효자·효부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안동(安東). 권효(權曉)의 5세손이다. 『전북 향교 원우 대관(全北鄕校院宇大觀)』에 의하면, 권구덕(權九德)은 조선 후기의 효자로 형제 여섯 명이 같은 집에서 살고 같이 먹으며 모든 재산을 같이 하였다. 아버지의 상을 당하자 묘지 아래에 여막을 짓고 주야로 슬프게 소리 내어 울어 피눈물이 물 솟듯이 흘렀다고 한다. 어머니가 집에 계...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심(敬心), 호는 서담(西潭), 초명은 김의현(金宜鉉). 증조할아버지는 김상신(金相信)이고 형은 김기창(金箕昌)이다. 김기삼(金箕三)[1832~?]은 1832년(순조 32)에 출생하였는데 벼슬은 사복시 첨정(司僕寺僉正)을 지냈다. 어머니가 병이 들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흘려 넣어 먹임으로써 며칠을 더...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경로(敬魯), 호는 순재(順齋), 초명은 김창현(金昌鉉). 증조할아버지는 김상신(金相信)이고 동생은 김기삼(金箕三)이다. 김기창(金箕昌)[1825~?]은 1825년(순조 25)에 출생하여 통정대부(通政大夫)를 지냈다. 어머니가 병이 들어 위독해지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흘려 먹임으로써 며칠을 더 살게 하였으며, 상을...
-
조선 전기 순창 지역의 효자. 김명준(金命俊)은 순창에서 하늘이 낸 효자라고 일컬어졌다. 사랑과 공경을 다하여 부모를 섬겼고, 혼정신성(昏定晨省)[저녁에는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일찍 안부를 묻는다는 뜻]을 늙어서까지도 거르지 않았다. 어머니의 병환이 위독할 때에는 변을 맛보고 손가락을 끊어 피를 먹이며 정성을 다하였다. 부모의 상(喪)을 당해서는 법도에 따라서 한결...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김해(金海). 자는 군보(君輔), 호는 작천재(鵲川齋). 할아버지는 김장(金將)이고 아버지는 임진왜란 때 활약한 김치세(金致世)[1563~1606]이다. 김산경(金汕慶)[1591~?]은 1591년(선조 24)에 순창군 오산면[현 순창군 풍산면]에서 출생하였다. 음직(蔭職)으로 통사랑(通仕郞)을 지냈으며, 천성으로 효성이 지극하였고,...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군서(君瑞), 호는 염계(廉溪). 아버지는 김시택(金始澤)이고, 부인은 구성훈(具聖勳)의 딸 능성 구씨이다. 동생은 김상홍(金相弘)이다. 김상신(金相信)[1768~?]은 1768년(영조 44)에 김시택의 큰아들로 출생하였다. 벼슬은 동지중추부사를 지냈다. 어려서부터 집안의 교훈을 이어받아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덕민(德敏), 호는 옥강(玉崗), 초명은 김정룡(金廷龍). 아버지는 김시택(金詩澤)이고, 부인은 강영수(姜永秀)의 딸 진주 강씨이다. 아들은 김익환(金翊煥)이다. 형은 김상신(金相信)이다. 김상홍(金相弘)[1784~?]은 1784년(정조 8)에 김시택의 둘째 아들로 출생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자 약을 구하러 나가...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여옥(如玉), 호는 오강(鰲崗). 부인은 초계 최씨이다. 아들은 효자 김상신(金相信)과 김상홍(金相弘)이고 손자는 효자 김익환(金翊煥)이다. 김시택(金始澤)[1749~?]은 1749년(영조 25)에 출생하였고, 벼슬은 통덕랑을 지냈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6세 때 아버지의 병이 위급하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부. 본관은 초계(草溪). 아버지는 최부승(崔夫昇)이고, 남편은 김시택(金始澤)이다. 『전북 향교 원우 대관(全北鄕校院宇大觀)』에 의하면, 김시택 처 효부 초계 최씨는 1748년(영조 24) 출생하였다. 효성이 지극하여 남편의 효행을 도와 40여 년 동안 홀시어머니를 공양하는 데 지성으로 하여 칭송이 자자하였다. 김시택 이후 조손(祖孫...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광산(光山). 자는 사윤(士允), 호는 오봉(鰲峰). 할아버지는 김시택(金始澤)이고 아버지는 김상홍(金相弘)이다. 김익환(金翊煥)[1804~?]은 1804년(순조 4)에 출생하였다. 어머니가 병이 들어 병세가 위급하자 손가락을 베어 피를 흘려 먹임으로써 며칠을 더 살게 하였다. 상을 당하여 예에 어긋남이 없었으며, 시묘살이 삼년을 정...
