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2리에서 한 해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2리의 댓거리는 이씨 성이 주로 사는 중간 산촌으로서, 마을로 들어가는 큰길 입구 좌우에 돌장승 한 쌍이 마주 보고 서 있고 마을을 지나 안으로 들어가면 야산이 있다. 이 마을에서는 음력 정월 초이튿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동제(洞祭)를 지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4리에서 음력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올리는 마을 제사. 지방도 629호선을 따라 광덕산을 향하여 가면 가장 먼저 닿는 광덕리 마을은 광덕 4리 만복동이다. 광덕산 동쪽에 자리 잡은 이 마을은 ‘만 가지 복이 있는 살기 좋은 마을’로 알려져 있다. 만복동에서는 지금도 매년 정월 초사흗날이면 마을 사람들이 산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단합과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1리의 상사 마을은 해발 700m에 이르는 광덕산으로 들어가는 동남쪽 들머리에 있다. 상사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 마을의 평안과 각 가정의 화평을 위하여 산제와 탑제를 지낸다. 상사의 산제와 탑제가 언제부터 시작...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2리에서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2리의 자연 마을로는 하검과 댓거리[죽계]가 있다. 하검 마을에서는 한 해 동안 마을이 평안하기를 기원하고자 정월 초이튿날에 산신제와 거리제를 지낸다. 만약 제사를 앞두고 마을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날을 다시 받아서 제사를 올린다. 하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1리에서 정월 초이튿날과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광덕 1리의 해수 마을은 천안시에서 광덕사를 지나 산길을 4㎞가량 올라가면 나오는, 광덕산 중턱에 자리 잡은 산촌이다. 해수 마을은 해마다 음력으로 1월이 되면 마을 뒷산에서 산신제를 지내고 마을 입구에서 장승제를 지낸다...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군동 1리에서 음력 3월 보름날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의 군동리는 옛 직산면의 소재지로 지금도 번화하다. 마을 중앙에는 현감이 생활하던 관아와 향교 등의 시설물들이 남아 있다. 군동리에서는 오래전부터 마을에 사는 당골[무당]과 함께 마을의 안녕과 주민의 평안을 위하여 당굿을 지내 왔는데, 지금은 마을 형편...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면 군서 1리에서 매년 정월에 마을 사람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직산면 군서리의 교동 마을에서는 정월이면 좋은 날을 고르는데, 정제를 지낼 제사 날짜를 택일하는 것이다. 날을 정해 놓고 혹시라도 마을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다시 날을 받는다. 대동샘이 마르지 않기를 기원하며 한 해 동안 마을사람들의 삶이...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남관 2리 공사동에서 매년 음력 칠월 초하룻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남관리 공사동은 60여 호가 농사를 업으로 살아온 마을이다. 창원 유씨(昌原兪氏) 집안에서 연속으로 효자를 배출하여 정려(旌閭)가 하사된 이 마을은 선비가 많이 난다 하여 공사동(貢士洞) 또는 공사골이라 불리었다. 마을에서는 예로부터 해마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남관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우물 제사.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남관리의 난산 마을 정제는 정월 초에 길일을 택하는 것으로 시작된다. 아울러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보아 정제를 주관할 제관(祭官)·축관(祝官) 등 세 사람을 뽑는다. 선정된 세 명의 제관은 제를 앞두고 정성을 드린다. 비린 음식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의 납안 마을은 뒤로는 산을 등지고 앞으로는 물에 접하는 전형적인 배산임수(背山臨水)의 지세에 자리 잡은 마을이다. 마을 뒤편의 주산(主山)에 의지하여 민가가 형성되었으며 마을 앞 남쪽으로는 농경지가 넓게 펼쳐져 있다. 농사를 업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납안리에서 매년 시월상달에 공동체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납안리 도촌 산신제는 매년 가을걷이를 마친 음력 시월상달에 길일을 택하여 지낸다. 이를 위하여 마을에서는 시월 초하룻날 전체 주민이 참여하는 대동 회의를 열고 제반 절차를 상의한다. 이 자리에서는 먼저 제삿날을 결정하고 나서는 주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덕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덕리는 점골과 이화동, 숫가말 등의 자연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과거에는 자연 마을마다 산제당이 있었으나 현재는 숫가말 한 곳에서만 제를 모시고 있다. 