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감막산[감악산]에 있는 포수바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감막산의 포수바위」는 포수가 피를 흘리며 죽은 산돼지의 주위로 산돼지 새끼들이 몰려드는 것을 보고, 그 죄책감에 포수바위에서 자살하였다고 하는 암석 유래담이다. 감막산은 해발 675m로 경기도 양주시와 파주시, 연천군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예로부터 바위 사이로 검은빛과 푸른빛이 동시에 쏟아져...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거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거울을 처음 본 사람」은 마누라의 부탁으로 장에 나간 남편이 거울을 사 가지고 돌아왔는데, 마누라가 자신의 모습이 비치는 거울을 처음 보기 때문에 거울에 비친 자신의 모습을 알아보지 못하고 첩을 데리고 왔다면서 화를 냈다는 소화(笑話)이다. 소화는 사람들의 흥미를 유발하는 유형의 이야기를 의미하는데, 「거울을 처음 본...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과부 보쌈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과부 장가들려다가 봉변당한 이야기」의 전반부는 권력을 지닌 홀아비 이방이 과부를 보쌈하여 장가를 가려고 하다가 오히려 과부의 슬기로운 대처에 속아 넘어간다는 지략담이고, 후반부는 과부의 속임수에 넘어가 홀아비에게 보쌈을 당하게 된 영감이 그 덕에 부잣집의 딸에게 장가를 가게 되어 뜻밖의 복을 얻었다는 행운담이다....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말과 기억에 의존하여 전승되는 민간 예술의 총체. 구비 전승은 기록 문학이 생기기 이전에 말로 전해지는 언어 예술을 일컫는다. ‘구비(口碑)’라는 말의 어원은 비석에 새겨 놓은 것처럼 오래도록 전해 온 말을 뜻하는데, 돌에 새긴 비석보다 말에 새긴 비석이 더욱 진실되다는 생각에서 ‘석비(石碑)’에 빗대어 ‘구비’라는 단어를 사용한다. 말로 전하는 데 그치는 것...
-
경기도 양주 지역에 옹기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독장수 구구」는 신세타령을 하던 옹기장수가 옹기를 팔아 부자가 될 미래를 상상하고는 기쁜 마음에 춤을 추다가 옹기 짐을 받쳐 놓은 지게를 발로 차서 부자의 꿈과 옹기를 함께 깨버렸다는 소화(笑話)이다. 소화는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인데, 「독장수 구구」는 그중에서도 헛된 꿈에 부풀어 어리석은 행동을 하는 사람이 등장하...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살인죄를 모면한 남자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두 번 죽은 사람」은 친구와 다투다가 우발적으로 친구를 죽인 한 남자가 친구의 마누라를 이용하여 살인죄에서 벗어난다는 소화(笑話)이다. 소화는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인데, 「두 번 죽은 사람」은 그중에서도 상대방을 속여 원하는 바를 성취하는 내용이 나타난다는 점에서 사기담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199...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두꺼비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두꺼비의 보은」은 처녀를 바쳐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풍습 때문에 지네에게 바쳐진 처녀의 인신 공희담(供犧談)이자, 처녀의 보살핌을 받은 두꺼비가 죽음을 무릅쓰고 지네와 싸워서 처녀를 살렸다는 보은담(報恩談)이다. 「두꺼비의 보은」은 처녀를 공양하여 마을의 평안을 기원하는 풍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점에서 전설적 이야기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지렁이 영약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만 냥에 판 이심이」는 한 남자가 우연히 얻은 천 년 묵은 지렁이를 팔려고 하였는데, 한 노인이 이를 알아보고 약의 효험을 위해서는 제 값을 치러야 한다면서 만 냥을 들고 와서 사갔다는 이야기이다. 따라서 「만 냥에 판 이심이」는 우연한 기회에 행운을 얻어 잘 살게 된다는 우행담이라고 할 수 있다. 1992년 양...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무식한 형제의 그림 편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식쟁이 편지」는 낫 놓고 기억자도 모를 정도의 무식한 형제가 글로 된 편지를 쓰고 읽을 줄을 몰라서 편지에 그림을 그려 보내어 의사소통을 한다는 소화(笑話)이다. 소화는 독자의 흥미를 유발하는 이야기를 의미하는데, 「무식쟁이 편지」는 그중에서도 무식한 사람이 등장한다는 점에서 치우담(癡愚譚)에 해당...