-
조선 시대 순창 출신의 효자. 할아버지는 돌생(乭生)이고, 아버지는 막금선(莫金善)이다. 김해중(金海重)의 조상은 대대로 순창 향교에서 노비로 있었다. 순창 향교를 이전하던 겨울에 할아버지 돌생은 향교의 성전 위패(聖殿位牌)를 혼자 지키며 밤낮으로 떠나지 않다가 병들어 죽었다. 아버지인 막금선은 계모를 지극히 섬겨 사람들이 효자라고 칭찬하였다. 김해중이 일곱 살 되던 해...
-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유촌리 화남사에 배향된 고려 후기의 문관이자 효자. 본관은 장성(長城). 자는 대방(大方), 호는 송암(松庵). 이천 서씨(利川徐氏)의 시조 서신일(徐神逸)의 11세손으로, 아버지는 서희팔(徐希八)이다. 아들은 대장군(大將軍) 서준(徐俊)이고, 손자는 상장군(上將軍) 서민경(徐敏敬)이다. 서릉(徐稜)은 장성현(長城縣)[지금의 전라남도 장...
-
전라북도 순창군 유등면 유촌리 화남사에 배향된 조선 시대의 효자. 본관은 장성(長城). 자는 청원(淸源), 호는 사암(思巖). 고려 고종 때의 문관이자 효자인 서릉(徐稜)의 9세손이다. 서식(徐湜)은 효성이 지극하여 살림이 가난한 가운데에도 부모를 공양하는 데 있는 힘껏 하였고, 학행으로 경연(經筵)에 선발되어 중정대부(中正大夫) 진안 현감(鎭安縣監)에 제수되...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고령(高靈).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1429~1503]가 5대조이고, 아버지는 신종준(申宗准)이다. 신람(申灠)은 뜻이 높고 고상하여 효행으로 나라에서 여러 번 부름이 있었으나 벼슬에 나가지 않았다. 공명을 달가워하지 않았으며, 세상일에 관심을 두지 않고 향산(香山)에 은거하였다. 선조가 손수 ‘향산 처사(香山處士)’라는...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고령(高靈). 자는 명보(明甫), 호는 칠휴당(七休堂). 귀래정(歸來亭) 신말주(申末舟)[1429~1503]의 6세손으로 아버지는 신흡이다. 신상용(申尙溶)[1577~1618]은 1577년(선조 10) 순창군 순창읍 가남리 남산대에서 출생하였으며, 과거 공부를 일삼지 않고 은거하여 성현의 책을 읽었다. 천성이 지극히 효성스러워 평생...
-
조선 시대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고령(高靈). 증조할아버지는 참찬 신공제(申公濟)이다. 한편, 『삼강행실록(三綱行實錄)』에는 신말주(申末周)가 증조할아버지로 되어 있다. 신책은 어려서 아버지를 여의고 어머니에게 효성이 지극하였다. 어머니마저 돌아가시자 아버지의 묘를 옮겨 어머니와 합장하고 아버지를 위하여 3년 동안 추복(追服)[상을 당한 때에 사정이 있어 입지 못한...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남원(南原). 할아버지는 사헌부 지평 양시진(楊時晋)이고 아버지는 진사 양여매(楊汝梅)이다. 양해거(楊海擧)는 하늘이 낸 효자라고 불렸다. 형제간의 우애(友愛)가 매우 뛰어났으며, 나이 60세가 넘도록 혼정신성(昏定晨省)[저녁에는 잠자리를 보아 드리고, 아침에는 안부를 묻는다는 뜻]을 게을리하지 않았다. 계모인 신씨(申氏)가 막내 동...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자오(子五), 호는 청재(淸齋). 할아버지는 임시채(林時采)이고 아버지는 임양성(林養性)이다. 아들은 효자 임종혁(林宗赫)과 임종빈(林宗彬)이다. 임광수(林光洙)[1750~?]는 1750년(영조 26)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에서 출생하였다. 집안의 가훈을 이어받아 더욱 가풍을 진작시켰다. 아버지의 등창이 심하자 상처...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형보(亨甫). 아버지는 임재무(林再茂)이다. 아들은 효자 임양성(林養性)이고 손자는 임광수(林光洙)이다. 임시채(林時采)[1708~?]는 1708년(숙종 34)에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혼정신성(昏定晨省)[저녁에는 잠자리를 살피고, 아침에는 일찍 안부를 묻는다는 뜻]의 예를...