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민중의 생활 속에 자연스럽게 만들어져 전해 내려오는 노래. 민요는 민중의 생활과 정서가 반영되어 있는 소리로 문학·음악·무용과 밀접한 관련을 가진다. 노동을 하거나 의식을 하거나, 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노래로 민중 스스로의 필요에 의하여 부르는 소리이기 때문에 판소리처럼 청자의 반응에 구애될 필요가 없고, 다만 스스로 만족하면 그 자체로 충분한 독자성을 가진다...
-
경기도 양주 지역을 포함한 서울과 경기도 전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민요. 경기민요는 서울과 경기도 전역에서 전승되어 오던 민요 가운데 특히 ‘경기긴잡가’를 일컫는다. 1975년 7월 12일 국가 무형 문화재 제57호로 지정되었다. 본래 잡가는 가곡이나 가사와 같은 정가(正歌)와 대비되는 속가(俗歌)라는 뜻으로 쓰였으나, 오늘날에는 속가 중에서도 긴 형식의 노래를 앉아서 부르는 것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가래질을 하면서 부르는 노동요. 「가래질 소리」는 흙을 떠서 던지는 기구인 가래로 일을 하면서 부르는 토건 노동요이다. 가래질 소리는 주로 논이나 밭의 높은 곳에 있는 흙을 낮은 곳으로 옮겨 던지거나 높게 쌓아 올릴 때, 이른 봄에 논두렁을 보수할 때, 그리고 흙을 두덩에 올려놓을 때 노래를 통해 흥을 돋우면서 힘든 것을 잊기 위하여 불렀다. 199...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전해 내려오는 평안을 기원하는 의식요. 「고사반」은 액운을 없애고 행운을 바라는 마음으로 신령에게 음식을 차려 놓고 빌면서 부르는 세시 의식요이다. 주로 정초에 농악대를 앞세우고 집집마다 돌아다니면서 축원하며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11~124쪽에 실려 있다. 「고사반」은 당시...
-
경기도 양주군 구리읍 교문3리[현 구리시 교문3동]에서 곰보를 소재로 하여 부르는 유희요. 「곰보 타령」은 옛 양주군에서 전해 내려오는 경기민요 중 휘모리 잡가의 하나로서 곰보 얼굴을 한 중의 모습을 과장하여 해학적으로 비유한 가사로 되어 있는 가창 유희요이다. 휘모리 잡가는 서울, 경기 지방의 소리꾼들이 12잡가와 선소리를 부르고 나서 부르던 빠른 장단의 노래로, 해학적인 노랫말...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 굴레의 치장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굴레치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 굴레의 치장을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굽내력」 다음에 영감이 「굴레치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발굽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굽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굽 모양에 대하여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굽치레」라고도 한다. 「다리내력」 다음에 영감이 「굽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귀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귀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귀의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귀치레」라고도 한다. 「뿔내력」 다음에 만신이 소귀에 대한 내력을 묻자 영감은 「귀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가 말귀를 알아듣는 지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글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가 말귀를 알아듣는 지에 대하여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마부치장」 다음에 영감이 글귀까지 가르쳐 주는 대로 잘 배운다며 「글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봉분을 만들 때에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의식요. 「긴 달고 소리」는 장례 의식에서 묘 터에 하관을 한 후 흙을 다질 때 부르는 장례 의식요[성분요(成墳謠)]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의 인심이 좋고 협동심이 강하던 지역 주민이 알뜰히 가꾸고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이는 미리 준비한 묘 터에 관을 내린 뒤 흙...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선소리꾼과 상여꾼이 상여를 메고 출발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긴 상여 소리」는 장례 의식에서 상여가 출발할 때 선소리꾼과 상여꾼이 부르는 장례 의식요[운상요]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의 인심이 좋고 협동심이 강하던 지역 주민이 알뜰히 가꾸고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장례 의식에 있어 발인제(發靷祭)[상...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노동요. 「긴소리」는 광적면 효촌리 지역의 농민들이 논일을 할 때 잡초 제거를 위하여 김[풀]을 맬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논맴」이라고도 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25쪽에 실려 있다. 「긴소리」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남, 69]으로부터...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꼬리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꼬리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꼬리 모양에 대하여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꼬리치레」라고도 한다. 「이내력」 다음에 영감이 「꼬리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
