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후기 경기도 양주목 광석면[현 양주시 광적면 가납리]에 있던 다리. 가업교라는 명칭은 18세기 중엽에 편찬된 『여지도서(輿地圖書)』에 처음 등장한다. 가업교는 가래나무[추자목(楸子木)]가 많은 마을에서 그 나무를 이용해 만든 다리로 추측된다. 조선 후기에 가래비 혹은 가라비(加羅非)는 백석면[현 백석읍 가업리] 쪽에도 있었지만 『1872년 지방지도』 등에 등장하는 가라비는 가...
경기도 양주시 유양동에 있는 성황당. 국수당은 관아터 및 유양초등학교 뒤쪽에 있는 골짜기와 골짜기에 있는 성황당[서낭당]을 아울러 이르는 이름이다. 원래 국사당(國師堂)은 조선을 세운 태조 이성계가 한양에 도읍을 정한 뒤, 그 수호신사(守護神祠)로서 북악산과 남산[목멱산] 꼭대기에 두었던 사당이다. 각 지방에서도 민간 신앙으로 마을 사람들이 모여 굿을 하는 장소를 마련하고 고을 주...
경기도 양주시 은현면 선암리 뒷들 동쪽에 있는 자연 마을. 나리골은 산기슭에 날아갈 것 같은 모습으로 자리 잡은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실제 마을의 양쪽에 나지막한 산자락이 펼쳐져 있어 마치 나비가 날개를 활짝 펼쳐 감싸 안은 모습이라 이런 이름이 붙은 것으로 여겨진다. 한자로는 비동(飛洞)이라 한다. 이밖에 등골에서 내려다보여서 붙은 이름이라는 설과 옛날에 벼슬한 나리들...
경기도 양주시에 묘소와 신도비가 있는 고려 후기의 문신. 본관은 의령(宜寧). 증조할아버지는 밀직부사 남군보(南君甫), 할아버지는 풍저창 부사 남익저(南益㫝)이다. 아버지는 지영광군사를 지낸 남천로(南天路)이다. 어머니는 함양 박씨(咸陽朴氏)로 중랑장 박종(朴琮)의 딸이다. 부인은 순창군부인(順昌郡夫人) 임씨(任氏)이다. 형은 시중(侍中)을 지낸 남을번(南乙蕃)이다. 아들은 남근(...
경기도 양주시에 있는 바위의 명칭 유래와 특징. 경기도 양주시에서 유래가 전해지는 바위로는 빗접바위·갓바위·개구리바위·농바위·마귀바위·배맨바위·벼락바위·선돌바위·선유동천바위·신암바위·애경바위 등이 있다. 양주시 광적면 덕도리 산97-1번지 보메기 북서쪽에 있는 바위이다. 큰 바위가 쪼개져서 빗접을 세운 것과 같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이 바위에는 수원 백씨 각처 선농기(水原白氏各...
경기도 양주시 장흥면 울대리의 송추골 남동쪽 대봉[여성봉]에 있는 바위. 배맨바위는 옛날에 비가 많이 와서 산봉우리까지 물이 찼을 때, 배를 산봉우리 부근의 바위에 매어 두었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지금도 배를 맨 고리가 남아 있다고 한다. 실제 바위의 모양이 배를 맬 수 있게 되어 있다. 한편 바위 전체의 생김새가 여성의 음부와 같다고 하여 여성바위라고도 한다. 배바위로도 불...
경기도 양주시 남면 신암리 감악산 정상 부근 능선에 있는 동굴. 신라를 도와 고구려를 정벌하러 온 당나라 장수 설인귀(薛仁貴)[613~683]가 이곳에 진을 쳤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일제 초기의 문헌인 『조선지리(朝鮮地理)』[1918]는 봉암사(鳳巖寺)를 소개하면서 봉암사가 바위로 이루어진 굴속에 있으며 설인귀가 살았던 곳으로 전해진다고 하였다. 한편 마을 노인들은 설인귀굴을 임...
경기도 양주시 백석읍 복지리의 흥복저수지에서 장흥면 울대리로 내려가는 계곡에 있는 연못. 용못은 용이 살았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용은 승천하였다고 전해지며, 용못에서 기우제를 지내면 비가 왔다고 한다. 이와 달리 용이 승천하지 못하고 이무기가 되어 폭포수에서 살았으며, 연못 주변에 소를 매어 놓으면 잡아먹었다는 이야기도 있다. 용못골, 용무골, 용연동(龍淵洞)과 연관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