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1427 |
---|---|
한자 | 賣國條約批准反對國民聲討大會 |
분야 | 역사/근현대 |
유형 | 사건/사건·사고와 사회 운동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임삼조 |
설립 시기/일시 | 1965년 7월 10일 - 매국조약비준반대국민성토대회 개최 |
---|---|
최초 설립지 | 대구종합운동장 - 대구광역시 북구 공성로 191[고성동3가 2] |
성격 | 사회운동 |
[정의]
1965년 대구에서 일어난 한일회담반대운동.
[역사적 배경]
1964년 박정희 정부는 경제개발에 필요한 자금과 기술을 일본으로부터 들여오기 위하여 한일회담을 본격적으로 추진하였다. 대일 협상의 진행 과정을 비밀에 부쳐 온 박정희 정부는 1964년 3월 한일회담의 타결, 조인, 비준을 5월까지 마친다는 방침을 밝혔다. 박정희 정부는 일본의 식민 지배에 관한 문제를 한일회담의 부차적인 내용으로 간주하는 태도를 보였다.
야당은 ‘대일굴욕외교반대 범국민투쟁위원회’를 결성하여 전국 유세에 들어갔고, 학생들의 반대 시위도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대구·경상북도 지역에서는 경북대학교, 계명대학교, 대구대학[현 영남대학교], 청구대학[현 영남대학교] 등 대학생들을 중심으로 한일회담반대운동이 일어났고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가 결성되어 본격적으로 한일회담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경과]
1964년 3월 25일 계명대학교와 경북대학교를 비롯한 대구 지역 대학생들이 “한일회담 즉시 철회하라”라는 구호를 내걸고 2시간 동안 시위를 벌였다. 대구대학 1,000여 명의 학생들은 강당에 모여 학생 총회를 열고 “한일회담을 즉시 철회하라”, “야당은 우리를 이용하지 말라”, “감금된 학생을 즉시 석방하라”라는 결의문을 채택하고 가두시위를 벌였다. 1964년 3월 26일 계명대학교 학생들은 공화당, 민정당 대표들과 함께 한일회담 관련 공개 토론회를 개최하였다.
박정희 정부가 한일회담을 계속 추진하자 한일회담반대운동은 전국적으로 확산되었다. 박정희 정부는 1964년 6월 3일 오후 6시 30분 비상계엄령을 선포하고, 1964년 7월 29일 해제될 때까지 일체의 옥내외 집회 및 시위 금지, 대학의 휴교, 언론·출판·보도의 사전검열, 영장 없는 압수·수색·체포·구금, 통행 금지 시간 연장 등을 포고하여 한일회담 반대 시위를 축소·봉쇄하고자 하였다.
비상계엄령이 선포된 뒤인 1964년 6월 5일에도 계명대학교 학생들은 “서울의 학우들이 발이 묶여 행동하지 못할 때는 이곳 학생들이 그 바통을 이어받아야 한다”며 강당에서 긴급 학생 총회를 열고 한일회담 반대 시위를 계속 벌이겠다는 결의를 다졌다. 1965년 박정희 정부는 연내에 한일회담을 종결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1965년 1월 18일 한일 본회담이 속개되었고, 2월 19일 한일기본조약을 가승인하였다. 대구 지역 한일회담반대운동은 1965년에도 계속되었고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가 중심이 되어 한일 협정 체결 반대운동을 전개하였다.
1965년 4월 1일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가 수성천 변에서 강연회를 개최하자 2만여 명의 시민이 참가하였다.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는 강연회에서 “굴욕 외교는 즉각 중지하라”, “평화선은 생명선이다. 사수하자”, “매판자본을 배격하자”라는 내용의 결의문을 채택하였다. 1965년 4월 9일 대일굴욕외교반대투쟁위원회 경북지부는 공화당의 강연회에 시민을 동원하는 행정 당국을 비난하는 성명서를 발표하기도 하였다. 계명대학교, 경북대학교, 대구대학 등도 1965년 4월 21일부터 한일 협정 비준을 반대하며 즉각 철회를 주장하는 가두시위를 계속 이어 갔다.
[결과]
1965년 6월 22일 한일기본조약은 결국 체결되었고 이후에는 한일 협정 인준 반대 투쟁으로 이어졌다. 1965년 7월 10일 민중당이 대구종합운동장에서 1만여 명의 군중과 함께 한일 협정 인준을 반대하는 매국조약비준반대국민성토대회(賣國條約批准反對國民聲討大會)를 개최하였다.
[의의와 평가]
매국조약비준반대국민성토대회는 대구 지역에서 일어난 한일회담반대운동 가운데 가장 큰 규모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