-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에서 논밭에 나가 일을 할 때 부르는 노동요. 「꽃방아 타령」은 「방아 타령」 유형의 하나로 논이나 밭에서 일을 할 때 부르는 노동요이면서 때로는 땅을 다지며 부르는 「회다지 소리」에 실어 구연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를 「회방아 타령」이라고도 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70~171쪽에 실려 있다....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도끼의 누이가 부르는 의식요. 「넋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 마당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도끼의 누이가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7쪽에 실려 있다. 「넋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김을 맬 때 부르는 노동요. 「논김양산도」는 논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일종의 논농사요이다. 김매기는 잡초를 제거하는 일뿐만 아니라 포기 사이의 굳어진 겉흙을 부수어 공기가 잘 통하고 수분이 잘 유지될 수 있게 하는 일종의 갈이 작업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26쪽에 실려 있다. 「논김양산도」는...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김을 매며 부르는 노동요. 「논매기 소리」는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용암리·선암리, 광적면 효촌리 등 여러 지역 농민들이 논에서 김[풀]을 맬 때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논매기 노래」는 「방아 타령」에 실어 부르는 소리, 「상사 소리」, 「녹두새 소리」, 「미나리」 등 네 가지 종류가 채록되어 있다. 밝고 경쾌한 경기민요적인 성격을 가진 앞 세 경우와 다르게...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소놀이굿에서 논밭을 갈면서 부르는 의식요. 「논밭갈기」는 양주소놀이굿의 일부분으로 불리고 있는 가사로서 소와 쟁기를 이용하여 논밭을 갈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논밭갈기」는 ‘소마모색 타령’과 ‘소 치장치레 대목’이 이어지고 난 후 「글내력」 전에 주로 구송(口誦)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37쪽에 실려 있...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농사일에 대한 덕담을 읊는 의식요. 「농사덕담」은 현재 양주소놀이굿의 일부분으로 불리고 있는 가사로서 농사일에 대하여 덕담 형식으로 읊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38~140쪽에 실려 있다. 「농사덕담」은 당시 경기도 양주군 백석면 방성리 주민 김인기[남, 86]로부터 채록한 것이다....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눈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눈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쇠눈의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눈치레」라고도 한다. 「귀내력」 다음에 만신이 소의 눈에 대한 내력을 묻자 영감은 소가 눈이 작고 눈썹이 길면 사나운...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다리 모양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다리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다리 모양에 대하여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다리치레」라고도 한다. 「꼬리내력」 다음에 영감이 「다리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땅을 다지면서 부르는 노동요. 「달구질 소리」는 옛날 집 지을 터를 닦을 때 땅을 단단하게 다지기 위하여 마을 사람들이 다 같이 모여 터를 다지면서 부르는 토건 노동요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1쪽에 실려 있다. 「달구질 소리」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남, 69]으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무덤을 다질 때에 부르는 의식요. 「답산가」는 장례 의식에서 회다지를 할 때 달고 소리에 얹어 부르는 장례 의식요[성분요(成墳謠)]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 주민이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회를 섞은 흙에 반복적으로 달구질을 하여 묘 터를 굳게 다지는데 박자에 따라 「긴 달고 소리」나 「자진 달고 소리」를...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취발이가 부르는 의식요. 「둥둥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3경 취발이놀이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취발이가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3쪽에 실려 있다. 「둥둥 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먹중이 부르는 의식요. 「등장가」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3경 애사당법고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먹중이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9쪽에 실려 있다. 