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글 모르는 신랑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무식한 신랑의 한시」는 글을 잘하는 집안으로 장가를 간 무식한 아들[신랑]이 처갓집 식구에게 무시를 당할까봐 아버지가 글을 잘하는 사람을 상객(上客)으로 딸려 보내 아들이 하는 말을 그럴 듯한 문자로 바꾸어 말해 달라고 부탁을 한 결과, 상객 덕분에 신랑은 아무 말이나 둘러대고도 문자를 쓰는 유식한 사람이라는...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원님을 놀리는 통인(通引)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미련한 원님」은 통인의 이야기를 이해하지 못하여 통인이 자기를 놀리는 줄도 모르는 어리석은 원님에 대한 소화(笑話)이다. 소화는 사람들의 흥미와 웃음을 유발하는 이야기인데, 「미련한 원님」은 그중에서도 부하에게 속는 줄도 모르는 멍청한 상전이 등장하여 치우담(癡愚譚)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199...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천하장사 반쪽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반쪽이 설화」는 늦게까지 자식이 없던 부부가 열매 세 개를 혼자 다 먹으라는 노승의 금기를 어겨서 몸이 반쪽밖에 없는 셋째 아들을 낳았지만 천하장사라 두 형들이 죽이려고 해도 죽지 않고 살아나 성공한다는 일종의 신이담이다. 또한 두 형이 몸이 반쪽밖에 없는 막내 동생을 못살게 군다는 점에서 형제 갈등담이라고도...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상전을 골탕 먹이는 하인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상전을 망하게 하는 하인」은 상전을 골탕 먹이던 하인이 상전뿐만 아니라 방아를 찧는 여인, 꿀 장수, 애꾸눈 장수 등 상대를 가리지 않고 다양한 인물들을 속여 원하는 것을 얻어낸다는 소화(笑話)이다. 속고 속이기 유형에 속하는 이야기는 전국적으로 다양한 지역에서 채록된다. 길 위에서 다양한 사람들을...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서울 사람을 속인 시골 사람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서울 사람 속인 시골 놈」은 시골에 사는 사람이 서울에 사는 사람을 속여 돈을 가로채는 이야기로 사기담에 속한다. 사기담은 상대방을 속여 원하는 바를 성취하는 인물과 관련한 이야기이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어 있고, 출전은 1989년 임석재가 집필하고 평민사에서 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싸리나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싸리나무에 절한 이야기」는 한 남자가 고을의 원님이 되어 부임하는 길에 고을의 원님이 될 수 있을 만큼 열심히 공부하게 해준 매를 기억하고, 그 매의 재료였던 싸리나무에 절을 하였다고 하는 일종의 보은담이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어 있고, 출전은 1989년 임석재가 집필하고 평민사에서...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유언을 지킨 막내아들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아버지 유언을 잘 지킨 아들」은 저승왕이 된 아버지와 아버지가 저승왕이 될 수 있도록 유언을 지킨 막내아들의 효행담으로, 아버지가 비록 부모의 묘를 쓰기 어려운 지형에 묘를 쓰라고 유언했다 하더라도 아버지의 뜻에 따라야 한다는 내용이 전개되고 있다. 「아버지 유언을 잘 지킨 아들」의 전반부는 아버지는 명...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어린 아이의 지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아이의 지혜」는 엄동설한에 구할 수 없는 물건을 구해 오라고 주문하는 상전 때문에 죽을 위기에 처한 아버지를 구하기 위해 꾀를 내는 아이의 지혜담[지략담]이다. 아이는 상전의 말도 안 되는 요구에 맞서 말도 안 되는 내용으로 아버지를 구해 내고 있다. 이렇게 어린 아이가 등장하여 어른들도 해결하기 어려운 일...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여우를 잡는다는 작대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우 잡는 작대기」는 우연히 사람의 해골을 뒤집어쓰고 할머니로 변신한 여우를 알아보고 작대기로 때려잡은 황애장수가 여우를 알아보는 작대기라고 속여서 비싼 값에 팔아먹는다는 사기담이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어 있고, 출전은 1989년 임석재가 집필하고 평민사에서 발행한 『...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여우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우의 장난」은 한 남자가 사람들을 골탕 먹이는 여우를 퇴치하려고 함정을 팠으나 여우에 속아 넘어가 결국 여우를 잡지 못하고, 함정에 빠진 진짜 구장만 때려잡았다는 여우 퇴치 실패담이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어 있고, 출전은 1989년 임석재가 집필하고 평민사에서 발행한 『한국구비설화』이...