숫가말은 본래 마을 뒤편의 숲이 우거져 ‘숲알말’이라고 부르던 것이 변하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평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위해서 마을 어귀에 있었던 장승과 솟대에 지냈던 제의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대평리의 대평원 마을 어귀에는 남녀 장승 두 기와 솟대가 서 있었다. 장승은 수살이라고 부르고 솟대는 수살대 또는 오릿대라고 불렀다. 대평원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이 장승과 솟대에 제사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우물 제사. 대홍리 대정 정제는 세 곳에서 이루어진다. 공동 우물과 장승터, 천안 봉선 홍경사 갈기비(天安奉先弘慶寺碣記碑)가 그것이다. 제관으로는 제주(祭主)와 축관(祝官)을 뽑고 마을 이장이 함께 참여하는데, 다른 마을과 달리 금기는 그다지 까다로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 3리 홍경 마을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대홍리의 홍경 마을에서는 정월 초이튿날 저녁에 마을의 공동 우물 두 곳과 홍경사(弘慶寺)가 있던 옛터에 제를 지낸다. 그러나 만약 제를 앞두고 마을에서 초상이 나면 일주일 이상 날짜를 연기하여 부정이 가신 뒤에 다시 날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덕전 2리에서 매년 정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덕전리 유왕골 산신제는 본래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모시던 것을 정월 초로 날짜를 옮기었다. 이를 위하여 설을 쇠고 나면 마을의 유지들이 모여 제삿날을 정한다. 이 자리에서 부정이 없고 깨끗한 사람을 대상으로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도림리에서 매년 음력 2월 초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도림리의 보덕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2월 초에 길일을 택하여 미륵제를 지낸다. 여느 마을과 달리, 제관(祭官)을 따로 뽑지 않고 이장과 나이가 지긋한 노인이 주축이 되어 제를 모시며, 제를 준비할 때에도 특별한 금기가 있지 않으며 있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도원리에서 매년 정월 초아흐렛날 농사의 풍년과 무사태평을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도원리의 미륵댕이 마을에는 수호신으로 모시는 선돌형 미륵이 한 기 있다. 매년 정월 초아흐렛날[음력 1월 9일] 마을의 부녀자들과 인근 사찰의 스님이 함께 미륵제를 지낸다. 제수 비용은 부녀자들이 쌀과 돈을 나누어 내어 부담...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도하 2리에서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관양수는 보련산을 마주 보고 자리 잡은 마을이다. 보련산의 지형은 호랑이가 입을 벌리고 앞에 있는 것을 집어삼킬 모양을 하고 있다. 그래서 사람들이 보련산 주변 마을의 안위를 위하여 입에 해당하는 자리에 가시나무를 심었다고 전한다. 관양수 마을에서는 보련산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집 안에 물건을 잘못 들이거나 집 안의 시설을 잘못 다루었을 때 나는 탈을 풀고자 하는 민간 의례. 과거에는 집을 짓더라도 아무데나 문을 내거나 변소를 설치할 수 없었다. 천안 지역에서 동토, 또는 동투는 집 안 또는 집 주변에서 흙 또는 나무를 잘못 다루거나 외부의 물건을 집 안에 잘못 들였을 때 나는 탈을 말한다. 또, 손이 있는 날에 부뚜막이나...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두남리에서 매년 칠석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두지골에서는 해마다 칠석날[음력 7월 7일] 새벽에 마을의 안녕과 가가호호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산신제와 노제를 지냈다. 이를 위하여 예전에는 부정이 없고 깨끗한 주민 가운데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가려 제관을 뽑았다. 제관으로 선정되면 대문 앞에 금줄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에서 매년 정월 초순에 택일하여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매당리의 당하 마을에서는 지금까지 해마다 정월 초순 무렵에 마을 주민 중에서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과 산신 하강일(山神下降日)을 따져서 당주(堂主)과 축관(祝官), 제물을 지고 갈 사람 등 세 명의 제관(祭官)을 정하여 산...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매성 3리에서 매년 음력으로 정월과 시월에 길일을 택하여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매성리 매당 마을은 매화가 땅에 떨어진 매화 낙지(梅花落地)의 형세를 지닌 명당이 있다 하여 붙여진 명칭이다. 매당 마을은 매성리에서 가장 큰 마을이었으나 1970년대 이후 객지로 떠나는 사람이 늘어나면서 가구 및 주민의 수가 급격...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무학리에서 매년 음력 시월 초순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산신에게 지내는 제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무학리 쌍령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 시월 초엿새에 인근 무학산에서 산신제를 지냈다. 