「등장가」는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와 경기도 양주군 주내면...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새를 소재로 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똥그랑땡 노래」는 새들의 모습을 사람에 비유하면서 후렴에 ‘동그랑땡’이란 단어를 사용하여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이를 「동그랑땡」이라고도 한다. 이는 전국 각지에서 발견되는데, 양주시의 「똥그랑땡 노래」의 특징은 후렴 부분이 독특하다는 것에 있다. 1989년 인천교육대학 기전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기전문화...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장수를 불러대는 것에 대한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마부 타령」은 양주소놀이굿의 소와 마부의 등장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장수를 불러대는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소와 마부의 등장 순서는 먼저 소와 송아지가 들어와 춤을 추며 마당을 돌아다니며 무녀들에게 장난을 친다. 다음으로 소와 송아...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마부의 모양새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마부치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마부의 모양새를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질마치장」 다음에 만신이 마부에게 치장을 꾸며 보라고 하자 영감이 「마부치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마부가 말뚝의 나무 종류를 대며 부르는 의식요. 「말뚝치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 흥정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소를 매어 놓을 말뚝에 대해 갖가지 나무 종류를 대며 부르는 소리이다. 소 흥정 대목이 끝나고 나면 소를 묶어둘 말뚝에 대해 부르는 「말뚝치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머리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머리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머리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머리치레」라고도 한다. 「빛내력」 다음에 만신이 영감에게 소를 살 때에는 머리가 잘 생긴 소를 골라야 한다며...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노동요. 「모내기 소리」는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 남면 상수리, 광적면 효촌리 등지의 논에서 손으로 모를 심어 가면서 흥을 돋우고 힘든 것을 잊기 위해 부르는 논농사요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2~145쪽에 실려 있다. 「모내기 소리」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비암...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논에 모를 심으며 부르는 노동요. 「모심는 소리」는 농민들이 논에서 모찌기를 한 다음 논에 모를 심으면서 부르는 농업 노동요로서 「모내기 소리」와 같은 논농사요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6~147쪽에 실려 있다. 「모심는 소리」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남, 69]으로...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농민들이 모판의 모를 빼며 부르는 노동요. 「모찧는 소리」는 모내기를 하기 전에 수행되는 모찌는 과정에서 불리는 농업 노동요이다. 모찌는 과정이란 못자리[모판]에서 기른 벼의 모종을 모판에서 빼내어 옮겨 심는 벼 농사일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8쪽에 실려 있다. 「모찧는 소리」는 당시 경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방아를 찧을 때 부르는 노동요. 「방아찧기 노래」는 수확한 곡식의 깍지를 벗기고 쭉정이를 골라 알곡을 걸어내기 위해 방아를 찧을 때 박자에 따른 동작의 통일성과 일의 수고를 덜기 위하여 부르는 제분 정미요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9쪽에 실려 있다. 「방아찧기 노래」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밭을 갈며 부르는 노동요. 「밭가는 노래」는 농민들이 겨리[두 마리 소가 끌면서 밭을 가는 쟁기]로 밭을 갈 때 두 마리의 소를 힘들게 몰면서 부르는 밭농사요이다. 봄에 씨를 뿌리기 위해서는 먼저 겨우내 얼었던 땅을 갈아 밭을 뒤엎어 가는 일이다. 이 작업은 힘이 많이 들기 때문에 대부분 소를 이용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완보와 먹중들이 부르는 의식요. 「백구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1경 염불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완보와 먹중들이 함께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3쪽에 실려 있다. 「백구 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뱃놀이를 하면서 부르는 유희요. 「뱃노래」는 양주 지방에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뱃놀이를 즐기자는 내용과 함께 임에 대한 사랑이 그려져 있는 가창 유희요이다. 「뱃노래」는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는데, 지역에 따라 약간씩 사설이 달라지는 통속 민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다. 