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6278 |
---|---|
한자 | 打作-[北區] |
영어공식명칭 | Tajak-nOrae|Threshing Song |
이칭/별칭 | 「보리타작소리」,「도리깨질소리」,「옹헤야」 |
분야 |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유산/무형 유산 |
유형 | 작품/민요와 무가 |
지역 | 대구광역시 북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정서은 |
채록 시기/일시 | 1987년 6월 6일 - 「타작노래」[북구]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1동 관음마을에서 채록 |
---|---|
채록지 | 「타작노래」[북구] 채록 추정지 -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
가창권역 | 대구광역시 - 대구광역시 |
성격 | 민요 |
기능 구분 | 농업노동요 |
형식 구분 | 선후창 |
가창자/시연자 | 이태원|최종택 |
[정의]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농업노동요.
[개설]
「타작노래」[북구]는 보리를 깔아 놓고 보리 이삭을 터는 작업 때 부르는 농업노동요이다. 보통 보리 타작에는 ‘도리깨’라는 농기구가 사용되는데 소리 없이 도리깨를 내려치면 일손이 맞지 않기 때문에 소리를 하며 리듬을 맞춘다. 목도리깨꾼이 메기는소리를 하면 종도리깨꾼이 받는소리를 한다. 「보리타작소리」, 「도리깨질소리」, 「옹헤야」라고도 일컫는다.
[채록/수집 상황]
1987년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에서 발간된 『민속예술』에 따르면, 1987년 6월 6일 대구직할시 북구 칠곡1동 관음마을에서 가창자 이태원과 최종택으로부터 「타작노래」[북구]가 채록되었다. 다만, 당시 채록한 장소에 관한 기록이 애매한 점이 있어 정확한 현재 위치는 특정하기 어렵고 현재의 대구광역시 북구 관음동 지역일 것으로 추정된다.
[구성 및 형식]
「타작노래」[북구]는 목도리깨꾼이 소리를 메기고 여러 사람의 종도리깨꾼이 받는 선후창 형식으로 부른다.
[내용]
관음마을에서 채록된 「타작노래」[남구]는 “옹헤야"가 후렴으로 나오는 유형이다. 대구 지역의 타작 노래에는 이러한 유형이 흔히 발견된다. 다만, 후렴인 “옹헤야”를 다른 마을과 달리 “오~옹헤야”로 부르는 특징적인 가락을 갖고 있다. 사설은 다음과 같다.
“오~ 옹헤야 오~ 옹헤야/ 오~ 옹헤야 오~ 옹헤야/ 잘도 한다 오~ 옹헤야/ 정월이라 십오일에 오~ 옹헤야/ 망월하는 소현들아 오~ 옹헤야/ 훈풍도 오~ 옹헤야/ 보련이와 오~ 옹헤야/ 부모 봉양 오~ 옹헤야/ 생각하라 오~ 옹헤야/ 신체발부 오~ 옹헤야/ 사계절은 오~ 옹헤야/ 부모님께 오~ 옹헤야/ 태어나니 오~ 옹헤야/ 태산 같이 오~ 옹헤야/ 깊은 넋과 오~ 옹헤야/ 하해 같이 오~ 옹헤야/ 깊은 정을 오~ 옹헤야/ 어이 햐야 오~ 옹헤야/ 잊어리요 오~ 옹헤야/ 천만시를 오~ 옹헤야/ 믿었더니 오~ 옹헤야/ 봉래산에 오~ 옹헤야/ 불사약과 오~ 옹헤야/ 불로초를 오~ 옹헤야 .”
[현황]
「타작노래」[북구]는 현재 타작 자체가 기계화되면서 노동 현장에서 불리는 일이 없어졌다. 다만, 대구광역시에서는 농요보존회를 중심으로 공연화되어 전승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대구광역시에서 전승되는 「타작노래」[북구]는 대구 지역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옹헤야」류의 소리이지만, 다른 지역과 달리 “오~ 옹헤야”로 변화한 후렴구의 특징을 보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