그러다가 2004년에서 2005년 사이에 가까운 지역에서 산불이 크게 나면서 산제당이 모두 불타고 말았다. 그 이후부터 제삿날을 음력 시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발산 2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의. 발산리 상지장 마을에서는 2012년 현재까지 매년 정월 초이튿날 저녁에 마을 어귀에 있는 석불(石佛)에 제사를 지낸다. 마을에서는 이 석불을 ‘석불 장군’이라고 부른다. 제의는 저녁 무렵에 지내는데 방식은 유교식이다. 제물로는 시루떡과 소고기산적, 삼색과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 4리 백인동에서 음력 유월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백자리는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백인동·증자동·전촌·한신리·발산리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백인동의 ‘백’ 자와 증자동의 ‘자’ 자를 따서 이름 지었다. 백자 4리의 백인동 마을에서는 음력 유월 초승에 좋은 날을 골라 산신제를 지낸...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앉은굿 법사가 진행하는 치병 의례. 천안 지역 무속의 주류는 앉은굿이다. 앉은굿을 하는 법사는 흔히 집안의 신령을 위하여 가택을 평안하게 하는 안택(安宅)과 귀신을 쫓아 병을 낫게 하는 병경(病經)을 주로 한다. 병경은 앉은굿 법사에 의해 진행되는 치병굿이라 할 수 있는데, 천안 지역 사람들은 이를 ‘병정’이라고도 한다. 이는 ‘경’을 ‘정...
-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병천 6리에서 매년 정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개목이 산신제는 매년 정초에 길일을 택한다. 그러나 만약 제를 앞두고 마을에서 초상이나 출산 등 부정한 일이 있으면 정해진 날짜에 산신제를 지내지 못하고 다시 날을 잡는다. 심지어 소나 개가 죽거나 새끼를 낳아도 부정하다고 하여 제일을 연기한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리의 양지말은 볕이 잘 드는 곳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양지말에서는 2012년 현재까지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이 되면 산신제를 지내는데, 이를 위하여 마을 주민 중에서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과 산신 하강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리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마을 어귀 석장승에 지내는 제의.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리 외보 마을 어귀에는 돌로 만든 장승 두 기가 마주 보고 서 있다. 이 석장승은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과 ‘지하대장군(地下大將軍)’이며, 마을 입구를 지키는 수호신이자 행인들의 안전을 지키는 신이기도 하다. 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 2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보산원리의 용경 마을은 천안에서 광덕사(廣德寺) 방면으로 가다가 광풍 중학교를 지나서 약 4㎞ 정도 가면 보산원교가 나오는데, 여기에서 동쪽에 있는 태봉산의 서향 계곡 아래에 마을이 있다. 용경 마을 주민들은 주로 농사를 주업으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봉양리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 봉양리 대사동의 한절우 마을에서 지내는 장승제는 18세기 초반 정도부터 시작되었다고 전해진다. 전하는 말로는 아랫동네인 봉양 2구의 풍흉에 따라 한절우 마을이 그 반대로 되어서 이를 막고자 장승제를 지냈다고 한다. 마을 입구에는 장승 둘이 서 있는데, 마을 주민들...
-
충청남도 천안시 성남면 봉양리에서 매년 음력 시월 무렵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의. 봉양리는 성남면에서 수신면으로 가는 큰길에서 현암교 쪽으로 들어와서 봉명리를 지나면 나타난다. 여기에서 오른편으로 들어가면 봉양리 한절우 마을이 나타나고 왼쪽으로 들어가면 봉양리 밤실 마을이 나타난다. 밤실 마을에서는 매년 음력으로 9월과 시월 초순에 길일을 택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봉항 2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 무렵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봉항 2리에는 삼성·왕대라는 두 마을이 도로를 사이에 두고 마주 보고 있다. 1990년대 초반만 하여도 30여 호의 주민들이 농사를 업으로 생활하는 한적한 농촌이었다. 그런데 2000년대에 들어서 봉항리 주변이 전원주택...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봉항 3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병천면 봉항리의 돌모기 마을은 병천면의 가장 북쪽에 있으며 만뢰산 줄기를 경계로 충청북도 진천군과 닿아 있다. 봉항리로 진입하는 도로가 뚫려 있는 남쪽을 제외하면 돌모기는 동쪽·서쪽·북쪽이 산줄기로 둘러싸여 있고 마을 앞에는 광기천이 흐르...