「뱃노래」는 당시 양주군 주민으로부터 채록하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남편이 있는 여자가 외간 남자와 정을 통한다는 유희요. 「범벅 타령」은 남편이 없는 사이에 간부와 놀아난 아내를 타박하는 노래로 간부(姦夫)를 혼내고 아내를 혼낸 후 용서한다는 유희요로서 노래의 내용이 이야기처럼 전개되는 까닭에 서사 민요라고도 한다. 「범벅 타령」은 열두 가지 범벅 이름을 주워섬긴 데서 생긴 이름으로 경기 잡가로 불리기도 하는데,...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베를 짤 때 부르는 노동요. 「베틀가」는 부녀자들이 베틀에 올라앉아 베를 짜며 부르던 길쌈요로서 삼·모시 등을 원료로 하여 천을 생산하기까지의 과정에서 불리었다. 베를 짜는 작업은 밤이 늦도록 오랫동안 진행되는 경우가 많았기에 작업의 성격에 맞게 긴 사설을 조용히 읊조린다. 사설에는 여성들의 관심이 반영된 서사적·교술적인 내용이 주를 이룬다. 199...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보리를 밟으며 부르는 노동요. 「보리밟기」는 농민들이 밭에서 웃자란 보리를 밟으면서 부르는 밭농사요이다. 현재 양주 지역에서는 보리를 심지 않고 있으나 과거에는 보리를 심어 주식으로 먹었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53쪽에 실려 있다. 「보리밟기」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효촌리 주민 김환익[...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마부가 부인을 치장해 주며 부르는 의식요. 「부인치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마부가 자신의 마누라인 만신에게 의복 치장을 해주면서 부르는 소리이다. 「글내력」과 「마부치장」을 마치면 마부가 뒤를 이어서 「부인치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4...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빛깔을 묻는 질문에 대한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빛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빛깔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마부 타령」이 끝나면 만신이 영감을 불러서 소의 마모색[생김새]을 묻고, 이에 영감이 나와 소의 머리 부분부터 몸 전체에 대한...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뿔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뿔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머리에 난 뿔의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뿔치레」라고도 한다. 「머리내력」 다음에 영감이 「뿔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산을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산타령」은 양주 지방에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유명한 산과 고개, 재 등을 읊은 가창 유희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다. 「산타령」은 당시 양주군 주민으로부터 채록하였지만, 자세한 제보자 정보는 빠져 있어 알 수 없다. 「산타령」은 2가행의 정행 형식을 가지고 있다. 사설은 전반부와...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국토의 분단과 통일을 염원하며 부르던 유희요. 「삼팔선 노래」는 노래 자체를 즐기기 위해 부르는 비기능 창곡요로서 광적면 비암리의 주민 한원교가 부르던 가창 유희요이다. 비기능 창곡요는 가창을 통해 즐기게 되는 분위기와 정서의 기본적 틀이 창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노래로서 사설이 주는 재미도 창곡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기본적 정서 위에 마련된다....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남녀 간의 상사를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상사요」는 양주 지방에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떠나겠다는 임을 향해 지난 애정을 노래하며 이별에 대한 고통과 슬픔을 부각하는 가창 유희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다. 「상사요」는 당시 양주군 주민으로부터 채록하였지만, 자세한 제보자 정보는 누락되어 있어 알 수 없다. 「...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출처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소지명」은 양주소놀이굿의 소와 마부의 등장 순서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출처를 묻자 이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마부노정기」라고도 한다. 먼저 무당이 마부에게 소를 사온 장이 어디인지 물어본다. 이에 마부는 팔도 장안의 명소를 절기...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혀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쇠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 혀의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혀내력」, 「혀치레」 등이라고도 한다. 「입내력」 다음에 영감이 「쇠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신할아비가 부르는 의식요. 「시조」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8과장 신할아비와 미얄할미에 나오는 장단 없는 타령이다. 신할아비가 부르는 소리인데, 신할아비는 나이가 많고 늙은 서민의 한 사람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4~16쪽에 실려 있다. 「시조」는...
