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801641 |
---|---|
한자 | 佐浦里山水洞堂山祭 |
분야 | 생활·민속/민속,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이상훈 |
의례 장소 | 좌포리 산수동 당산제 -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산수동 마을 |
---|---|
성격 | 민간 신앙 |
의례 시기/일시 | 음력 1월 15일 전 |
신당/신체 | 느티나무 |
[정의]
전라북도 진안군 성수면 좌포리 산수동 마을에서 행해지는 마을 제사.
[개설]
당산제는 마을의 수호신을 모시고 사람들의 무병과 풍년을 기원하기 위한 제의이다. 진안 지역에서는 당산제와 산신제가 혼용하여 사용된다. 산제, 산신제, 당산제, 길산제, 용왕제, 고목제, 서낭제, 탑제, 황단제, 깃고사 등 다양한 마을 제의가 전승되고 있다.
당산제는 일반적으로 정월 초에서 보름날에 행하여지며 제주는 종교적으로 깨끗한 사람으로 선정한다. 초상집에도 가지 않고 비린 것과 개고기를 먹지 않은 사람을 의미한다. 보통 제관, 축관, 집사 등을 선정한다. 제주는 일반적으로 남자로 선정하는데 제물은 주당산과 따로 준비한다. 그 내용은 일반적으로 돼지 머리를 비롯하여 삼색실과, 주(酒), 포(脯), 떡 등이 준비된다. 제의 비용은 보통 마을 재산이나 공동으로 거출하여 충당한다. 절차는 보통 유교식으로 진행되며 제가 끝나면 함께 음복하고 마을의 대소사를 논의한다.
[연원 및 변천]
당산제를 언제부터 모시게 되었는지 그 내력을 자세히 알지 못하지만 산수동 마을에서는 마을의 안녕과 평안을 위하여 지금까지 지내고 있다. 본래는 마을 뒷산에 위치한 당산에서 지냈으나 현재는 마을 가운데에 있는 당산에서 정월에 날을 정하여 모신다.
[신당/신체의 형태]
산수동의 당산은 원래 마을 뒤편 산 정상에 우뚝 서 있는 느티나무이다. 마을 사람들은 이 당산을 가리켜 ‘뒷재’라 부른다. 뒷재가 점차 시들해지고 고사 직전에 이르자 산수동 마을 사람들은 당산을 마을 가운데 위치한 느티나무로 옮겨 제를 계속 모시고 있다. 이 나무를 가리켜 ‘당산배기’라 부른다.
[절차]
산수동의 당산제는 음력 1월 15일 안에 좋은 날을 받아 제를 모신다. 따라서 당산제를 모시는 날짜가 매년 약간씩 다르다. 제물은 마을 사람 가운데 깨끗한 집에서 장만한다. 그리고 제비는 가구 수대로 돈이나 쌀을 걷는데, 근래에는 주로 돈을 낸다. 돈을 낼 경우 액수가 정해져 있지 않고 마을 사람 개개인의 성의대로 낸다. 제의에는 마을 사람들 가운데 깨끗한 사람이면 누구나 참석하는데, 준비한 제물을 들고 당산으로 나아가 제를 모신다. 주로 남자들이 풍물을 치면서 앞서 나아가고 부녀자들은 뒤를 따른다.
제물은 밥, 시루떡, 돼지머리, 과일, 나물, 포, 생쌀 등을 올린다. 뒷재에서 제를 모실 때는 달봉날망을 향해 제물을 진설한다. 예전에는 제를 올릴 때 축문을 읽었으나 지금은 소지만 올린다. 소지는 가구 수대도 제의에 참여한 모든 이들이 자발적으로 나서서 마을과 집안의 안녕과 평안함을 기원하면서 올린다.
[축문]
좌포리 산수동 당산제의 축문은 따로 없고 소지를 올리면서 독축을 한다.
[부대 행사]
당산제가 끝나면 마을 회관에서 음복하면서 한 해의 일을 계획한다.
[현황]
산수동(山水洞) 마을은 관무봉 아래 자리 잡고 있는데 내좌 마을 안쪽에 위치한다. 산속 깊숙이 마을이 자리 잡고 있어서 붙여진 명칭이다. 김해 김씨, 밀양 박씨, 평산 신씨 등에 의하여 형성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