍서리를 개설하여 천안군 풍세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풍세면 풍서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 발원하여 풍세면 용정리에서 곡교천에 합류하는 구간. 풍서천(豊西川)은 삽교천 수계의 본류인 삽교천의 제1 지류인 곡교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인 풍세천의 하류부를 지칭하는 별칭이다. 풍서천의 시점은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리이고, 종점은 풍세면 용정리이다. 하천이 광덕면, 풍서리 일대를 지나고 풍세면 면소재지인 풍서리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에 속하는 법정면. 풍세면은 천안시의 남서부에 위치해 있고, 동쪽으로 목천읍 삼성리·소임리,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대곡리·소정리 등과, 서쪽으로는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읍 세교리·갈매리·세출리 등과, 남쪽으로는 광덕면 매당리·신흥리, 세종특별자치시 소정면 소정리 등과, 북쪽으로는 신방동, 청룡동[구룡동], 목천읍 삼성리, 아산시 배방읍 세교...
-
충청남도 천안 지역의 땅에 관한 이치를 음양오행설을 바탕으로 설명하는 이론. 천안시 전체로 보면, 오룡쟁주(五龍爭珠)의 명당으로 생거명당(生居明堂), 즉 양기(陽氣)와 화기(和氣)가 충만한 양택(陽宅)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독립 기념관이 있는 목천읍 남화리 일대는 사거명당(死居明堂), 즉 음기(陰氣)와 영기(靈氣)가 가득 찬 음택(陰宅)이라고 할 수 있다....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주변보다 낮은 하곡이나 범람원을 따라 일정한 유로를 유지하면서 사면의 경사 방향으로 흐르는 유수. 천안시의 하천은 등급에 따라 국가 하천, 지방 1급 하천 및 지방 2급 하천으로 구성되는데 총 182개소에 걸쳐 469.15㎞에 이른다. 이를 하천 등급별로 보면, 하천법에 의한 분류한 국가 하천은 1개소에 5.43㎞, 지방 2급 하천은 3...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학정리에서 발원하여 복모리에서 성환천으로 합류하는 하천. 학정천은 안성천 수계의 본류인 안성천의 제1 지류 성환천으로 유입하는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과 길이는 미상이다. 시점은 성환읍 학정리 445번지이고, 종점은 서북구 성환읍 복모리의 성환천 합류지점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학선동(鶴仙洞), 신정리(新井里) 및...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요방리에서 발원하여 입장면 신두리에서 안성천에 합류하는 하천. 한천은 안성천 수계의 본류인 안성천의 제1 지류인 입장천의 지류 하천으로서 유역 면적은 34.68㎢이고, 하천 연장은 8.19㎞, 유로 연장은 13.62㎞이다. 한천으로 흘러드는 제3 지류로는 소하천인 분방골천·요골천·석교천·복덕골천·송남천·모전천·남창천과 지방 2급...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대해리의 ‘해’ 자와 엄정리의 ‘정’ 자를 따서 해정리(海亭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청주목 수신면 지역인데, 1906년 행정 구역 변경으로 목천군 수신면이 되었다.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목천군 수신면의 대해리, 엄정리, 봉서리, 오동리를 통폐합하여 해정리를 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행촌리와 구정리 중 행촌리의 ‘행’ 자와 구정리의 ‘정’ 자를 따서 행정리(杏亭里)라 부른 데서 붙여진 이름이다. 조선 시대에 천안군 원이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행정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광덕면에 편입하였다. 1963년에 충청남도 천원군 광덕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 때 통폐합 대상인 운교리, 화원리, 성양리, 통주동, 일각리의 일부, 신평리, 목천면 일운전리의 일부가 병합하여 화성리(花城里)라 하고 성남면에 편입되었다. 조선 시대에 목천군 세성면 지역이었는데,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화성리를 개설하여 충청남도 천안군 성남면에 편입되었다. 1963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