-
경기도 양주에 속했던 의정부시 가능동 지역에서 시집살이의 고단함을 부르는 유희요. 「시집살이요」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옛 시집살이를 고되게 겪었던 며느리들의 입장에서 시댁 식구들의 야박한 태도에 대한 불만어린 한탄과 멀리 떨어져 자주 찾아보지 못하는 친정 가족에 대한 그리움이 드러나 있는 가창 유희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양주군지』에...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팔먹중이 부르는 의식요. 「야할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1경 파계승놀이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팔먹중들이 노장을 파계시킬 때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1쪽에 실려 있다. 「야할 타령」은 당시 양주별산대...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모심기를 할 때와 논맬 때 부르는 노동요. 「양주 들노래」는 논농사를 지으면서 양주 토박이말로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양주는 예로부터 논농사가 발달한 곡창 지대로서 노동요가 매우 발달할 수 있었다. 1930년대에 출생한 김병옥·김환익·허영이·황상복·박인병 등의 들노래 소리를 전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적어도 1900년대 초반에 이미 들노래가 존재하고 있었다는...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에서 전해 내려오는 전통 만가(輓歌).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는 고릉말에서 사람이 죽어 발인에서 무덤을 만드는 데까지의 장례 절차마다 부르는 선소리와 회다지 소리를 말한다. 고릉말이란 능이 있던 마을 혹은 능을 조성하기에 적합한 지역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죽음은 누구에게나 공평하다. 아무리 왕후장상, 영웅호걸이라도 피할 수 없는 운명이다....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봉분을 만들 때에 흙을 다지며 부르는 의식요. 「어러리 소리」는 장례 의식에서 묘 터에 하관을 한 후 흙을 다질 때 부르는 장례 의식요[성분요(成墳謠)]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의 인심이 좋고 협동심이 강하던 지역 주민이 알뜰히 가꾸고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장례 의식에 있어 묘 터에서 하관을 한 다...
-
경기도 양주에 속하였던 의정부시 가능동 지역에서 애정을 표현한 유희요. 「연정요」는 경기도 의정부시에서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사랑하는 임을 한양으로 떠나보낸 후 원앙새의 쌍쌍이 어울리는 것이 부러워 임을 그리워하며 부르는 가창 유희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는데, 이는 당시 양주군[현재 양주시]에 소속되어 있던 의정부읍 가능리 주민 박태순...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먹중이 부르는 의식요. 「염불 덕담」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1경 염불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먹중이 부르는 소리이다. 여기서 팔먹중은 완보, 옴중, 원먹중, 둘째상좌 등 4명과 가먹중 4명을 합한 8명의 먹중을 가리킨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완보(完甫)가 부르는 의식요. 「염불 타령」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5과장 팔먹중의 제1경 염불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완보가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중허튼 타령」이라고도 한다. 완보는 양주별산대놀이 제5과장에 등장하는 인물 가운데 하나로, 붉은 바탕의 탈에 갓을 쓰고 꽹과리를 든 팔먹중 가운데 어른 중이...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곁마부가 무당의 부름에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원마부 곁마부」는 양주소놀이굿의 소와 마부의 등장 중에 나오는 곁마부의 타령으로 무당[만신]의 부름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곁마부 타령」이라고도 한다. 원마부의 「마부 타령」이 끝나고 나면 곁마부가 등장하여 「원마부 곁마부」를 이어 노래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에 실린 보물을 자랑하며 부르는 의식요. 「은자보물」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소에 싣고 온 온갖 보물을 자랑하면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보물 타령」이라고도 한다. 「절내력」 다음으로 무당이 영감에게 소 사러 가던 날 부탁한 보물을 사왔냐고 묻자 영감이 자기가 사온 보물에 대한...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이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이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이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이치레」라고도 한다. 「쇠내력」 다음에 영감이 「이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이별을 소재로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이별요」는 양주 지방에 전해 내려오는 일반 민요로 꽃에 대한 이야기를 하면서 사실은 임을 향한 사랑을 노래하며 이별에 대한 고통과 슬픔의 정서를 표현하고 있는 가창 유희요이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간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다. 「이별요」는 당시 양주군 주민으로부터 채록하였지만, 자세한 제보자 정보는 빠져...