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738
한자 古文書
이칭/별칭 전적(典籍)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집필자 이광우

[정의]

경상북도 의성 지역과 관련하여 1945년 이전에 작성된 옛 문서.

[개설]

경상북도 의성 지역과 관련된 고문서 작성 지역은 조선 시대의 경상도의 의성현(義城縣)과 비안현(比安縣), 상주목(尙州牧)의 속현(屬縣)이었던 단밀현(丹密縣), 예천군(醴泉郡)의 속현이었던 다인현(多仁縣), 그리고 용궁현(龍宮縣) 일부이다. 고문서는 1945년 이전 관부가 개인에게 발급하거나, 관부와 관부 사이에 작성된 각종 공문서(公文書)를 비롯하여 개인과 개인 사이의 사문서(私文書) 등을 포함한다.

의성 지역의 경우 공문서는 조선 시대 중앙 정부, 지방 관아(官衙), 향교(鄕校), 향청(鄕廳) 등지에서 교지(敎旨), 교서(敎書), 교첩(敎牒), 관문(關文), 첩보(牒報), 서목(書目), 준호구(準戶口), 입안(立案), 초사(招辭) 등의 형태로 작성되었다. 사문서는 주로 지역 내 재지 사족들과 그들의 활동처인 서원(書院), 사우(祠宇), 서당(書堂), 단소(壇所), 문중(門中) 조직, 향약(鄕約)을 비롯한 각종 계(契) 조직 등에서 상소(上疏), 상서(上書), 소지(所志), 단자(單子), 등장(等狀), 통문(通文), 회문(回文), 분재기(分財記), 명문(名文), 간찰(簡札) 등의 형태로 작성된 것이다. 이들 고문서는 각 관아와 기관, 또는 사족 가문에 소장되어 왔다.

[의성 지역 고문서 소장 및 조사 현황]

현재 의성 지역의 고문서는 재지 사족 가문에서 소장하고 있는 사문서가 주를 이루고 있다. 의성 지역은 조선 시대 이래 토성(土姓) 출신인 의성 김씨(義城 金氏)비안 박씨(比安 朴氏)를 비롯하여 안동 김씨(安東 金氏), 영천 이씨(永川 李氏), 함양 박씨(咸陽 朴氏), 아주 신씨(鵝洲 申氏), 풍산 유씨(豊山 柳氏), 진성 이씨(眞城 李氏), 순천 장씨(順天 張氏), 장흥 마씨(長興 馬氏) 등 많은 재지 사족 가문이 정착하여 세거해 오고 있다. 이들 가문들이 사족 간, 또는 관부를 상대로 대외 활동을 전개하면서 다수의 고문서들이 작성된 것이다.

하지만 의성 지역 고문서에 대한 일괄적인 조사는 미흡한 편이다. 비안 향교 소장 고문서, 아주 신씨 가문 소장 고문서, 안동 김씨 가문 소장 고문서가 일괄적으로 조사된 정도에 불과하여, 분실 및 도난과 후손들의 도시 이주에 따른 자료 분산이 우려되는 상황이다. 특히 향교 소장 고문서를 제외하고는 관부 문서의 파악과 집적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이다. 다만 2013년 조문국 박물관의 건립을 계기로 고문서를 지속적으로 수집하며 위탁 관리를 추진해 나가고 있다.

[의성 지역의 주요 고문서]

아주 신씨 오봉 가문 소장 고문서

경상북도 의성군 봉양면 구미리에 위치한 오봉 종택(梧鳳 宗宅)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이다. 오봉 종택은 의성 출신의 문신이자 학자인 오봉(梧鳳) 신지제(申之悌)[1562~1624]의 후손들이 거주하는 아주 신씨 종택이다. 신지제·신홍망(申弘望)[1600~1673] 부자 이래 이 가문에서는 많은 고문서들이 작성되었다. 이 가문에 소장되어 있는 고문서로는 1617년(광해군 9) 신지제가 국왕으로부터 받은 교서(敎書) 1점을 시작으로, 유지(有旨) 5점, 교지·교첩·홍패(紅牌)·백패(白牌) 등의 고신(告身) 48점, 녹패(祿牌) 4점, 차정첩(差定帖) 1점, 소지류(所志類) 3점, 입후성문(立後成文) 1점, 준호구 24점, 문안단자(問安單子) 1점, 혼서(婚書) 2점, 시권(試券) 9점 등이며, 간찰 등을 엮은 수적(手蹟)도 전해진다. 오봉 종택 소장 고문서신지제·신홍망 부자와 관련된 고문서 78점은 그 자료적 가치가 인정되어 2003년 3월 3일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 345호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2. 아주 신씨 호계 가문 소장 고문서