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군평(君平), 호는 호호옹(虎護翁). 할아버지는 임재무(林再茂)이고 아버지는 임시채(林時采)이다. 아들은 효자 임광수(林光洙)이다. 임양성(林養性)[1730~?]은 1730년(영조 6)에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가훈을 이어받아 효성이 지극하였다. 아버지가 허벅지에 난 종기로 고생을 하자 입...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도여(道汝), 초명은 임백긍(林栢兢)이다. 증조할아버지는 임시채(林時采)이고 할아버지는 임양성(林養性), 아버지는 임광수(林光洙)이다. 형은 임종혁(林宗赫)이다. 아들은 효자 임환(林煥)이다. 임종빈(林宗彬)[1801~?]은 1801년(순조 1)에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여 부...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字)는 문여(文汝), 초명은 임백혁(林栢赫). 증조할아버지는 임시채(林時采), 할아버지는 임양성(林養性), 아버지는 임광수(林光洙), 동생은 임종빈(林宗彬)이다. 임종혁(林宗赫)[1782~1847]은 1782년(정조 6)에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에서 출생하였다. 선대의 효제(孝悌)의 가훈을 이어받아 평생을 한 번도 부...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평택(平澤). 자는 원거(元巨), 호는 농암(聾庵), 초명은 임노항(林魯恒). 고조할아버지는 임시채(林時采)이고 증조할아버지는 임양성(林養性)이며, 할아버지는 임광수(林光洙), 아버지는 임종빈(林宗彬)이다. 임환(林煥)[1826~?]은 1826년(순조 26)에 순창군 유등면 외이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선인들의 가훈을 이어받아...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순보(順甫), 호는 화암(花巖). 증조할아버지는 효자 정시태(鄭時泰)이고 아버지는 정채룡(鄭采龍)이다. 정상신(鄭商臣)[1775~?]은 1775년(영조 51)에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가정의 교훈을 이어받아 효성이 지극하였다. 상을 당하여서는 예를 다하여 마쳤고, 시묘살이를 지성으로 하자 하늘이 감동하여 큰 호랑이...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자는 미화(美化), 호는 방은(芳隱). 계림군(鷄林君) 정지년(鄭知年)[1395~1462]의 후손으로 아버지는 정언교(鄭彦僑)이다. 손자는 효자 정채룡(鄭采龍)이다. 『전북 향교 원우 대관(全北鄕校院宇大觀)』에 의하면 정시태(鄭時泰)는 품성이 순효하여 부모를 섬김에 있어 혼정신성(昏定晨省)[저녁에는 잠자리를 살피고, 아...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정시현(鄭時賢)[1598~1685]은 1598년(선조 31) 출생하였는데 타고난 성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아버지가 늙어 이가 다 빠지자 정시현은 부인 이씨를 시켜 젖을 드리도록 하였는데, 노망이 든 아버지가 이따금 며느리더러 어머니라 부르기도 하였다. 나이 60세에 부모의 상을 당하자 죽만 먹으면서 삼년상을 치렀다. 고을 사또 윤종지(尹...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경주(慶州). 호는 애죽당(愛竹堂). 할아버지는 정시태(鄭時泰), 아버지는 정세만(鄭世萬)이다. 아들은 효자 정상신(鄭商臣)이다. 『전북 향교 원우 대관(全北鄕校院宇大觀)』에 의하면 정채룡(鄭采龍)은 어려서부터 조상들의 행실을 본받아 잘 지켜서 홀어머니를 섬기는 데 효를 다 하였다. 어머니 앞에서 어린애처럼 어리광을 부려서 마음을 즐...