-
충청남도 천안시 병천면 봉암 1리 봉암에서 매년 정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천안시 병천면 봉암 1리는 서근과 봉암, 이렇게 두 마을로 구성되어 있다. 예전에는 전주 이씨, 경주 김씨, 광산 김씨, 중추 지씨 등 네 가지 성씨가 주축을 이루고 90여 호에 달하는 큰 마을이었다. 1980년대 이후 이농 현상이 급속히 진행되면서 현재 55...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냈던 우물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1리의 산우물 마을에서는 마을 안에 있는 공동 우물을 대상으로 매년 정월 초이튿날 새벽에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제를 지낸다. 이 제사를 정제 또는 우물제라고 한다. 산정리 산우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 2리에서 정월 초이튿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산정리의 차중 마을에는 우물이 총 여덟 개에 이르렀다. 사람들은 자기 집에서 가까운 곳에 있는 우물을 사용하였다. 그래서 두세 집이 사용하는 우물부터 대여섯 집이 사용하는 우물까지 그 크기도 다양하였다. 평상시 우물의 관리는 가까운 곳에...
-
충청남도 천안 지역에서 액운이 낀 사람의 살을 풀어 주는 무속 의례. 사람은 태어날 때부터 자신의 운명에 살이 끼었거나 성장하면서 액운이 들면 이를 풀어야 잘 살 수 있게 된다. 주부가 섣달 또는 정월에 점쟁이나 무당을 찾아가서 가족들의 한 해 신수를 살펴본 후에 식구들 중에 액살이 있는 이가 있으면 살풀이를 해 준다. 살풀이는 액살이 낀 사람의 머리 위로 화...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삼룡동에서 천안 삼거리 공원의 장승을 모신 제사. 천안시에서는 1970년대에 삼룡동에 천안 삼거리 공원을 조성하였다. 천안 삼거리는 북쪽으로는 서울, 서쪽으로는 전라도, 남동쪽으로는 경상도와 나뉘는 분기점에 자리 잡아 길손의 발길이 끊이지 않았고 삼거리 부근에는 주막이 즐비하였다. 천안 삼거리는 이러한 지리적인 접근성에 덧붙여 능수버들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삼신에게 아기의 점지를 바라는 의례. 삼신은 주로 ‘삼신할머니’ 또는 ‘삼신할아버지’라고도 불리며, 아이의 점지에서부터 출산과 육아까지 관장하는 신이다. 천안 지역에서는 삼신을 주로 ‘할머니 신령’으로 여기기에 여신으로 인식하지만, 더러는 ‘할아버지 신령’으로 생각하기도 한다. 이러한 삼신은 집안마다 한 신령씩 있는 것으로 여긴다. 또한, 삼신이 그...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삼태리에서 매년 음력 11~12월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산신제는 매년 가을걷이를 마친 동짓달이나 섣달 중에 산신이 내려온다는 산신 하강일(山神下降日)로 길일을 택하여 모신다. 산신제는 동계(洞契)가 주관하여 거행된다. 예전에는 마을에서 식견이 있고 통솔력이 있는 사람을 동유사(洞有司)로 선정하여 그가 제삿날의 택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삼태리에서 매년 음력 2월 초하룻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본래 삼태리 원당·학계 산신제는 매년 정월 초이튿날에 학계와 원당, 이 두 마을이 공동으로 제를 지냈으나 1980년대 후반부터 2월 초하룻날로 날짜를 옮겼다. 때로는 마을에서 부정한 일이 있거나 제를 주관하는 주당(主堂)이 부정한 것을 보게 되면 예정된 산...
-
충청남도 천안시 지역의 고갯마루나 마을 입구에 있는 서낭당에서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제사. 민간에서 전승되는 서낭제는 크게 두 가지의 형태로 구분된다. 하나는 마을 차원에서 정결한 제관을 선정하여 주관하는 동제의 형태이고, 다른 하나는 부녀자들이 개별적으로 날을 잡아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가 그것이다. 천안 지역에서는 동제로 서낭제를 지내는 마을은 거의 없...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석곡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 오랜 옛날에 어느 고승이 지금의 석곡리 방죽안 마을[정곡 마을]을 지나가다가 이 마을이 조래미[조리] 형국이라서 조리에 쌀이 차면 밑으로 빠지듯 한동안 동네가 부유하다가도 어느 시기가 되면 저절로 빈곤해지는 곳이라고 했다. 고승은 제를 지내면 마을에 좋을 것이라고도 일러 주었고...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석교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동네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교 1리는 구억말이라는 이름보다 ‘돌다리’라는 이칭(異稱)이 더욱 많이 알려진 곳이다. 예전에 석교리에 흐르던 개천에 큰 바위 하나가 있었는데, 비가 많이 와서 물이 불면 이 돌을 밟고 건너다녀, 이 돌을 돌다리라고 불렀다. 지금은 고속 도로의 개통이...