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점쟁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용한 점쟁이 이야기」는 비록 미물이지만 쥐에게 먹을 것을 남겨 두지 않아 부잣집 주인에게 복수를 당할 뻔 했다는 동물 가해담이자 위험을 알리려고 춘 쥐 춤의 의미를 간파한 점쟁이 덕에 매몰의 위기에서 목숨을 구하였다는 점복담(占卜談)이다. 점복담[명복담]은 점을 기가 막히게 보는 점쟁이가 나타나 앞날을 정확하게 맞힌다...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원님의 명판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원님의 현명한 판결」은 아이가 지혜로서 고을 원님인 아버지를 도와 매의 진짜 주인을 가려서 현명하게 판결하였다는 아이의 지혜담[지략담]이다. 이렇게 어린 아이가 등장하여 어른들도 해결하기 어려운 일을 척척 풀어내는 지혜담은 전국적으로 분포되어 있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어 있고,...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떡 다툼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 떡은 내 차지」는 한 부부가 서로 배우자에게 떡을 양보하지 않고 독차지하겠다고 내기를 걸면서 다투는 내기담이자 반드시 떡을 먹겠다는 일념에 급소의 고통을 참는 남편을 풍자한 음담 성격을 지닌 소화(笑話)이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어 있고, 출전은 1989년 임석재가 집필하고 평민사...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부부 싸움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이 호박 딸까 저 호박 딸까」는 부부가 부부 싸움을 하던 중에 갑자기 손님이 찾아오자 딴청을 하며 넘어가려고 하는 소화(笑話)[우스운 이야기]이다. 「이 호박 딸까 저 호박 딸까」 이야기는 부부 싸움을 소재로 하여 웃음과 흥미를 유발하고 있으므로 소화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재산 다툼을 하는 형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재산을 다투는 두 형제」는 재산 싸움을 하는 형제에게 내린 원님의 판결과 원님의 판결에 대해 풀이를 해주는 훈장의 이야기가 이야기 속의 이야기인 액자식 구성으로 되어 있다. 첫째 이야기는 항상 어머님을 생각하는 형의 효행담과 욕심이 많은 동생의 허욕담이다. 둘째 이야기는 형제 사이가 좋으면 하늘도 돕는...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효자 부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극한 효성」은 부모의 병을 낫게 하려면 아들을 달여서 드시게 해야 한다는 산신의 말을 들은 부부가 자식보다 부모가 우선이라고 여겨 아들을 가마솥에 넣어 삶았더니 아들은 없어지고 동삼이 들어 있었다는 효행담이자 신이담이다. 「지극한 효성」 이야기는 자식을 희생해서라도 열과 성을 다하여 부모를 봉양하는 효자와 효부가...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터주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터주에 빌었더니」는 집터를 지켜 주는 지신(地神)인 터주에 소원을 비는 민간 신앙과 관련한 이야기로, 터주에게 돈이 생기게 해달라고 빌었더니 바라는 대로 이루어졌다고 하는 내용의 우행담이다. 터주는 대개 집 뒤란에 위치한다고 하며, 우행담은 우연한 기회로 얻은 행운 덕에 부자가 되는 내용의 이야기를 의미한다. 1992년...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해와 달이 된 오누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해와 달이 된 오누이」는 어머니를 잡아먹고 삼남매까지 잡아먹기 위해 찾아온 호랑이를 피해 하늘로 올라가는 오누이에 대한 신이담이다. 하늘로 올라간 오누이가 해와 달이 된다는 내용으로 되어 있어 해와 달의 유래와 관련한 이야기라고도 볼 수 있으며, 학자에 따라서는 일월 신화(日月神話)로 해석하기도 한다....
-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과부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횡재한 과부」는 과부인 어머니가 일을 하러 나갈 때마다 혼자 놀아야 하는 아들을 아이로 변한 산삼이 돌보아 준다는 변신담이자 과부가 산삼을 팔아 뜻밖에 부자가 되었다는 우행담이다. 우연한 기회에 찾아온 행운 덕에 부자가 된다는 내용은 우행담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1992년 양주문화원에서 출간한 『양주군지』에 수록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