-
조선 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옥천(玉川). 자는 원서(圓瑞), 호는 모헌(慕軒). 증조할아버지는 옥천 부원군(玉川府院君) 조원길(趙元吉)이고, 할아버지는 무과를 거쳐 보공장군(保功將軍)·절제도위(節制都尉)에 이른 조염(趙琰)이다. 조방(趙方)은 어머니가 병이 들자 변을 맛보아 가면서 치료하였다. 어머니 병이 심해져 소의 간을 먹고자 하였으나 구할 수 없어 자신이...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옥천(玉川). 자는 백원(百源), 호는 독처당(獨處堂). 할아버지는 참봉(參奉) 조응견(趙應堅)이고, 아버지는 조헌을 따라 순절한 조여관(趙汝寬)이다. 조의효(趙義孝)[1592~?]는 1592년(선조 25) 임진왜란 때 순국한 절사 조여관의 유복자로 태어났다. 3세 때에 어머니에게서 아버지가 임진왜란 중에 충청도 금산 싸움에서 순절하...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전주(全州). 자는 달천(達千). 고려 왕조에 절의를 지킨 대사간 문하찬성사 최양(崔瀁)[1351~1424]의 13세손이다. 최관익(崔寬翊)[1817~?]은 순창군 구림면 월정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인후(仁厚)하고 의용(儀容)이 단정하며 우애가 남달랐고 부모를 봉양하는 데 효성이 지극하였다. 부모의 병(病)에 정성을 다하...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화순(和順). 자는 여신(汝愼). 아버지는 최억창(崔億昌)이다. 최영국(崔榮國)[1772~?]은 1772년(영조 48)에 순창군 유등면 오교리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효성이 지극하였으며, 아버지의 병환에 대소변을 맛보아 병세를 가늠하고 그 병을 자신이 대신하기를 기원하였다. 상을 당해서는 슬픔이 지극하였고 3년을 하루같이 성묘하여...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화순(和順). 최숙(崔肅)의 6세손이다. 최충길(崔忠吉) 형제는 1597년 정유재란 때 부모를 모시고 산속에 따로 숨었다. 아버지가 먼저 왜적을 만나자 최충길이 몸으로 아버지를 가리고 살려 달라고 애걸하였다. 그러자 왜군은 차마 최충길 부자를 해치지 못하고 패문(牌文)을 주면서 “다른 적들이 이르면 이것을 보여라.”라고 하였다. 이후...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효자. 본관은 청주(淸州). 아버지는 갖바치[皮工]였다. 한해오(韓海悟)는 타고난 자질이 지극히 효성스러웠다. 아버지가 즐기시는 음식을 정성껏 마련해 올리고 떨어지지 않도록 애썼다. 아버지가 돌아가셨는데 묘소가 약 8㎞ 밖에 있었음에도 날마다 가서 곡을 하고 비바람도 피하지 않았다. 아버지의 신위를 방에 모시고는 아침저녁으로 식사를 올리고, 제철...
-
조선 시대 순창 지역의 효자. 본관은 남양(南陽). 효자로 이름이 난 홍축(洪舳)의 후손이다. 선조 중에는 현감을 지낸 이도 있어 신분은 양반이었음을 알 수 있다. 홍해(洪楷)는 타고난 성품이 충성스럽고 효도와 우애가 깊었으며, 온화하고 어질며, 공손하고 검소한 덕이 있다고 고을에 칭송이 자자하였다. 집안의 어른들을 잘 모시고 손님을 접대하는 일에 정성을 다하였다. 초하...
열녀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열녀. 본관은 도강(道康). 할아버지는 사인(舍人) 정황(丁熿)이고, 남편은 첨정(僉正) 권백시(權伯時)이다. 정씨는 정유재란 때에 남편을 따라 무림방(茂林坊)[지금의 순창군 구림면]으로 피난을 하였는데, 왜적이 그곳까지 추격하여 핍박을 하였다. 형세가 정절을 보전하기 어려워지자 정씨는 남편에게 “나는 이미 결정을 하였으니 그대는 부디 잘 보전하시...
-
조선 시대 순창 지역의 열녀이자 효부. 본관은 밀양(密陽). 아버지는 박준화(朴準化)이고, 남편은 김해 김씨(金海金氏) 김봉현(金琫炫)이다. 김봉현 처 열녀 밀양 박씨는 김봉현과 혼인한 후 나이 드신 시아버지가 중풍(中風)을 앓자 7년여 동안 정성을 다하여 약시중을 하며 간병하였다. 그러나 끝내 시아버지가 돌아가시자 예를 갖추어 삼년상을 마쳤다. 이후 남편...