-
충청남도 천안시 성거읍 구억말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석교리 구억말 산신제와 정제는 대동계의 주관으로 거행된다. 제관은 이장, 반장, 새마을 지도자 등이 맡는다. 본래는 부정이 없고 가족이 단출한 가정에서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이 닿는 정결한 제관을 선출하여 제를 주관하였으나, 언제부턴가...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성동에서 마을의 무탈함과 태평함을 위하여 지내는 산신제. 천안의 서북구 성성동은 서북구 업성동 업성 저수지 남서쪽에 있는 마을이다. 1914년에 사라리·영성리·성인리·율동 등 네 개 마을을 합하여 천안군 영성면 성성리가 되었다. 1953년까지는 환성면에 속하였다가 1963년에 행정 구역 개편으로 천안시에 편입되면서 성성동으로 개칭하였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새로 집을 짓거나 안택을 할 때 집안의 수호신인 성주신에게 올리는 제의. 성주는 집안을 지키는 최고의 신령으로, 천안 지역에서는 대체로 안방이나 마루에 좌정한다. 집을 짓게 되면 곧바로 성주를 받아 모셔야 하지만 아무 때나 받을 수는 없다. 가장(家長)을 기준으로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보아서 성주 운이 닿는 날짜를 정한다. 그리고 가을이 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수남 2리에 있는 구암 마을과 보현 정사에서 음력 정월 초승에 택일하여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수남 2리에는 수암·매작·잿말·구암 등 네 개의 자연 마을이 있는데, 구암은 그중에서 가장 큰 마을이다. ‘구암’은 ‘거북 바위’를 한자로 바꾼 이름으로, 마을에 거북이 형상을 한 바위가 있어서 오래전부터 거북 바위라...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신갈리에서 정월 첫 번째 용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고자 공동으로 지냈던 마을 제사. 신갈리는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신성리와 갈산리를 합하여 이루어졌다. 이곳에는 아랫갈미와 웃갈미라는 두 개의 자연 마을이 있다. 아랫갈미의 유황제는 정제(井祭)라고도 하는데, 물을 주관하는 용(龍)에게 마을의 화평과 풍농을 기원하는 제사...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신덕 2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신덕리는 세 개의 행정리로 나누어져 있다. 이 중에서 신덕 2리 반월 마을은 입장면 신두리의 구덕리 마을에서 남쪽 방향에 떨어져 있는 마을이다. 2012년 현재 약 20여 호가 거주하는 반월은 땅의 모양이 반달을 닮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덕 2리에서 매년 정월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올리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덕리는 원래 충청남도 목천군 남면 지역이었다가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에 중곡리·가덕리·산양리·신촌리를 병합하면서 신촌리의 신 자와 가덕리의 덕 자를 따서 신덕리라 하고 성남면이 되었다. 신덕 2리인 신촌 마을에서는 정월 초사흗날이...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덕 3리 중실 마을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에 있는 신덕리 중실 마을은 이곳에 중이 살았다고 하여 붙여진 마을 이름이다. 중실에서는 매년 동제(洞祭)를 지냈는데, 제사를 지내는 곳은 마을 입구에 서 있는 장승이다. 장승은 마을 입구에 서서 드나드는 마을 사람을 보호하고...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신두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정제(井祭)는 천안 지역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는, 공동 우물을 신앙 대상으로 하는 동제로서 우물제, 샘제라고도 한다. 신두리 섶머리 정제는 해마다 정월 초이튿날 밤 11시께에 제를 지내는데, 이를 위하여 섣달그믐날에 부정이 없고 정갈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사 2리에서 올리는 마을 제사. 신사 2리에 있는 3개의 자연 마을 즉 검사울, 선녀골, 미력너머에서는 해마다 봄 또는 단오를 전후하여 택일해 미륵제를 지낸다. 신사 2리 미륵제(新沙 二里 彌勒祭)는 마을 한 가운데 서서 마을을 돌봐 주시는 미륵에게 감사를 올리고, 한 해의 평안과 풍농을 기원하는 제사이다. 충청남도...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사 2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기 위해 올리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신사리는 예전에는 충청남도 목천군 세성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일신기리·이신기리·일금사리·이금사리·강당리·일각리 등 여러 지역의 일부를 병합하면서 신기리의 ‘신’ 자와 금사리의 ‘사’ 자를 따서 신사리라 하고 성...