경상북도 의성군 의성읍 팔지리를 비롯하여 그 일대에서 세거하고 있는 아주 신씨 호계가문(虎溪家門)의 고문서이다. 호계(虎溪)는 이 가문 출신의 현조 신적도(申適道)[1574~1663]의 호이다. 이 가문 소장 고문서로는 백패 1점, 소지류 7점, 분재기(分財記) 1점, 준호구 34점, 측량도(測量圖) 1점, 간찰 3점, 고시(告示) 1점, 위장(慰狀) 46점, 통문 1점, 혼서 2점, 만사(輓詞) 11점, 상량문(上樑文) 1점, 시권 12점, 제문 3점, 기타 치부 및 기록류 7점 등이 있으며, 『잡록(雜錄)』·『만제(挽祭)』·『애감록(哀感錄)』·『채미헌 계안(採薇軒 稧案)』·『빙계 서원 전답안(氷溪 書院 田畓案)』 등과 같은 성책류(成冊類)가 있다.

3. 안동 김씨 김창회 소장 고문서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위치한 안동 김씨 집성촌인 사촌 마을의 김창회(金昌會)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로, 김창회는 만취당(晩翠堂) 김사원(金士元)[1539~1601]의 후손이다. 김창회 소장 고문서 대부분은 18세기 후반에서 20세기 초반에 작성된 것이다. 소장 고문서로는 소지류 7점, 통문 8점, 통고문(通告文) 9점, 회문(回文) 1점, 고목(告目) 5점, 망기(望記) 1점, 집사 분정기(執事分定記) 1점, 간찰 12점, 제문 11점, 만사 29점, 단자 1점, 홀기 1점 등과 각종 치부류(置簿類)·필첩(筆帖) 및 강의계(講誼稧) 관련 성책류 등 모두 121점이 조사되었다.

4. 안동 김씨 김항회 소장 고문서

경상북도 의성군 점곡면 사촌리에 위치한 안동 김씨 집성촌 사촌 마을 출신의 김항회(金杭會)가 소장하고 있는 고문서이다. 김항회는 대구광역시에 거주하고 있다. 김항회 소장 고문서로는 간찰 31점, 제문 1점, 축문(祝文) 3점, 통문 1점 등과 『유자정급문록(孺子亭及門錄)』 등의 성책류를 포함해서 모두 42점이 조사되었다. 이 가문의 현조인 김종덕(金宗德)[1724~1797] 관련 고문서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5. 비안 향교 소장 고문서

경상북도 의성군 안계면 교촌리에 위치한 비안 향교 소장 고문서이다. 비안 향교 소장 고문서는 성책류가 대부분이다. 소장 자료로는 유안(儒案) 5점, 청금록(靑衿錄) 3점, 도유사안(都有司案) 4점, 장의안(掌議案) 6점, 좌수 행임록(座首行任錄) 6점, 향약(鄕約) 자료 4점, 전답 및 재산 문서 3점과 『동몽안(童蒙案)』·『준분록(駿奔錄)』·『영화록(榮話錄)』·『향교사례(鄕校事例)』 각 1점이 조사되었다. 향교와 향청 관련 인사들의 명부가 다수를 차지하고 있다. 다만 비안 향교 소장 고문서는 현재 일실(逸失)된 상태로 1992년 간행된 『경북 향교 자료 집성(Ⅲ)』에서 그 영인본을 확인할 수 있다.

6. 기타 고문서

의성 향교에도 비안 향교와 마찬가지로 향교 및 향청 관련 고문서가 소장되었던 것으로 추정되나 현재는 일실(逸失)된 상태이다. 다만 1999년 간행된 『의성 향교지』에서 정서된 기문(記文) 등을 확인할 수 있다. 그 외에 의성군 금성면 산운리에 세거하고 있는 영천 이씨(永川李氏) 가문, 의성군 봉양면 분토리에 세거하고 있는 함양 박씨(咸陽朴氏) 가문, 의성군 춘산면 신흥리에 세거하고 있는 비안 손씨(比安孫氏) 가문, 장시규(張是奎)[1627~1712]와 장한상(張漢相)[1656~1724] 부자를 배향하고 있는 경덕사(景德祠)[의성군 구천면 용사리] 등에 그 후손들이 선조의 교지와 유묵(遺墨) 등 고문서를 소장하고 있다. 또한 의성군 단밀면 생송리에 세거하고 있는 풍산 유씨(豊山柳氏) 가문에는 유성룡(柳成龍)[1542~1607]에게 하사된 「광국공신록(光國功臣錄)」이 소장되어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정** 현재 경덕사에는 2012년 10월 4일자 의성경덕사소장고문서및유물 지방유형문화재 제443호로 지정되었으나 내용부족
- 추가관련자료 확인 정정 요망
  • 답변
  • 디지털의성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해당 부분 자료 수집 후 보완하였습니다. 감사합니다.
2013.06.24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