-
조선 후기 순창 출신의 열녀. 본관은 능성(綾城). 아버지는 구성훈(具聖勳)이고, 남편은 광산 김씨(光山金氏) 김상신(金相信)이다. 김상신 처 열녀 능성 구씨[1768~?]는 1768년(영조 44) 순창군 풍산면에서 출생하였다. 김상신에게 출가하여 시가의 가훈에 감화되어 자식을 사랑하고 시부모에게는 효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병이 들어 악화되자 대소변을 맛보...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열녀. 본관은 진주(晉州). 아버지는 강영수(姜永秀)이며, 남편은 김상홍(金相弘)이다. 김상홍 처 열녀 진주 강씨[1786~?]는 1786년(정조 10)에 출생하여 김상홍에게 출가하였다. 남편이 괴질로 위급하자 두 차례에 걸쳐 좌우 허벅지를 베어 구환하여 며칠을 더 살게 하였다. 김시택(金始澤) 이후 조손(祖孫) 간 2대에...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열녀. 남편은 양대춘(楊大春)이다. 양대춘 처 열녀 이씨는 남편이 죽은 뒤 밤낮으로 곡을 하고 3년 동안 한결같이 죽만 먹었다. 삼년상을 치른 뒤에도 생선과 고기를 먹지 않았고, 해진 옷을 입고 쑥대 자리에서 지냈다. 겨울에는 따뜻한 곳에 가지 않았고, 여름에는 시원한 곳에 가지 않는 등 애를 태우고 슬퍼함이 남달랐다. 효...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열녀. 본관은 도강(道康). 아버지는 별제(別提) 김대립(金大立), 남편은 구음공(龜陰公) 양시진(楊時晉)[1573~1615]이다. 양시진 처 열녀 강진 김씨[1577~1650]는 1577년(선조 10) 지금의 전라북도 정읍시 칠보면에서 출생하였다. 어려서부터 총명하고, 학문을 깊이 수학하여 일찍이 시문(詩文)에 능하였다. 양시진에게...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부이자 열녀. 본관은 대구(大邱). 아버지는 배윤복(裵胤福)이고, 남편은 평택 임씨(平澤林氏) 임용진(林容鎭)이다. 임용진 처 열녀 대구 배씨[1781~?]는 16세에 순창군 인계면 호계리의 임용진에게 출가하였다. 배씨는 시부모 공양과 남편 봉양에 정성을 다하였다. 남편이 괴질에 걸리자 백방으로 약을 구하고 탕제를 끓여서 정성을 다...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부이자 열부. 본관은 김해(金海). 아버지는 김치행(金致行), 남편은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을 지낸 경주 최씨(慶州崔氏) 최길영(崔吉榮)이다. 『전북 향교 원우 대관(全北鄕校院宇大觀)』에 의하면, 최길영 처 열녀 김해 김씨는 어려서부터 천성이 유순하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20세에 출가하여 시부모 공양에 정성을 다하였으며 남편을 공...
-
조선 후기 순창 지역의 효부이자 열녀. 본관은 안동(安東). 남편은 경주 최씨 최문석(崔文錫)이다. 『전북 향교 원우 대관(全北鄕校院宇大觀)』에 의하면, 최문석 처 안동 권씨는 어려서부터 천품이 부드럽고 정숙하며 효성이 지극하였다. 20세에 출가하여 시부모에게 효를 다하고 남편을 공경함에 예를 다하였다. 남편이 병에 걸리자 잠시도 곁을 떠나는 일이 없이 간호하여 정성을...
-
조선 시대 순창 지역의 열녀. 신해년(辛亥年)에 순창에 큰 흉년이 들었는데, 열녀 이씨의 남편 한몽인(韓夢寅)은 먹을 것이 없어서 사람들에게 멸시를 받게 되자 이를 부끄럽게 여겨 늘 독약인 비상을 주머니에 간직하고 다녔다. 한몽인이 부인 이씨와 결별(訣別)하며 말하기를 “내가 이렇게 욕(辱)을 보고 살아서 무엇하리요. 차라리 이것을 먹고 죽으리라.” 하고 비상을 나누어 갖고 같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