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에서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위하여 지내던 마을 제사. 오늘날 천안시 서북구 쌍용동은 아파트 밀집 지역으로 변하여 옛 모습을 확인하기 어렵게 되었다. 이곳의 방축골은 지금의 천안 쌍용 초등학교와 천안 쌍용 중학교 부근에 있던 마을로, 봉서산 남쪽 기슭 부근이다. 1990년대 중반까지는 200여 호가 거주하는 큰 마을이었으나 개발이 되...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양령 1리에서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냈던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양령리의 상령 마을에서 지내는 향나무제의 제삿날은 정월 열나흗날이었고 이때 향나무제를 마치고 마을의 공동 우물에도 제사를 지냈다. 하지만 정확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1960년 이전에 향나무제는 중단되었고, 그 대신에 현재는 향나무 옆집...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어룡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성환읍 어룡리의 어룡 마을은 샘에 살던 고기가 용으로 변하여 승천하였다는 전설 때문에 유래한 이름이다. 어룡리 어룡 정제는 해마다 정월 초사흘 저녁 자시에 거행되며 대동회에서 주관한다. 이를 위하여 마을에서는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업성동에서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동제. 업성동은 본래 천안군 북이면 지역으로, 마을 뒷산에 선바위라 불리는 바위 무리가 있어서 암석리 또는 입석리로 불리다가, 부르기 쉽게 그 음만 차용하여 업성리가 되었다. 업성리에는 감나무골[柿木洞]을 비롯하여 세기실[石基室]·노근다리[外洞]·선바위[立岩洞]·밤골[栗洞] 등의 자...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오곡 2리에서 매년 정월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동남구 북면 오곡리의 오동촌 마을은 마을 뒤에 봉황산이 있는데 봉황은 오동나무에만 앉는다 하여 오동촌으로 이름 붙였다고 한다. 오곡리 오동촌의 산신제는 정월 초사흗날 정도에 택일하는데 보름을 넘기지 않고 열사흗날 또는 열나흗날 무렵에 지낸다. 하지만 마...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첫 타작한 쌀을 집안의 조상에게 바치는 의례. 올벼 천신을 일러 천안 지역에서는 햅쌀 천신, 햇밥 천신, 올벼 천신 등으로 부른다. 한 해 농사를 지어 햇벼를 수확하여 첫 수확한 벼를 찧어서 밥을 짓는다. 아직 여물기 전이기 때문에 그중에서도 가장 잘 여문 벼를 골라 훑어다가 솥에 쪄서 사흘 정도 말렸다가 찧는다. 이렇게 하면 쌀알이 단단하...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음력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샘이나 개울 등에서 한 해의 액운을 막고 가족의 복을 기원하는 의례. 정초에 신수를 보아 한 해의 운수를 점치는데, 이때 가정이나 가족에게 액운이 있다고 하면 이를 막으려고 요왕제를 지낸다. 요왕은 ‘용왕’의 충청 지역 사투리로 ‘유황’, ‘유왕’이라고도 한다. 요왕제는 음력 정월 보름의 전날인 열나흘날, 사람들이 많이 다니...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용원 2리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위하여 지내는 제의. 천안시 동남구 성남면 용원 2리의 용산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열나흗날 밤에 마을 공동 우물에서 용왕제를 지내고, 같은 날 마을 어귀에서 장승제를 지낸다. 제의를 지내는 목적은 마을의 평안을 위해서이다. 제를 지내려고 마을에서는 부정이 없고 정결한 부부를 골라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에서 매년 9월 15일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의 도종 마을에서는 해마다 음력 9월 15일이면 마을의 길흉화복을 주관한다고 여기는 태화산 산신에게 제를 올린다. 이를 위해 9월 초가 되면 마을의 임원과 원로들이 회합을 갖고 부정이 없고 다복한 주민을 대상으로 생기복덕(生氣福德)...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용정리에서 매년 정월 초사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용정리에서 가장 큰 마을인 불그머리는 옛날에 구리로 샘을 만들어 붉은 구리 빛깔 때문에 물이 붉다고 한 데에서 이름이 유래하였다. 불그머리 마을에서는 정제를 거행할 때가 되면 섣달그믐날 정갈하고 우환이 없는 다복한 주민 중에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에서 매년 9월 15일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용정리의 아랫돈마루 마을에서는 음력으로 정월과 9월에 산신 하강일(山神下降日)을 택하여 산신제를 지낸다. 그러나 만약 산신제를 앞두고 초상이나 출산이 있으면 부정이 가신 뒤에 다시 날짜를 잡는다. 이때 ‘산 부정’[출산]은 사흘,...