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모를 심을 때 부르는 노동요. 「이앙요」는 논에서 손으로 모를 심어가면서 흥을 돋우고 힘든 것을 잊기 위해 부르는 농업 노동요이다. 이를 「모내기 소리」, 「모심는 소리」 등이라고도 한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발행한 『양주군지』에 실려 있다. 「이앙요」 자료는 당시 양주군 주민에게서 채록한 것으로, 자세한 제보자 정보는 빠져 있어 알 수 없다. 주...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입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입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입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입치레」라고도 한다. 「코내력」 다음에 만신이 소의 입에 대한 내력을 묻자 영감이 「입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봉분을 만들 때에 흙을 다지면서 부르는 의식요. 「자진 달고 소리」는 장례 의식에서 묘 터에 하관을 한 후 흙을 다질 때 부르는 「긴 달고 소리」 다음에 빠르게 부르는 장례 의식요[성분요(成墳謠)]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의 인심이 좋고 협동심이 강하던 지역 주민이 알뜰히 가꾸고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먼...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선소리꾼과 상여꾼이 상여를 운구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자진 상여 소리」는 장례 의식에서 장지까지의 거리가 많이 남았을 경우 갈 길을 재촉하여 빨리 부르는 장례 의식요[운상요]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의 인심이 좋고 협동심이 강하던 지역 주민이 알뜰히 가꾸고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이는 장례 의식에 있어...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액운을 물리칠 때 부르는 의식요. 「장님 경읽기 소리」는 시청각 자료가 존재하지 않아 확인은 불가능하지만 귀신들을 부리고 물리치는 가사 내용으로 보아 마을 구성원의 액운을 떼어낼 때 부르는 벽사 의식요이다. 1989년 인천교육대학 기전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기전문화연구』 18호에 실려 있는 정동화의 논문 「양주지방의 민요고」에 수록되어 있다. 「장님...
-
경기도 양주시 남면 상수리에서 걸인들이 구걸할 때 부르던 유희요. 「장타령」은 조선 후기 유민인 걸인들이 장을 돌아다니며 동냥을 하다가 부르기 시작한 노래로서 전국에 퍼져 있고, 각자 지역에 따른 사설의 변화가 생기는 가창 유희요이다. 이를 「각설이 타령」이라고도 한다. 1989년 인천교육대학 기전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기전문화연구』 18호에 실려 있는 정동화의 논문 「양주지방의...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가 절을 하는 것을 절[사찰]에 비유하여 부르는 의식요. 「절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로 하여금 정숙하게 절을 올리게 한 것에 대하여 영감[원마부]이 사찰(寺刹)인 절에 비유하여 화답하는 소리이다. 이를 「절 타령」이라고도 한다. 만신이 영감에게 소를 사왔으니 성주신에게 인사...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먹중들이 부르는 의식요. 「조기잡이」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1경 파계승놀이에 나오는 느린 굿거리장단의 타령으로 먹중들이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0쪽에 실려 있다. 「조기잡이」는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와...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각종 곡식의 품종별 종자에 대하여 부르는 의식요. 「종자 타령」은 현재 양주소놀이굿의 일부분으로 불리는 가사로서 농사에 있어 가장 중요한 종자에 대한 노래이다. 논에 심는 벼와 밭에 심는 조, 콩, 팥, 참깨, 들깨, 콩 등의 품종별 종자를 심으면서 그 특징을 노래하는 대목에 해당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집터를 닦을 때 부르는 노동요. 「지경 소리」는 집을 새로 지을 때 주춧돌 놓을 자리 등 집터를 닦으면서 여럿이 부르는 건축 노동요이다. 이를 「지경닦기」, 「성조가(成造歌)」 등이라고도 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66~169쪽에 실려 있다. 「지경 소리」는 당시 경기도 양주군 광적면 비암리...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 질마[길마]의 치장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질마치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질마 치장에 대하여 묻자 영감[원마부]이 이에 화답하여 부르는 소리이다. 「굴레치장」 다음에 영감이 「질마치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마부가 집의 치장 과정을 부르는 의식요. 「집치장」은 양주소놀이굿의 축원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앞으로 살아갈 집을 지으며 부르는 집치장에 관한 소리이다. 마부는 소를 흥정하며 판 돈으로 집 한 채를 잘 짓고 고생 없이 살아가자는 무당[만신]의 말에 집을 짓는다. 여기서는 집을 짓는데 사용되는 소나무 재목을 구하는 것에서부터 갖은 세간을...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효촌리에서 모판에서 모를 뽑으며 부르는 노동요. 「쪘네」는 농민이 모내기철 모내기 작업을 하기 전에 선행되는 모찌는 과정에서 불리는 논농사요이다. 모를 찐다는 것은 못자리[모판]에서 자란 벼의 모종을 모판에서 빼내어 논으로 옮겨심기 좋게 적당하게 덜어내는 농사일을 말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56쪽에 실...
