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000423 |
---|---|
한자 | 魯城面邑內里舊邑聚落 |
영어의미역 | Old Town Settlement in Eupnae-ri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성희제 |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구읍취락.
[개설]
노성면 읍내리는 조선시대 노성현의 읍취락(邑聚落)이었기 때문에 읍내(邑內)란 명칭이 유래했다. 노성현의 구읍취락은 지역의 행정을 담당하던 예전 기능을 이미 상실하였다. 노성은 본래 백제 때에는 열야산현이었는데, 당나라가 노산주(魯山州)로 고쳤다가, 757년(신라 경덕왕 16)에 니산으로 고치고 웅주(현 공주)에 귀속되었다. 1018년(고려 현종 9) 공주의 속현이 되었고, 감무(監務: 속현의 수령)를 두어 관할하게 했다. 1413년(태종 13) 수령인 감무가 현감으로 개칭된 데 이어, 1414년(태종 14) 석성과 통합되면서 니성현으로 개칭되었다. 그러나 1416년(태종 16) 다시 석성과 분리되어 니산현으로 명칭이 환원되었다.
1646년(인조 24) 은진·연산과 한 고을로 통합되어 은산으로 불리다가, 1665년(효종 7) 다시 니산·은진·연산으로 환원되었고, 1776년(정조 1) 니산현이 노성현으로 개칭되었다. 노산(魯山)이라고도 불렸으며, 현감은 공주진관병마절제도위가 겸임하였다.
[구성]
조선시대의 니산현은 연산(현 논산시 연산면)이 동쪽으로 3㎞, 공주가 북쪽으로 2.3㎞에 있었으며, 주민 수는 384호에 1,591명이었다. 군정(軍丁)으로 시위군(侍衛軍)이 28명, 수호군(守護軍)이 19명, 선군(船軍)이 190명이 있었다. 토성으로는 유씨(兪氏), 유씨(柳氏), 방씨가 있었고, 다른 지역으로 이주한 성씨는 문씨, 하씨가 있었다.
교통수단으로 역을 두어 마필과 역정(役丁)이 있었으며, 교통 요로에 일종의 국립 여관인 원(院)을 두었는데 니산현(노성현) 내에는 고성원, 복조원, 금강원이 있었다. 통신 수단으로는 봉수(烽燧)가 있어서 니산봉수는 북쪽으로는 공주의 월성산에 응하였고, 남쪽으로는 은진의 황하산과 강경산에 응하여 순천에서 한성 사이를 직통하였다.
조선시대 공립 교육기관인 향교로는 노성향교가 있었는데, 향교에서는 글공부뿐만 아니라 공자를 비롯한 성현의 위패를 배향하고 봄·가을로 제향을 올렸다. 사립 교육기관인 서원으로 노강서원과 모곡서원이 있었고, 기록은 남아 있지 않으나 서당 또한 적지 않게 운영되었던 것으로 보인다.