-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용정 4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렛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충청남도 천안시 풍세면 용정 4리의 상도 마을은 지형이 높직하게 도드라진 평지인 돈대(墩臺)[돈마루]의 위쪽에 있다고 하여 윗돈마루라고도 불린다. 윗돈마루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이레와 음력 9월 15일에 산신제를 지냈으나, 1960년대 즈음부터 정월의 산신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북면 운용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운용리 군단이 산신제는 정월 초에 길일을 택하여 날짜를 정하되 통상 정월 초열흘날 이전으로 제삿날을 받는 것이 관례이다. 이를 위하여 섣달그믐이나 정초에 마을 임원과 원로들이 회합을 열어 부정이 없고 깨끗한 사람을 제관으로 선정한다. 제관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응원리의 원골과 막실에서는 해마다 정월이 되면 산신제와 정제를 지낸다. 원골 마을에서는 정월 초에 길일을 택하여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산신제와 정제를 지내며, 막실 마을에서는 정월 첫 용날[辰日]에 온 마을 사람들이 모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수신면 장산리 장명 마을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지내는 마을 의례. 장산리 장명 마을에서는 음력 시월 무렵에 길일을 정해서 마을의 산 중턱에 올라가서 산신제를 지낸다. 그리고 음력 정월 열나흗날 밤에는 마을 어귀의 세 군데에서 각각 거리제를 지낸다. 산신제를 올리는 제의 장소는 마을 뒷산 중턱인데 별도의 제당(祭堂)이 마련되어 있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지장 1리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지장 1리의 소반점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열나흗날이면 마을 뒷산 중턱에 있는 산제당에서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고 있다. 산신제를 주관하는 제관(祭官)과 축관(祝官)은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보아서 마땅한 사...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지장 2리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지장 2리의 왕승(王升) 마을은 조선 인조가 이괄의 난으로 피난하면서 이 지역을 지났던 일과 관련하여 유래한 이름이다. 왕승 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고자 해마다 음력으로 정월 초사흗날과 시월 초사흗날에 산제를 지냈다. 그러다...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참외가 열매를 맺기 시작하는 시기에 참외가 잘 자라도록 기원하며 지내는 제의. 천안 지역은 예부터 참외 산지로 유명했고, 특히 개구리참외가 특산물로 꼽혔다. 천안에서만 재배되는 특수 작물인 성환 개구리참외는 서북구 성환읍이 예로부터 유명하여 성환 참외라고도 불린다. 참외를 재배하는 가정에서는 참외가 열매를 맺기 시작할 무렵에 원두막을 짓는다...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목천읍 천정리에서 매년 음력 시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목천읍 천정 1리의 한천 마을에서는 가을걷이를 마친 음력 시월상달에 길일을 택하여 왕자산(王子山) 산신을 위한 산신제를 지낸다. 그리하여 시월이 도래하면 먼저 제삿날을 택일하여 날을 잡는다. 그러나 만약 제를 앞두고 초상이나 출산이 있으면 다...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에서 해마다 정월 초사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성거읍 천흥리의 천흥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초사흗날[음력 1월 3일] 저녁에 성거산 산신에게 올리는 산신제를 지낸다. 산신제 진행을 위하여 정월 초가 되면 이장·노인회장 등이 모임을 열고 길일을 택일한다. 아울러 길일인 생기복덕일(生...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에서 음력 시월 초하루에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청당동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으로 신둔지리와 거재리가 합쳐져서 청당리가 되었다. 청당동의 거재 마을은 논과 밭으로 둘러싸인 평지 마을로 남쪽으로는 토성산(土城山), 동쪽으로는 갈미재가 있어서 아늑한 느낌을 주는 마을이었다. 예로부터 마을에...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판정 2리에서 해마다 섣달그믐에서 정월 초하루 사이에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판정리에 있는 자연 마을인 산직말[산직 마을]은 1914년 행정 구역 통폐합 때 판정리와 합해지기 이전에는 산직리로 독립된 한 개의 행정리였다. 산직말에서는 해마다 섣달그믐날 밤 12시 무렵부터 정월 초하루 1시 사이에 마을의 샘에서 정...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판정리에서 해마다 섣달그믐과 칠석에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직산읍 판정리에는 판정 마을과 산직 마을[산직말]이라는 두 개의 자연 마을이 있다. 판정 마을에서는 마을에 있는 공동 샘에서, 샘이 마르지 않고 마을 사람들 모두가 한 해 동안 평안하기를 기원하며 제사를 올린다. 판정리 판정 정제가 언제...