-
경기도 양주시 광적면 비암리에서 주로 여성들이 놀면서 부르는 유희요. 「창부 타령」은 한양굿의 창부거리에 포함된 무가(巫歌)가 경기민요화 되어 변이된 노래로서 「노랫가락」과 함께 경기 지역의 대표적인 민요이다. 당시에 인기가 좋았던 노래라 다양하게 상품화가 되어서 전국적으로 불리고 있다. 1989년 인천교육대학 기전문화연구소에서 간행한 『기전문화연구』 18호에 실려 있는 정동화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청춘의 덧없음을 노래하는 유희요. 「청춘가」는 사설의 대부분이 청춘의 덧없음을 한탄하는 내용으로 되어 있는 가창 유희요이다. 경기민요 「청춘가」는 해당 자료가 사설로만 채록되었기 때문에 실제 성격을 정확히 파악할 수는 없지만 「청춘가」는 전국적으로 비슷한 형태를 가지고 보존되는 노래이다. 참고 자료에서도 전국적인 형태와 큰 차이가 없다고 기록되어...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선소리꾼과 상여꾼이 상여를 운구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초한가」는 장례 의식에서 상여 운구의 거리가 멀 경우 「상여 소리」에 실어 부르는 장례 의식요[운상요]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 주민이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원래는 중국의 초나라와 한나라가 서로 싸워서 이기고 지는 것을 읊은 서도 잡가의 하나였다....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회다지를 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춘향가」는 장례 의식에서 회다지를 할 때 자진 달고 소리에 얹어 부르는 장례 의식요[성분요(成墳謠)]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 주민이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하관을 하고 봉분을 다지는 과정에서 흙을 덮고 회를 섞은 흙에 반복적으로 달구질을 하여 묘 터를 굳게 다진다. 「춘...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별산대놀이 중에서 취발이가 부르는 의식요. 「취발이 가사」는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서 전해 내려오는 양주별산대놀이의 제6과장 노장의 제3경 취발이놀이에 나오는 타령으로 취발이가 부르는 소리이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서 제2집 『양주의 옛소리』의 12쪽에 실려 있다. 「취발이 가사」는 당시 양주별산대놀이보존회 회장 김순희와 경기도 양주...
-
경기도 양주 지역의 양주소놀이굿에서 영감이 소의 코 모양에 대한 질문의 답으로 부르는 의식요. 「코내력」은 양주소놀이굿의 ‘소마모색 타령’ 중에 나오는 마부의 타령으로서 무당[만신]이 소의 코 모양을 물어온 것에 대한 화답으로 영감[원마부]이 부르는 소리이다. 이를 「코치레」라고도 한다. 「눈내력」 다음에 영감이 「코내력」을 시작한다. 1999년 양주문화원에서 발행한 양주향토자료총...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말장난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유희요. 「통타령」은 양주 지방에 전승되는 일반 민요로 각 행의 마지막 운이 ‘-통’으로 끝나는 가사를 반복적으로 엮어 부르는 말엮기요이다. 낱말의 형태를 조작하고 음성적·내용적인 유사성을 기초로 하여 흥미로운 말을 만들어 부르는데, 동원된 어휘들은 생기를 띠면서 문장의 분위기를 잘 살리게 된다. 1978년 양주군지편찬위원회에서...
-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방성리에서 회다지를 하면서 부르는 의식요. 「회심곡」은 장례 의식에서 회다지를 할 때 달고 소리에 얹어 부르는 장례 의식요[성분요(成墳謠)]로서 백석읍 방성리 고릉말 주민이 충실히 전승·발전시켜 온 「양주 상여·회다지 소리」 중의 하나이다. 하관을 하고 봉분을 다지는 과정에서 흙을 덮고 회를 섞은 흙에 반복적으로 달구질을 하여 묘 터를 굳게 다진다. 「회심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