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40000819 |
---|---|
한자 | 東國地圖三 河陽地圖 |
영어공식명칭 | Map of Hayang in Donggukjido 3 |
분야 | 지리/인문 지리,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대구광역시 |
시대 | 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류명환 |
조선 후기에 제작된 『동국지도3』에 수록된 경상도 하양현의 지도.
『동국지도3(東國地圖三)』 「하양지도(河陽地圖)」 는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동국지도3』[승계貴2702-22]에 수록되어 있다. 『동국지도3』은 영조 연간에 경상도 71개 군현을 그린 채색 필사본 지도책인데, 표제로 볼 때 다른 도(道)의 지도도 함께 그려졌으나 경상도만 전하는 것으로 보인다.
『동국지도3』 「하양지도」 의 크기는 세로 53.0㎝, 가로 35.5㎝이다. 세로 3칸, 가로 3칸의 방안에 그려져 있으며, 방안 외곽에는 동100, 남27의 수치가 기재되어 있다. 주기(註記)는 없다.
『동국지도3』 「하양지도」 에서 읍치는 적색의 원형으로 표시되어 있다. 방리는 현재 경상북도 경산시 하양읍 지역인 마양면·북면, 경산시 와촌면 지역인 와촌면, 경산시 진량읍 지역인 낙산면·중림면, 대구광역시 동구에 편입된 안심면이 표기되어 있다. 또 동쪽 영천 경계에 있는 소당리·걸삼리, 서쪽 대구 경계에 있는 우암리 등도 기록되어 있다.
산줄기는 ‘∧’ 모양으로 중첩되게 그려 청록색으로 표현하였는데, 읍치 서북쪽에는 진산인 무락산이 있다. 영천·신녕과 경계를 이루는 북쪽에는 공산, 자인과 경계를 이루는 남쪽에는 금박산·외적산이 기록되어 있다. 그 외에 독립된 봉우리로 초례산, 별방산이 그려져 있다. 또 읍치 서쪽에는 경산 성산봉수의 신호를 받는 시산봉(匙山烽)이 기호와 함께 표시되어 있다.
하천은 두 줄의 실선을 사용하여 청색으로 채색하였는데, 오늘날의 금호강이 읍치 남쪽을 흐르며 공산에서 흘러오는 지류들이 합류한다. 역참은 화양역이 기록되어 있고, 서원은 허조(許稠)[1369~1439]를 배향한 금호서원이 읍치 서쪽에 표기되어 있다. 읍치 북서쪽에는 신녕현의 월경지(越境地)인 이지현(梨旨縣)이 ‘이지음곡(利旨音谷)’으로 기재되어 있다.
『동국지도3』은 경상도의 군현을 동일한 4.2㎝ 크기의 20리 방안에 통일된 기호를 사용하여 1장의 지도에 1개 군현씩 수록한 지도책이다. 『동국지도3』은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소장 『조선지도(朝鮮地圖)』와 거의 유사한 형태로 제작되었지만, 방안에 수치가 기재되어 있는 점과 도로망이 그려져 있지 않은 점 등은 정조 연간에 제작된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해동여지도(海東輿地圖)』와 동일하다. 또한 『동국지도3』에 기록된 방안 수치는 『청구도(靑邱圖)』 일부 판본에 삽입된 팔도분표(八道分俵)의 방안 수치와도 일치하여 조선 후기 지도 발달사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사료이다.
『동국지도3』 「하양지도」 는 당시 하양 지역의 현황을 살펴볼 수 있는 좋은 자료이며, 이후 간행된 『해동여지도』의 저본이 된 지도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