-
충청남도 천안시에서 객귀로 말미암은 몸의 이상이나 질병을 치유하고자 시행한 축귀(逐鬼) 의례. 푸레박질은 객귀 물리기 또는 해 물리기라고도 부른다. 집안 식구가 외출 전에는 아무 이상이 없다가 외출했다가 귀가한 후에 갑자기 두통·복통·몸살 등의 기운을 느끼게 되면 객귀가 들린 것이 아닌가 하고 의심하게 된다. 객귀는 이승에서 방황하여 이곳저곳을 떠돌아다니는 귀...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서 3리에서 마을의 평안과 풍농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풍세면 풍서리의 상정 마을은 풍서리에서 가장 큰 마을로, 큰 정자나무가 있어서 정자말이라고 부르던 것이 위쪽에 있다고 하여 상정(上亭)이라 불린다. 이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 첫 용날[진일(辰日)]에 정제를 지낸다. 혹시라도 마을에 부정한 일이 생기면 제...
-
충청남도 천안시 수신면 해정리 엄정말에서 매년 정월과 칠월에 풍년과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해정리 엄정말 느티나무 고사는 음력 정월 열나흘날과 칠월 초엿샛날에 거행된다. 예전에는 저녁 무렵에 고사를 지냈으나 시대의 변화와 더불어 시간을 오전으로 앞당겨서 치른다. 해정리 엄정말 느티나무 고사를 위해 일주...
-
충청남도 천안시 동면 행암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평안을 기원하는 마을 제사. 행암리 마을 입구의 ‘장승백이’[장승박이]에는 오래된 석상 두 기가 좌우에 서 있는데 이는 장승이다. 그리고 마을 뒷산 몽각산에는 산신을 모신 산제당이 있다. 예전에 행암리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가 되면 산제당에서 마을의 무사태평을 기원하는 산신제를 지내고, 산신제를 마치...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행정리에서 격년마다 정월 열나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동남구 광덕면 행정리의 구정 마을에서는 격년마다 정월 열나흗날 저녁에 산신제와 수살제를 지내는데, 짝수 해에는 산신제와 수살제를 지내고 홀수 해에는 줄다리기를 한다. 구정 마을에서는 산신제와 수살제의 진행을 위하여 정월 초사흗날...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호당 1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호당 1리의 호당 마을에서는 해마다 정월 초에 산신제의 날짜를 정하고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가려 부정이 없고 정결한 사람으로 제관(祭官)과 축관(祝官)을 선정한다. 제관과 축관은 그날부터 술과 담배를 금하고 매일 찬물로...
-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동면 화계리 번개에서 매년 정월 열나흗날에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화계리 번개 노제를 지내는 시간은 정월 열나흗날 밤[대보름 자시]이다. 제를 지낼 때에는 마을에서 부정이 없고 깨끗한 사람으로 제관(祭官)과 축관(祝官), 그리고 ‘불대장’이라 불리는 유사(有司)를 한 사람씩 선정한다. 제관으로 선...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효계리에서 매년 정월 초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효계리의 새춘이 마을에서는 매년 정월에 초닷새가 되기 전에 동제를 지낼 날을 택일한다. 생각하지 못한 부정이 생기면 동제를 지내기가 어렵기 때문에 가능하면 설을 쇠고 곧이어 지내는 것이 좋다고 여기는 것이다. 동제는 느티나무 앞에서 지내는...
-
충청남도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흑암리에서 매년 정월 초이튿날 농사의 풍년과 안녕을 기원하며 지내는 마을 제사. 천안시 서북구 입장면 흑암리의 검바위 마을에서는 용왕신이 깃든 공동 우물과 마을에 있는 해묵은 느티나무를 대상으로 정제를 지낸다. 제관은 섣달그믐이 되면 길일인 생기복덕일(生氣福德日)을 가려 부정이 없고 나이가 지긋한 사람을 제주(祭主)와 축관(祝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